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17 LBBB(좌각 차단), 단순 이상 소견일까? 치료가 필요할까? 심전도(EKG)를 찍은 후 "LBBB(좌각 차단, Left Bundle Branch Block)"이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많은 분들이 걱정하십니다. 이게 단순한 전기적 이상인지, 아니면 심장 질환의 징조인지 혼란스럽기 때문이지요. 이번 글에서는 LBBB가 정확히 무엇인지, 어떤 경우에 치료가 필요한지를 환자 중심에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LBBB란 무엇인가요? 🫀⚡LBBB는 말 그대로 좌심실로 가는 전기 신호가 지연되거나 차단되는 상태입니다. 심장은 전기 신호를 통해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데, 이 신호는 방실결절을 지나 좌우 다발(branch)로 나뉘어 심실로 전달됩니다.이 중 좌측 다발이 지연되거나 끊긴 경우가 바로 LBBB입니다.✅ EKG에서 LBBB는 QRS가 120ms 이상으로 넓고.. 2025. 6. 1. 심장기능부전, 조용히 다가오는 위험신호 "갑자기 숨이 차고, 계단 오르기가 힘들어졌어요."이렇게 시작된 작은 변화가 바로 심장기능부전, 즉 심부전(Heart Failure)의 초기 신호일 수 있습니다. 심부전은 단순히 ‘심장이 아픈 병’이 아니라, 심장이 우리 몸에 필요한 만큼의 혈액을 제대로 내보내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처음에는 조용히 시작되지만, 점점 일상생활을 위협하는 중대한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심장기능부전이란 무엇인가요?심장은 근육으로 이루어진 펌프처럼 혈액을 전신에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 펌프의 기능이 약해지면 산소와 영양분이 각 장기로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심부전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유형설명수축기 심부전 (HFrEF)심장이 충분히 수축하지 못해 혈액을 제대.. 2025. 5. 31. 심장기능검사 EF, 정상 수치부터 치료까지 한눈에 정리 심장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혈액을 뿜어내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인 EF(Ejection Fraction, 박출률)는 심부전이나 심근질환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검사 수치 중 하나입니다. 🫀 이 글에서는 EF가 의미하는 바, 정상 수치의 기준부터 저하 시 치료 방법까지 단계별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EF(Ejection Fraction)란 무엇인가요?EF는 좌심실이 한 번 수축할 때 전체 혈액 중 몇 %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지를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심장의 '펌프 기능'이 얼마나 잘 작동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예: 좌심실에 100mL의 혈액이 들어있고, 수축 시 60mL를 내보낸다면 EF는 60%입니다.EF 수치별 구분 🩺EF 수치 (%)구분의미 및 상태55~70%정상건강한 심장 .. 2025. 5. 31. 심부전을 관리하는 건강한 습관, 삶을 지키는 비결 심부전을 관리하는 건강한 습관, 삶을 지키는 비결심부전은 단순한 피로감이나 숨참으로 시작되지만,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는 만성 질환입니다. 하지만 꾸준한 생활 습관 개선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심부전이라는 질환을 이해하고, 이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건강한 습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심부전이란 무엇인가요?심부전(心不全, Heart Failure)은 심장이 몸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펌프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장 근육의 약화나 경직으로 인해 발생하며, 좌심실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특히 문제가 됩니다.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운동 시 숨이 참다리나 발목의 부종만성 피로야간에 심해지는 기.. 2025. 4. 17. AF RVR에서 디곡신과 아미오다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AF RVR(Atrial Fibrillation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 심방세동 급속 심실 반응) 은 심방세동(AF)으로 인해 심박수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상승하는 상태입니다.이때 심박수를 조절하기 위한 약물로 디곡신(Digoxin)과 아미오다론(Amiodarone)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하지만 두 약물은 작용 기전과 임상적 활용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디곡신과 아미오다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디곡신(Digoxin)과 아미오다론(Amiodarone)의 공통점 ✅🔹 AF RVR(심방세동 + 빈맥) 치료에 사용 가능🔹 심박수 조절 효과 있음 (Rate Control)🔹 심부전이 동반된 환자에서도 사.. 2025. 3. 17. CK-MB vs. Troponin I: 심근 손상에 더 정확한 검사는? 심근 손상을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한 혈액 검사는 CK-MB(Creatine Kinase-MB)와 Troponin I(TnI)입니다.하지만, 어떤 검사가 더 정확할까? 🤔이 글에서는 CK-MB와 Troponin I의 차이점, 심근 손상에서 어떤 검사가 더 민감하고 특이적인지, 그리고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CK-MB vs. Troponin I 비교 분석 📊 특징 CK-MB Troponin I (TnI) 주요 기능근육 에너지 대사 효소심장근육 수축 단백질검출 부위심장, 골격근심장에서만 발견됨심근 특이성🔸 낮음 (골격근에서도 발견됨)✅ 매우 높음 (심근 특이적)상승 시점발병 후 3~6시간발병 후 3~6시간최대 농도 도달12~24시간12~24시간정상화 시간2~3일 내7~10일 .. 2025. 3. 1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