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소프레신(Vasopressin)은 강력한 혈관 수축제(Vasopressor)이자 항이뇨 호르몬(ADH, Antidiuretic Hormone)으로, 쇼크 치료, 심정지, 출혈성 질환 등에 사용됩니다. 주로 패혈성 쇼크, 심정지, 식도정맥류 출혈 치료에 활용됩니다.
1. 바소프레신의 작용 기전
바소프레신은 V1, V2 수용체에 작용하며, 혈관 수축 및 항이뇨 효과를 나타냅니다.
- V1 수용체 작용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 혈관 평활근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킵니다.
- 노르에피네프린(NE)과 달리 카테콜아민 수용체(α, β)와 무관하게 작용하여, 카테콜아민 저항성 쇼크에서 효과적입니다.
- V2 수용체 작용 (항이뇨) → 소변 감소
- 신장의 집합관에서 수분 재흡수를 촉진하여 소변 배출을 줄입니다.
2. 바소프레신의 적응증 (사용하는 경우)
- 패혈성 쇼크 (Septic Shock, 혈압 유지)
- 노르에피네프린 단독으로 혈압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보조제로 사용됩니다.
- 심정지 (Cardiac Arrest, CPR 상황)
- 심폐소생술(CPR) 중 혈관 수축을 강화하여 관류 압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 식도정맥류 출혈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 간경변 환자의 식도정맥류 출혈 시 혈류량을 줄여 출혈을 억제합니다.
- 항이뇨호르몬 결핍 (중추성 요붕증, Diabetes Insipidus)
- 뇌하수체에서 ADH 분비가 부족한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 출혈성 쇼크 및 혈압 저하 상태
- 외상성 출혈 등에서 보조제로 사용됩니다.
3. 용법 및 용량
1) 성인 용량
적응증 | 투여 경로 | 용량 및 방법 |
패혈성 쇼크 | 정맥 주입(IV Infusion) | 0.01~0.03 units/min 지속 주입 |
심정지 (CPR) | 정맥 주사(IV Bolus) | 40 units 단회 투여 |
식도정맥류 출혈 | 정맥 주입(IV Infusion) | 0.2~0.4 units/min 지속 주입 |
요붕증 치료 | 피하(SC) 또는 비강 내 투여 | 5~10 units 2~4시간 간격 |
2) 희석 방법
- 패혈성 쇼크 시: 20 units 바소프레신을 50mL D5W 또는 NS에 희석 (0.4 units/mL)
- 심정지 시: 40 units을 희석 없이 IV bolus로 투여
4. 사용법 및 투여 시 주의사항
1) 투여 방법
- 패혈성 쇼크에서는 저용량(0.03 units/min 이하)으로 지속 주입
- 고용량 사용 시 말초 혈관 수축이 심해져 조직 허혈 위험 증가
- 심정지 시 단회 IV 투여 가능 (CPR 과정에서 에피네프린 대체 가능)
- 식도정맥류 출혈 치료 시 지속 주입 필요
2) 부작용
5. 바소프레신과 다른 혈압 상승제 비교
6. Q&A (자주 묻는 질문) 🤔
Q1. 바소프레신과 노르에피네프린은 어떻게 다르나요?
A. 바소프레신은 V1 수용체를 통해 혈관을 수축시키며, 카테콜아민(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과 다른 기전으로 작용하여 카테콜아민 저항성 쇼크에서 효과적입니다. 반면, 노르에피네프린은 α1 수용체를 통해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Q2. 바소프레신을 고용량으로 사용하면 위험한가요?
A. 네, 0.03 units/min 이상 투여 시 말초 허혈, 장 허혈, 심한 혈압 상승 등의 부작용 위험이 증가합니다.
Q3. 패혈성 쇼크에서 바소프레신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나요?
A. 아니요. 보통 노르에피네프린 단독으로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보조제로 사용됩니다.
Q4. 바소프레신을 심정지 치료에 사용할 때 에피네프린과 같이 써야 하나요?
A. 과거에는 CPR 시 40 units 단독 투여가 가능했지만, 현재는 에피네프린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Q5. 식도정맥류 출혈에서 바소프레신은 어떻게 작용하나요?
A. 바소프레신은 내장 혈관을 수축시켜 식도정맥류 출혈을 억제합니다. 옥트레오타이드와 함께 사용하면 효과가 더욱 증가합니다.
반응형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환자실 약물: 푸로세미드(Furosemide) (0) | 2025.02.05 |
---|---|
중환자실 약물: 미다졸람(Midazolam) (0) | 2025.02.05 |
중환자실 약물: 도부타민(Dubutamine) (0) | 2025.02.05 |
중환자실 약물: 도파민(Dopamine) (1) | 2025.02.05 |
중환자실 약물: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