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패혈증36

패혈증 환자를 위한 1-Hour Bundle 가이드 패혈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질환으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1-Hour Bundle은 패혈증과 패혈성 쇼크 환자에게 1시간 이내에 시행해야 하는 권장 치료 지침입니다. 이 가이드는 패혈증 초기 대응을 표준화하고, 환자의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1-Hour Bundle의 구성 요소1-Hour Bundle은 패혈증 환자의 초기 대응을 위한 5가지 필수 요소로 구성됩니다. 각 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1️⃣ 젖산(Lactate) 수치 측정젖산 수치는 조직 저산소증(hypoxia)의 지표로 사용됩니다. 초기 젖산 수치를 측정하고, 만약 젖산 수치가 2 mmol/L 이상일 경우 추가 조치가 필요합니다.반복 측정: 초기.. 2025. 3. 3.
AF RVR에서 IV 베타 차단제, 어떤 환자에게 어떤 약을 써야 할까? 심방세동(AF, Atrial Fibrillation)과 빠른 심실반응(RVR, Rapid Ventricular Response)은 중환자실(ICU)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정맥입니다. 심박수가 100~150 bpm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심박출량 감소, 혈압 저하, 심부전 악화 등의 위험이 커지므로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IV 베타 차단제는 AF RVR에서 심박수 조절을 위한 주요 약물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약물을 사용할 수 없으며,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 기저 심질환, 동반 질환에 따라 약제 선택이 달라집니다.오늘은 AF RVR에서 IV 베타 차단제를 어떤 환자에게, 어떤 약을 사용해야 하는지 정리하겠습니다. 🔹 1. IV 베타 차단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혈역학적으로 안정한(A.. 2025. 2. 27.
ICU에서 환자의 교감신경 항진, 어떻게 평가할까? 교감신경 항진(Sympathetic Overactivity)은 중환자실(ICU)에서 자주 발생하는 생리적 반응으로, 심혈관계, 대사, 면역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과도한 교감신경 활성은 빈맥, 고혈압, 부정맥, 대사 장애 등을 유발하여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킬 수 있어, 이를 신속히 평가하고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오늘은 ICU에서 환자의 교감신경 항진을 평가하는 방법과 이를 임상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교감신경 항진이란?✅ 교감신경(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스트레스 또는 위기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신경계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과 노르아드레날린(노르에피네프린) 분비 증가혈압 상승, 심박수 증가, 혈당 상승, 기관지 확장 등 유발✅ 교감신경.. 2025. 2. 27.
중환자실에서 흔한 AF RVR, 원인과 해결책은? 심방세동(AF, Atrial Fibrillation)과 빠른 심실반응(RVR, Rapid Ventricular Response)은 중환자실(ICU)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정맥 중 하나입니다. 심박수가 빠르게 올라가면서 혈압 저하, 심박출량 감소, 심부전 악화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신속한 평가와 치료가 필요합니다.오늘은 ICU에서 흔한 AF RVR의 원인과 해결책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AF RVR이란?✅ AF (심방세동): 심방이 불규칙하게 빠르게 떨리는 부정맥✅ RVR (빠른 심실반응): 심실로 전달되는 박동이 >100 bpm 이상💡 즉, AF RVR은 ‘빠르고 불규칙한 심박수’를 특징으로 하는 상태🔬 ECG 소견불규칙한 RR 간격P파 없음좁은 QRS 복합파🔹 2. 중환자실에서 AF .. 2025. 2. 27.
항암 치료 이후 발생하는 호중구감소성 발열(Neutropenic Fever)이란? 호중구감소성 발열(Neutropenic Fever, NF)은 항암 화학요법(항암제 치료) 이후 호중구(Neutrophil) 수치가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감염성 또는 비감염성 발열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절대 호중구 수치(Absolute Neutrophil Count, ANC)가 500/µL 이하로 감소한 상태에서 38.3℃ 이상의 발열이 지속되면 NF로 진단됩니다. 호중구는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박테리아 및 곰팡이 감염에 대한 1차 방어선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항암 치료로 인해 골수 기능이 저하되면서 호중구가 급격히 감소하면 감염 위험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심각한 패혈증(sepsis)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호중구감소성 발열의 주요 원인호중구감소성 발열은 여러 가지 원.. 2025. 2. 24.
Sympathetic Hyperactivity: 교감신경 과항진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 교감신경 과항진(Sympathetic Hyperactivity)은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깨지면서 과도한 교감신경 활성(sympathetic overdrive)이 지속되는 상태입니다.이는 심박수 증가, 고혈압, 발한, 불안, 근긴장 증가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외상, 중추신경계 손상, 약물 금단, 내분비 질환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교감신경 과항진의 원인, 진단, 치료 가이드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교감신경 과항진이란? (Sympathetic Overactivity)교감신경(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은 신체의 '투쟁-도피(Fight-or-Flight)' 반응을 조절합니다.✅ 정상적인 교감신경 활성화심박수(HR) 증가, 혈압(BP.. 2025. 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