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푸로세미드 (Furosemide) – 작용 기전, 용법 및 사용법
푸로세미드(Furosemide, 상품명 Lasix)는 강력한 이뇨제(Loop Diuretic, 고리 이뇨제)로, 부종(심부전, 신부전, 간경화), 고혈압, 급성 폐부종 치료에 사용됩니다.
1. 푸로세미드의 작용 기전
푸로세미드는 신장의 헨레고리 상행각(Loop of Henle)에서 Na⁺-K⁺-2Cl⁻ 공동수송체(NKCC2)를 억제하여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배설 증가 → 이뇨 효과를 유도합니다.
- 강력한 이뇨 작용 → 체액 제거 → 부종 감소
- 혈관 확장 효과 → 급성 폐부종에서 즉각적 호흡 개선
- 칼슘(Ca²⁺), 마그네슘(Mg²⁺) 배설 증가 → 고칼슘혈증 치료 가능
💡 고리 이뇨제(Loop Diuretics)는 가장 강력한 이뇨제 중 하나이며,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도 효과가 있습니다.
2. 푸로세미드의 적응증 (사용하는 경우)
- 부종 (Edema, 체액 저류)
- 심부전(HF), 신부전(CKD), 간경화(Liver Cirrhosis) 등에서 발생하는 부종 감소
- 정맥(IV) 또는 경구(PO) 투여 가능
- 고혈압 (Hypertension, 특히 신장성 고혈압)
- 다른 항고혈압제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보조적 사용
- 급성 폐부종 (Acute Pulmonary Edema, 응급상황)
- 정맥주사(IV)로 투여 시 폐부종 완화 및 호흡 개선
- 고칼슘혈증 (Hypercalcemia)
- 칼슘 배설을 촉진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낮춤
- 신부전 환자의 요량 유지 (Oliguria in Acute Kidney Injury, AKI)
- 급성 신손상(AKI) 환자에서 소변량 유지에 도움
3. 용법 및 용량
1) 성인 용량
적응증 투여 경로 용량 및 방법
적응증 | 투여 경로 | 용량 및 방법 |
부종 치료 | 경구(PO) | 20~80mg 1~2회/일 (필요 시 증량 가능) |
급성 폐부종 | 정맥주사(IV) | 20~40mg 속효성 투여 (필요 시 1시간 간격으로 추가 투여) |
고혈압 치료 | 경구(PO) | 40mg 2회/일 (단독 또는 다른 항고혈압제와 병용) |
고칼슘혈증 | 정맥주사(IV) | 40~80mg IV, 생리식염수(NS)와 함께 투여 |
2) 투여 방법
- IV 투여 시 1~2분에 걸쳐 천천히 주입 (급격한 주입 시 이독성 위험)
- 경구 투여 시 아침 또는 점심에 복용 (야간 복용 시 야뇨증 유발 가능)
4. 사용법 및 투여 시 주의사항
1) 투여 방법
- IV(정맥) 투여 시 저혈압 및 전해질 불균형 모니터링 필수
- 장기 사용 시 신기능 및 전해질(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정기적 확인 필요
2) 부작용 및 주의사항
🚨 고위험군 환자 주의:
- 신부전 환자: 고용량 사용 시 신독성 증가 가능
- 간경화 환자: 과도한 이뇨 시 간성 혼수(Hepatic Encephalopathy) 유발 가능
- 통풍 환자: 요산 배설 저하로 증상 악화 가능
5. 푸로세미드와 다른 이뇨제 비교
6. Q&A (자주 묻는 질문) 🤔
Q1. 푸로세미드를 복용하면 소변이 얼마나 많이 나오나요?
A. 투여 후 30~60분 이내에 강한 이뇨 작용이 시작되며, 최대 6~8시간 지속됩니다.
Q2. 저칼륨혈증 예방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칼륨 보충제 또는 칼륨 보존 이뇨제(스피로노락톤)와 병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Q3. 푸로세미드는 하루 중 언제 복용하는 것이 좋나요?
A. 아침에 복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늦은 오후나 저녁에는 야뇨증을 유발할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Q4. 푸로세미드를 장기간 사용하면 위험한가요?
A. 장기간 사용 시 전해질 불균형, 탈수, 신부전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혈액 검사가 필요합니다.
Q5. 푸로세미드를 고혈압 치료에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나요?
A. 보통 다른 항고혈압제(예: ACE 억제제, 베타 차단제)와 병용하여 사용하며, 단독 사용은 드뭅니다.
반응형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환자실 약물: 에피네프린(Epinephrine) (0) | 2025.02.05 |
---|---|
중환자실 약물: 에토미데이트(Etomidate) (0) | 2025.02.05 |
중환자실 약물: 미다졸람(Midazolam) (0) | 2025.02.05 |
중환자실 약물: 바소프레신(Vasopressin) (0) | 2025.02.05 |
중환자실 약물: 도부타민(Dubutamine)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