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AF RVR에서 IV 베타 차단제, 어떤 환자에게 어떤 약을 써야 할까?

by Avenue 2025. 2. 27.
반응형

심방세동(AF, Atrial Fibrillation)과 빠른 심실반응(RVR, Rapid Ventricular Response)은 중환자실(ICU)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정맥입니다. 심박수가 100~150 bpm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심박출량 감소, 혈압 저하, 심부전 악화 등의 위험이 커지므로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IV 베타 차단제는 AF RVR에서 심박수 조절을 위한 주요 약물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약물을 사용할 수 없으며,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 기저 심질환, 동반 질환에 따라 약제 선택이 달라집니다.

오늘은 AF RVR에서 IV 베타 차단제를 어떤 환자에게, 어떤 약을 사용해야 하는지 정리하겠습니다.

 

AF RVR에서 IV 베타 차단제, 어떤 환자에게 어떤 약을 써야 할까?


🔹 1. IV 베타 차단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혈역학적으로 안정한(AF RVR + SBP ≥ 90mmHg) 환자에서 1차 선택 가능
급성기 심박수 조절 목표: HR < 110 bpm (Lenient Rate Control)
특히, 심근허혈(협심증),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S) 동반 환자에서 우선 고려

💡 혈압이 유지되는 환자에서 IV 베타 차단제를 사용하여 심박수를 조절하면 심박출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음!


🔹 2. IV 베타 차단제 종류별 비교

약물  반감기 작용 특성 용량 주요 적응증
에스몰롤 (Esmolol) 9분 (초단시간형) β1 선택적 500mcg/kg IV bolus → 50-300mcg/kg/min IV 급성기 사용, 혈압 조절 가능
메토프로롤 (Metoprolol) 3~7시간 β1 선택적 2.5~5mg IV over 2min (최대 15mg) 심근허혈 동반, 고혈압
프로프라놀롤 (Propranolol) 3~6시간 비선택적 β 차단제 1mg IV every 5min (최대 5mg) 고혈압, 교감신경 항진

💡 에스몰롤은 초단시간형이라 용량 조절이 쉬워 급성기 사용에 적합!


🔹 3. 환자별 IV 베타 차단제 선택 기준

1️⃣ 혈압이 안정적인 환자 (SBP ≥ 90mmHg) → 일반적인 심박수 조절

1차 선택: 메토프로롤 IV

  • 2.5~5mg IV slow push → 5분 간격으로 최대 15mg
  • 혈압이 잘 유지되는 환자에서 심박수 조절 효과 우수

대체 옵션: 에스몰롤 IV

  • 500mcg/kg IV bolus → 50-300mcg/kg/min IV infusion
  • 짧은 반감기로 용량 조절 용이 (필요 시 즉시 중단 가능)

💡 ACS(심근허혈) 동반 시 메토프로롤이 더 적합할 수 있음!


2️⃣ 혈압이 낮지만 SBP ≥ 90mmHg 유지 → 혈압을 고려한 용량 조절 필요

1차 선택: 에스몰롤 IV (초단시간형, 용량 조절 용이)

  • 저혈압 위험이 있으면 초기 bolus 생략 후 저용량 유지(50mcg/kg/min)

대체 옵션: 메토프로롤 IV (2.5mg slow push)

  • 고용량 사용 시 저혈압 유발 가능하므로 주의

💡 혈압이 경계선(SBP 90~100mmHg)이라면, 에스몰롤을 저용량으로 시작하는 것이 안전!


3️⃣ 급성 심부전(AF RVR + LVEF < 40%) 환자

1차 선택: 에스몰롤 IV

  • 심부전 환자에서는 심박수 조절이 필요하지만, 심근 수축력을 너무 떨어뜨리면 안 됨
  • 초단시간형이므로 혈압이 더 떨어질 경우 즉시 중단 가능

⚠️ 메토프로롤은 급성 심부전 악화 시 주의 (LVEF < 40%인 경우 IV 투여 피하기)

💡 만성 심부전(AF + HFrEF) 환자라면 경구 카르베딜롤, 비스프로롤 유지 고려


4️⃣ 패혈증(Sepsis) 환자 → 심박수 조절 필요 시

1차 선택: 에스몰롤 IV

  • 패혈증 환자는 교감신경 항진으로 인해 빈맥(AF RVR) 발생 가능
  • 과도한 심박수는 산소 소모량을 증가시키므로 적절한 심박수 조절이 중요

💡 패혈증 환자는 혈압이 불안정할 가능성이 높아, 용량 조절이 쉬운 에스몰롤이 선호됨!


5️⃣ 교감신경 항진 (갑상선중독증, 카테콜아민 과다분비 등) 동반 환자

1차 선택: 프로프라놀롤 IV

  • 교감신경 항진(Thyroid Storm, Pheochromocytoma 등) 조절 효과
  • 1mg IV every 5 min (최대 5mg IV)

💡 프로프라놀롤은 비선택적 β 차단제로 교감신경 조절 효과가 강함!


🔹 4. AF RVR에서 IV 베타 차단제 금기 및 주의 사항

🚨 다음 환자에서는 IV 베타 차단제 사용 금기 또는 주의 필요!

혈압이 낮은 환자 (SBP < 90mmHg)
급성 폐부종 동반 심부전 (ACS + Flash Pulmonary Edema)
서맥 위험 (PR 간격 > 240ms, 2~3도 방실차단)
중증 COPD, 천식 환자 (특히 프로프라놀롤 주의!)

💡 저혈압 환자에서는 베타 차단제보다 디곡신(Digoxin) 또는 아미오다론 고려!


🔹 5. AF RVR에서 IV 베타 차단제 사용 요약

환자군 1차 선택 약물 특징
혈압 정상 (SBP ≥ 90mmHg) 메토프로롤 IV ACS, 고혈압 환자에서 우선 고려
경계선 저혈압 (SBP 90~100mmHg) 에스몰롤 IV 용량 조절 용이, 필요 시 즉시 중단 가능
급성 심부전 (LVEF < 40%) 에스몰롤 IV 심근 수축력 저하 최소화
패혈증 + AF RVR 에스몰롤 IV 패혈증에서 과도한 심박수 억제 필요
교감신경 항진 (갑상선중독, 갈색세포종) 프로프라놀롤 IV 교감신경 차단 효과 강함

💡 혈압이 유지되는 환자에서는 메토프로롤, 저혈압 위험이 있으면 에스몰롤이 안전!


🔹 결론

IV 베타 차단제는 AF RVR에서 심박수 조절을 위한 핵심 약물
혈압이 안정적인 환자 → 메토프로롤 IV 선호
혈압이 불안정하거나 조절이 어려운 경우 → 에스몰롤 IV가 안전한 선택
급성 심부전 동반 환자는 에스몰롤을 저용량으로 시작해야 함
교감신경 항진(AF RVR + 갑상선중독) 환자 → 프로프라놀롤 고려

🚑 IV 베타 차단제 사용 시 혈압과 심박수 모니터링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