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신경 과항진(Sympathetic Hyperactivity)은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깨지면서 과도한 교감신경 활성(sympathetic overdrive)이 지속되는 상태입니다.
이는 심박수 증가, 고혈압, 발한, 불안, 근긴장 증가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외상, 중추신경계 손상, 약물 금단, 내분비 질환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교감신경 과항진의 원인, 진단, 치료 가이드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교감신경 과항진이란? (Sympathetic Overactivity)
교감신경(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은 신체의 '투쟁-도피(Fight-or-Flight)' 반응을 조절합니다.
✅ 정상적인 교감신경 활성화
- 심박수(HR) 증가, 혈압(BP) 상승
- 기관지 확장 → 산소 공급 증가
- 동공 확대 → 시야 확보
- 소화기능 억제 → 에너지 사용 증가
🚨 교감신경 과항진(Sympathetic Hyperactivity)
- 이런 반응이 비정상적으로 지속될 때 발생
- 스트레스 요인과 무관하게 심박수, 혈압이 지속적으로 상승
- 불안, 발한, 근긴장 증가 등 자율신경계 과활성 증상 동반
📌 즉, 교감신경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상태이며, 다양한 질환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2️⃣ 교감신경 과항진의 주요 원인
✅ 1) 중추신경계(CNS) 원인
-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
- 뇌졸중(Stroke), 뇌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 자율신경 이상증(Autonomic Dysreflexia, AD) → 척수손상(SCI) 환자에서 발생
- 중추성 발작성 자율신경 기능 이상(Central Autonomic Seizures)
✅ 2) 약물 및 중독 관련 원인
- 약물 금단(Withdrawal Syndrome): 알코올, 벤조디아제핀, 아편유사제(Opiates)
- 교감신경 촉진 약물(Adrenergic Stimulants): 코카인, 메스암페타민, 카페인 중독
- 세로토닌 증후군(Serotonin Syndrome)
✅ 3) 내분비 질환
- 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 → 카테콜아민 과분비
- 갑상선항진증(Hyperthyroidism) → 교감신경 활성 증가
✅ 4) 기타 원인
- 패혈증(Sepsis) → 교감신경 반응 항진
- 급성 스트레스 반응(Acute Stress Response)
- 대사성 질환(저혈당, 전해질 이상)
📌 따라서 교감신경 과항진이 나타나는 환자는 기저 원인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교감신경 과항진의 증상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혈관계 | 빈맥(Tachycardia), 고혈압(Hypertension), 부정맥(Arrhythmia) |
신경계 | 불안(Anxiety), 불면(Insomnia), 두통(Headache), 과각성(Hypervigilance) |
대사성 | 체온 상승(Hyperthermia), 발한(Excessive Sweating) |
근골격계 | 근긴장 증가(Muscle Rigidity), 떨림(Tremor), 과반사(Hyperreflexia) |
소화기계 | 오심(Nausea), 구토(Vomiting), 위장운동 저하(Gastrointestinal Hypomotility) |
📌 고혈압, 빈맥, 발한, 불안이 주요 특징이며, 심한 경우 부정맥과 심혈관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4️⃣ 교감신경 과항진의 진단 (평가 방법)
1️⃣ 기본적인 활력징후(Vital Signs) 평가
- 빈맥(>100 bpm), 고혈압, 발한, 동공 산대(Mydriasis) 확인
- 심전도(ECG) → 부정맥 동반 여부 확인
2️⃣ 기저 질환 감별
- 혈액검사(Blood Tests): 혈당, 전해질, 갑상선호르몬(TSH, T4), 카테콜아민(Plasma Metanephrines)
- 약물 검사(Toxicology Screen): 코카인, 메스암페타민, 벤조디아제핀 금단 여부
- 신경학적 검사: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여부 평가
- MRI/CT 검사: 뇌출혈, 종양 감별
📌 원인을 찾기 위해 철저한 감별진단이 필요합니다.
5️⃣ 교감신경 과항진의 치료 가이드
✅ 1) 원인 치료 (Underlying Cause Treatment)
- 약물 금단 →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s) 사용
- 갈색세포종 → 알파 차단제(Phenoxybenzamine) 후 베타차단제 사용
- 갑상선항진증 → 항갑상선제(PTU, Methimazole) 사용
- 외상성 뇌손상 → 교감신경 반응 조절 (Dexmedetomidine 고려)
✅ 2) 교감신경 차단 약물 사용
약물군 | 대표 약물 | 작용 기전 | 사용 예시 |
베타 차단제 | Propranolol, Labetalol | β1, β2 차단 → 심박수 & 혈압 감소 | 빈맥, 고혈압 조절 |
알파 차단제 | Clonidine, Dexmedetomidine | α2 작용 → 교감신경 억제 | 자율신경 불안정, 금단 증상 |
벤조디아제핀 | Lorazepam, Diazepam | GABA_A 작용 → 진정 & 항불안 | 금단 증후군, 세로토닌 증후군 |
항경련제 | Gabapentin, Pregabalin | 신경 안정화 | 중추신경계 과항진 완화 |
✅ 3) 환경적 관리
- 조용한 환경 유지 (소음 & 빛 자극 최소화)
- 적절한 수액 공급 및 전해질 균형 유지
- 저혈당 예방 → 필요 시 포도당 공급
📌 약물 치료는 개별 원인과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6️⃣ 결론: 교감신경 과항진, 어떻게 접근할까?
✔ 빈맥, 고혈압, 발한, 불안을 동반한 교감신경 과활성 상태
✔ 외상성 뇌손상, 약물 금단, 갈색세포종 등 다양한 원인 감별 필요
✔ 베타 차단제(Propranolol), 알파 차단제(Clonidine), 벤조디아제핀 사용 고려
✔ 원인 치료가 가장 중요하며, 필요 시 신경안정제 사용 가능
📌 교감신경 과항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철저한 감별과 개별 맞춤 치료가 중요합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당이 높지 않은 Euglycemic Diabetic Ketoacidosis (EDKA)란? (0) | 2025.02.25 |
---|---|
항정신병약 부작용?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MS)의 빠른 감별과 치료법 (0) | 2025.02.24 |
GABA 수용체와 작용 약물 총정리: 진정부터 항경련까지 (0) | 2025.02.24 |
Alcohol Withdrawal Seizure: GABA와 NMDA의 균형이 깨질 때 (0) | 2025.02.24 |
NMDA 수용체 길항제 Ketamine, 어떻게 작용할까? (1)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