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정맥 치료13 VF vs. VT, 심정지 생존율 차이와 치료법 정리 심정지는 심장이 정상적으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응급 상황입니다. 이 중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과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VT)는 가장 흔한 심정지 원인 중 하나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VF와 VT는 심전도(ECG) 상에서 차이가 있으며, 생존율과 치료법도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VF와 VT의 차이점, 심정지 생존율, 효과적인 치료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VF(심실세동) vs. VT(심실빈맥) 비교 구분 심실세동(VF) 심실빈맥(VT) 정의심실이 불규칙하게 떨리며 정상적인 수축 기능이 소실됨심실이 빠르게 수축하지만 어느 정도 규칙적인 리듬 유지심전도 특징무질서하고 불규칙한 전기 신호넓은 QRS 복합파, 일정하거.. 2025. 3. 21. SVT에서 아데노신부터 전극도자 절제술까지: 최적의 치료 가이드 SVT(Supraventricular Tachycardia, 상심실성 빈맥) 는 심방 또는 방실결절에서 기원하는 빠른 심장 박동(>150bpm) 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맥입니다.SVT는 일반적으로 생명 위협적이지 않지만, 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빠르고 정확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이번 글에서는 SVT의 진단 및 치료 전략(아데노신, 약물 치료, 전극도자 절제술) 을 단계별로 정리하겠습니다. 🚑1. SVT의 정의 및 특징🔹 심박수 150~250bpm의 빠른 리듬🔹 좁은 QRS 복합파(Narrow QRS, → 대부분 방실결절(AV node)을 통한 재진입 회로가 원인🔹 갑작스러운 발작적 발생 및 종료(Paroxysmal SVT, PSVT)📌 SVT의 주요 유형✅ 방실결절 회귀 빈맥(AVNRT,.. 2025. 3. 17. AF RVR에서 디곡신과 아미오다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AF RVR(Atrial Fibrillation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 심방세동 급속 심실 반응) 은 심방세동(AF)으로 인해 심박수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상승하는 상태입니다.이때 심박수를 조절하기 위한 약물로 디곡신(Digoxin)과 아미오다론(Amiodarone)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하지만 두 약물은 작용 기전과 임상적 활용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디곡신과 아미오다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디곡신(Digoxin)과 아미오다론(Amiodarone)의 공통점 ✅🔹 AF RVR(심방세동 + 빈맥) 치료에 사용 가능🔹 심박수 조절 효과 있음 (Rate Control)🔹 심부전이 동반된 환자에서도 사.. 2025. 3. 17. Torsades de Pointes(TdP): 왜 발생할까? 치료법 총정리 Torsades de Pointes(TdP) 는 심장의 전기적 재분극 과정이 길어지면서 발생하는 특수한 형태의 다형성 심실빈맥(Polymorphic VT, Ventricular Tachycardia) 입니다.TdP는 QT 간격 연장(QT Prolongation)과 관련이 깊으며, 심실세동(VF)로 진행할 경우 돌연사의 위험이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TdP의 원인, 심전도(EKG) 특징, 치료법 및 예방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TdP란? 왜 발생할까?🔍 TdP의 특징✅ QT 연장(Long QT Syndrome) 후 발생✅ 심실의 전기 신호가 불규칙한 형태로 회전하는 부정맥✅ 심박수가 빠르고(150~250bpm), 지속되면 심정지 가능✅ TdP는 자발적으로 종료될 수도 있지만, 지속 시 응.. 2025. 3. 17. QT Prolongation의 원인과 치료: TdP를 예방하는 법 QT 연장(QT Prolongation) 은 심장의 전기적 재분극 과정이 지연되는 현상으로, 심각한 경우 Torsades de Pointes(TdP, 다형성 심실빈맥) 와 같은 치명적인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QT 연장은 약물, 전해질 이상,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QT Prolongation의 원인, 심전도 특징, 치료 방법 및 TdP 예방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1. QT Prolongation이란?🔍 QT 간격(QT Interval)이란?심전도(EKG)에서 QRS 시작부터 T파 끝까지 걸리는 시간심실 탈분극(QRS) + 심실 재분극(T wave) 과정 포함✅ 정상 QT 간격남성: 여성: QTc(교정 QT).. 2025. 3. 17. Junctional Rhythm이란? 치료가 꼭 필요한 경우는? Junctional Rhythm(접합부 리듬) 은 방실결절(AV node) 또는 방실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심장 리듬을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심장 박동은 동방결절(SA node) 에서 시작되지만, SA 노드가 기능을 못 하거나 억제되면 AV 노드가 대신 박동을 조율하게 됩니다.이 글에서는 Junctional Rhythm의 원인, 심전도(EKG) 소견, 치료가 필요한 경우와 치료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Junctional Rhythm이란?📌 정상적인 심장 박동과의 차이점✅ 정상 리듬 (Sinus Rhythm)동방결절(SA node)에서 신호 시작심방 → 심실 순서로 전기 신호 전달정상 심박수: 60~100 bpm✅ Junctional Rhythm방실결절(AV node) 또는 방실 접합부에서 신호 .. 2025. 3. 17.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