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질환으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1-Hour Bundle은 패혈증과 패혈성 쇼크 환자에게 1시간 이내에 시행해야 하는 권장 치료 지침입니다. 이 가이드는 패혈증 초기 대응을 표준화하고, 환자의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
1-Hour Bundle의 구성 요소
1-Hour Bundle은 패혈증 환자의 초기 대응을 위한 5가지 필수 요소로 구성됩니다. 각 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젖산(Lactate) 수치 측정
젖산 수치는 조직 저산소증(hypoxia)의 지표로 사용됩니다. 초기 젖산 수치를 측정하고, 만약 젖산 수치가 2 mmol/L 이상일 경우 추가 조치가 필요합니다.
- 반복 측정: 초기 측정 후, 수치가 높다면 2~4시간 간격으로 재측정해야 합니다.
- 목표: 젖산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혈액 배양 검사 실시 및 광범위 항생제 투여
패혈증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해 항생제 투여 전에 최소 2세트 이상의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합니다.
- 적절한 항생제 투여: 가능한 빨리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하며, 원인균이 확인되면 좁은 범위의 항생제로 전환합니다.
- 골든타임: 1시간 이내 항생제 투여가 환자의 생존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 신속한 정맥 내 수액(IV Fluid) 투여
패혈성 쇼크가 의심되거나 저혈압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수액을 투여합니다.
- 크리스탈로이드 수액을 30mL/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혈역학적 안정화가 목표이며, 중심정맥압(CVP) 및 평균동맥압(MAP) 유지에 중점을 둡니다.
4️⃣ 혈압 및 조직관류 평가와 혈관수축제 사용
초기 수액 투여 후에도 **평균동맥압(MAP)**이 65mmHg 미만이면 혈관수축제(바소프레서)를 투여해 혈압을 유지합니다.
- 혈관수축제 선택: 노르에피네프린이 1차 약제로 권장됩니다.
- MAP 유지: 최소 65mmHg 이상을 목표로 혈압을 조절합니다.
5️⃣ 산소 공급 및 호흡 상태 관리
패혈증 환자는 조직 산소 공급이 중요합니다. 필요에 따라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고, 혈중 산소 포화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 목표 SpO2: 일반적으로 92~96% 이상 유지
- 필요 시 인공호흡기 보조를 고려합니다.
1-Hour Bundle 실천 시 주의사항
- 신속한 팀워크: 의료진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 초기 판단과 조치: 패혈증 진단이 의심될 경우 초기 단계에서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반복 평가: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치료 전략을 수정합니다.
1-Hour Bundle의 효과
1-Hour Bundle은 패혈증 환자의 사망률 감소에 기여하며, 조기 개입을 통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패혈성 쇼크 발생 감소
- 치료 효과 극대화
- 입원 기간 단축
패혈증 1-Hour Bundle에 대한 Q&A
Q1. 패혈증의 초기 증상은 무엇인가요?
A1. 고열, 빠른 호흡, 저혈압, 정신 혼미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Q2. 왜 1시간 이내에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A2. 초기 1시간 내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자의 사망 위험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Q3. 젖산 수치를 왜 측정하나요?
A3. 젖산 수치는 조직의 저산소증 상태를 반영하며, 패혈증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데 중요합니다.
Q4. 광범위 항생제를 언제까지 사용하나요?
A4. 원인균이 확인되면 가능한 빨리 좁은 범위의 항생제로 전환해야 합니다.
Q5. 수액 투여 후 혈압이 오르지 않으면 어떻게 하나요?
A5. 혈관수축제를 사용해 평균동맥압(MAP)을 65mmHg 이상으로 유지합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많이 쓰이는 당뇨약 메트포민, 부작용 제대로 알기 (0) | 2025.03.03 |
---|---|
뇌졸중 재활, 빠른 회복을 위한 핵심 가이드 (0) | 2025.03.03 |
심부전 환자, 왜 수분 제한이 필요할까? (0) | 2025.03.02 |
암모니아 제거! 락툴로즈(Lactulose)의 작용 원리와 올바른 사용법 (0) | 2025.03.02 |
일산화탄소 중독 응급 치료, 고압산소치료의 원리와 효과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