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신경 항진(Sympathetic Overactivity)은 중환자실(ICU)에서 자주 발생하는 생리적 반응으로, 심혈관계, 대사, 면역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과도한 교감신경 활성은 빈맥, 고혈압, 부정맥, 대사 장애 등을 유발하여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킬 수 있어, 이를 신속히 평가하고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ICU에서 환자의 교감신경 항진을 평가하는 방법과 이를 임상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1. 교감신경 항진이란?
✅ 교감신경(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
- 스트레스 또는 위기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신경계
-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과 노르아드레날린(노르에피네프린) 분비 증가
- 혈압 상승, 심박수 증가, 혈당 상승, 기관지 확장 등 유발
✅ 교감신경 항진이 ICU에서 문제가 되는 이유?
- 심혈관 부담 증가 → 심근 허혈, 부정맥 위험 증가
- 면역 억제 → 패혈증 악화
- 대사 변화 → 인슐린 저항성, 고혈당, 근감소증
- 산소 소모량 증가 → 저산소증 위험
💡 ICU 환자에서 교감신경 항진이 지속되면 다장기 부전(MODS) 위험 증가!
🔹 2. 교감신경 항진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
교감신경 항진을 평가할 때는 혈역학적 변화, 호르몬 반응, 신경계 징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1) 혈역학적 지표 (Hemodynamic Markers)
심박수 (HR, Heart Rate) | 100 bpm 이상이면 교감신경 항진 가능성↑ |
혈압 (BP, Blood Pressure) | 고혈압 (SBP >140mmHg, DBP >90mmHg) |
심박출량 (CO, Cardiac Output) | 증가 가능 (심박수와 연관) |
심박변이도 (HRV, Heart Rate Variability) | 감소 시 교감신경 활성 증가 |
💡 HRV 감소는 교감신경 과항진을 나타내는 중요한 생리학적 지표!
📌 2) 생리적 반응 지표 (Physiological Response)
호흡수 증가 (Tachypnea) | RR > 22회/분이면 교감신경 항진 가능성↑ |
산소 소비량 증가 (VO₂, Oxygen Consumption) | 중환자에서 교감신경 활성 증가 시 상승 |
젖산(Lactate) 상승 | 조직 저산소증과 관련 |
💡 고혈압과 빈맥이 동반된 환자가 고젖산혈증(Lactate > 2 mmol/L)까지 있으면 적극적 교감신경 조절 필요!
📌 3) 신경계 징후 (Neurological Signs)
불안, 초조함 | 교감신경 항진의 흔한 신경학적 반응 |
동공 산대 (Mydriasis) | 교감신경 활성 증가 시 동공 확대 |
진전 (Tremor), 발한 (Diaphoresis) | 카테콜아민 분비 증가 시 발생 |
💡 불안 + 빈맥 + 고혈압 + 발한이 동반되면 교감신경 항진 가능성 높음!
📌 4) 생화학적 지표 (Biochemical Markers)
혈중 카테콜아민 (Epinephrine/Norepinephrine) | 교감신경 활성 증가 시 상승 |
혈당 상승 (Hyperglycemia) | 교감신경 항진으로 인슐린 저항성 증가 |
코르티솔 상승 (Cortisol) | 급성 스트레스 반응 |
CRP, IL-6 상승 | 교감신경과 면역 반응 연관 |
💡 ICU 환자의 지속적인 고혈당과 고카테콜아민 혈증은 예후 악화와 연관
🔹 3. 교감신경 항진의 원인 감별
교감신경 항진이 ICU에서 흔히 발생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패혈증 (Sepsis) | 빈맥, 고혈압 또는 저혈압 + 고젖산혈증 |
저산소증 (Hypoxia) | 빈호흡 + 빈맥 + 저산소증 |
통증 (Pain, Agitation) | 불안 + 동공 산대 + 혈압 상승 |
약물 (Drug-Induced) | 카테콜아민(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베타작용제(알부테롤) |
갑상선 기능 항진증 (Thyrotoxicosis) | 지속적인 빈맥 + 발한 + 체중 감소 |
💡 ICU에서는 패혈증, 저산소증, 약물 유발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함!
🔹 4. 교감신경 항진 해결책
1️⃣ 원인 교정 (근본 치료)
✅ 패혈증 → 조기 항생제 + 혈역학적 안정화
✅ 저산소증 → 산소 공급 최적화 (FiO₂ 조절, 기계환기 적용)
✅ 통증/초조함 → 진통제(펜타닐), 진정제(덱스메데토미딘) 사용
✅ 갑상선 기능 항진증 → 베타 차단제(Propranolol), 항갑상선제(MMI)
2️⃣ 약물 치료 (교감신경 차단)
약물 | 용량 | 특징 |
베타 차단제 (Esmolol, Metoprolol, Propranolol) | IV 또는 PO | 심박수 조절, 교감신경 차단 효과 |
덱스메데토미딘 (Dexmedetomidine) | 0.2~1.4 mcg/kg/hr IV | 선택적 α2 작용제 → 진정 + 교감신경 차단 |
클로니딘 (Clonidine) | 0.1~0.3 mg PO | α2 작용 → 혈압 조절 및 교감신경 감소 |
💡 Esmolol은 급성 교감신경 항진 조절에 빠르고 효과적
3️⃣ 환경 및 지지 요법
✅ 소음, 빛 조절 → 환경적 스트레스 최소화
✅ 적절한 진정 및 통증 조절 → ICU Delirium 예방
✅ 심호흡 및 이완 기법 → 자율신경 균형 유지
💡 비약물적 접근도 교감신경 항진 조절에 효과적일 수 있음
🔹 5. 결론
✅ ICU에서 교감신경 항진은 패혈증, 저산소증, 약물, 통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
✅ HRV 감소, 빈맥, 고혈압, 동공 산대, 발한 등의 징후를 통해 평가 가능
✅ 원인을 신속히 교정하고, 필요 시 베타 차단제, α2 작용제(덱스메데토미딘) 사용 고려
✅ 환경적 요인(소음, 불면)도 조절하여 교감신경 균형 유지
💡 ICU에서 교감신경 항진을 조기에 인식하고 적절히 관리하면 예후 개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증이 교정되면 칼륨이 감소한다? K⁺ 변화와 임상적 의미 (0) | 2025.02.27 |
---|---|
AF RVR에서 IV 베타 차단제, 어떤 환자에게 어떤 약을 써야 할까? (0) | 2025.02.27 |
중환자실에서 흔한 AF RVR, 원인과 해결책은? (0) | 2025.02.27 |
VPC 원인과 치료 – 심장 건강을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 (0) | 2025.02.27 |
VT/VF 심정지 후 살아난 환자, 부정맥 재발을 막으려면?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