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다졸람(Midazolam)은 단기 작용성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계열의 진정제, 항불안제, 항경련제로, 주로 수술 전 진정, 의식 진정, 발작(경련) 치료, 기계 환기 중 진정 유지 등에 사용됩니다.

1. 미다졸람의 작용 기전
미다졸람은 GABA-A 수용체 작용을 증가시켜 중추신경 억제 효과를 나타냅니다.
- 진정(Sedation) → 긴장 완화 및 졸음 유발
- 기억 상실(Amnesia) → 환자가 시술 과정 기억을 하지 못하게 함
- 항경련(Anticonvulsant) → 발작 억제 효과
- 근육 이완(Muscle Relaxation) → 경직 완화 및 진정 효과 강화
💡 특징:
✔ 빠른 작용(IV 투여 후 1~5분 내 효과)
✔ 짧은 지속 시간(반감기 1~4시간, 간에서 대사됨)
✔ 강력한 기억 상실 효과
2. 미다졸람의 적응증 (사용하는 경우)
- 의식 진정 (Procedural Sedation)
- 내시경, 기관지경 검사, 치과 시술, 소아 진정 등에 사용
- 전신마취 유도 (Anesthesia Induction)
- 전신마취 전 환자의 불안을 줄이고 진정 효과 유도
- 발작 치료 (Seizure Control)
- 간질 지속 상태(Status Epilepticus) 치료에 사용
- 기계 환기 중 진정 (Ventilator Sedation, ICU Sedation)
- 중환자실(ICU)에서 삽관된 환자의 진정 유지
- 알코올 금단 증상 완화 (Alcohol Withdrawal Syndrome)
- 금단으로 인한 불안, 발작 예방
3. 용법 및 용량
1) 성인 용량
적응증 | 투여 경로 | 용량 및 방법 |
의식 진정 (수술 전, 내시경 등) | IV 주사 | 1~2.5 mg (1~2분 동안 천천히 주입) |
전신마취 유도 | IV 주사 | 0.1~0.2 mg/kg (필요 시 추가 투여) |
발작 치료 (경련 지속 상태) | IV 또는 IM | 0.1~0.2 mg/kg (필요 시 반복) |
ICU 진정 (기계 환기 환자) | IV 지속 주입 | 0.02~0.1 mg/kg/hr |
2) 희석 방법
- IV 주입 시 1mg/mL 농도로 희석하여 천천히 투여
- 신장 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용량 조절 필요 (대사 지연 가능)
4. 사용법 및 투여 시 주의사항
1) 투여 방법
- IV 주사 시 너무 빠르게 주입하면 호흡 억제 가능❌
- 중환자실(ICU)에서는 지속적 주입 가능, 하지만 내성(Tolerance) 발생 가능
- 마취 보조제(프로포폴 등)와 병용 가능하지만, 호흡 억제 모니터링 필수
2) 부작용 및 주의사항

🚨 해독제(Antidote): 플루마제닐(Flumazenil) 사용 가능
- 과다 투여로 인한 호흡 억제 발생 시 플루마제닐(0.2mg IV)로 길항 가능
5. 미다졸람과 다른 벤조디아제핀 비교

6. Q&A (자주 묻는 질문) 🤔
Q1. 미다졸람과 디아제팜의 차이점은?
A. 미다졸람은 작용 시간이 짧고(단기 작용), 진정 및 마취 유도에 적합합니다.
- 디아제팜은 작용 시간이 길어(중기 작용) 근이완 및 불안 완화 용도로 더 많이 사용됩니다.
Q2. 미다졸람을 과다 복용하면 어떻게 되나요?
A. 호흡 억제, 저혈압, 혼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해독제인 플루마제닐(Flumazenil) 투여가 필요합니다.
Q3. 미다졸람은 왜 내성(Tolerance)이 생기나요?
A. 장기간 사용 시 GABA 수용체의 감수성이 감소하여 더 높은 용량이 필요하게 됩니다.
Q4. 임산부나 노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A.
- 임산부: C등급 약물로, 필요 시 신중히 사용
- 노인: 대사 속도가 느려져 저용량 사용 권장 (과도한 진정 유발 가능)
Q5. 미다졸람을 알코올과 함께 복용하면 위험한가요?
A. 네, 매우 위험합니다.
- 미다졸람과 알코올 모두 중추신경 억제 작용이 있어 호흡 억제 위험이 증가합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환자실 약물: 에토미데이트(Etomidate) (1) | 2025.02.05 |
---|---|
중환자실 약물: 푸로세미드(Furosemide) (0) | 2025.02.05 |
중환자실 약물: 바소프레신(Vasopressin) (0) | 2025.02.05 |
중환자실 약물: 도부타민(Dubutamine) (1) | 2025.02.05 |
중환자실 약물: 도파민(Dopamine) (1)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