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제팜(Diazepam)의 작용 기전, 적응증, 용량 및 용법, 부작용 및 고려사항
디아제팜(Diazepam)은 벤조디아제핀 계열(Benzodiazepine)의 항불안제, 진정제, 항경련제, 근이완제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주로 불안 장애, 근육 경련, 간질 발작, 알코올 금단 증상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작용 시간이 긴 편이며, 신속한 진정 효과와 항경련 효과가 있어 응급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1. 디아제팜의 작용 기전 🧠
디아제팜은 GABA-A 수용체 작용제(GABA-A receptor agonist) 로 작용하여 중추신경계 억제 효과를 나타냅니다.
🔹 GABA-A 수용체를 강화하여 중추신경 억제 효과를 증가시키며, 불안 완화, 근육 이완, 항경련, 수면 유도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 작용 시간이 긴 벤조디아제핀(반감기 약 20~50시간)으로, 비교적 오랫동안 효과가 지속됩니다.
2. 디아제팜의 적응증 ✅
디아제팜은 다음과 같은 질환 및 증상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 정신과 및 신경과 용도
1️⃣ 불안 장애(Anxiety disorders)
- 일반적인 불안 장애(GAD), 공황 장애, 급성 불안 상태 치료
2️⃣ 불면증(Insomnia) 단기 치료
- 수면 유도를 돕기 위한 단기적인 처방
3️⃣ 알코올 금단 증상(Alcohol withdrawal syndrome, AWS)
- 알코올 중독 환자의 금단 증상(초조, 떨림, 발작) 완화
4️⃣ 간질 및 경련 치료(Anticonvulsant, status epilepticus)
- 간질 발작, 지속적 경련 상태 치료
🔹 근육 이완 및 마취 보조제
5️⃣ 근육 경련(Muscle spasms) 완화
- 척수 손상, 다발성 경화증, 뇌성마비, 테타누스(파상풍)
6️⃣ 의식하 진정(Procedural sedation) 및 마취 전 투약(Preoperative sedation)
- 내시경, 치과 치료 등의 시술 전 진정
3. 디아제팜의 용량 및 용법 💉
🔹 일반적인 성인 용량
적응증 경구 투여(PO) 정맥 주사(IV) 근육 주사(IM)
적응증 | 경구 투여(PO) | 정맥 주사(IV) | 근육 주사(IM) |
불안 장애 | 2~10 mg 1일 2~4회 | - | - |
불면증(단기) | 5~15 mg 취침 전 | - | - |
알코올 금단 | 10 mg 6~8시간마다 (필요 시 감량) | 10 mg IV 3~4시간마다 | - |
간질 발작(지속적 경련) | - | 5~10 mg IV 반복 (최대 30 mg) | - |
근육 경련 | 2~10 mg 1일 3~4회 | - | - |
마취 전 진정 | 10 mg 전처치 | 5~10 mg IV | 10 mg IM |
🔹 소아 용량 (간질 발작 시)
- 0.2~0.5 mg/kg 정맥 주사(IV), 필요 시 반복 투여 가능
⚠️ 고령자, 간 기능 저하 환자는 감량 필요
⚠️ 장기간 사용 시 내성(tolerance) 및 의존성(dependence) 발생 가능
4. 디아제팜의 부작용 ⚠️
디아제팜은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로서, 신경계 억제 작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중추신경계 부작용
✅ 졸음(Drowsiness) 및 진정(Sedation)
- 졸림, 집중력 저하
✅ 어지러움(Dizziness) 및 협응 장애(Ataxia)
- 균형 장애 및 운동 능력 저하
✅ 인지 기능 저하 및 기억력 문제(Amnesia)
- 단기 기억력 저하(특히 고령자)
🔹 호흡기 부작용
❌ 호흡 억제(Respiratory depression)
- 고용량 사용 시 또는 다른 중추신경 억제제(알코올, 마약류)와 병용 시 위험 증가
🔹 심혈관계 부작용
❌ 저혈압(Hypotension) 및 빈맥(Tachycardia)
- 정맥 주사 시 혈압 저하 가능
🔹 기타 부작용
✅ 의존성(Dependence) 및 금단 증상(Withdrawal symptoms)
- 장기 사용 후 갑자기 중단하면 불안, 불면, 발작 위험 증가
✅ 역설적 반응(Paradoxical reaction)
- 일부 환자(특히 고령자, 소아)에서 불안, 초조, 공격성 증가 가능
5. 디아제팜 사용 시 고려사항 🔍
✅ 사용 금기 및 주의사항
- 중증 호흡기 질환(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만성 호흡부전) 환자에서 사용 주의
- 알코올 및 마약류와 병용 시 중추신경 억제 증가 위험
- 임산부(B등급) 및 수유부에서는 신중한 사용 필요
✅ 의존성 및 금단 위험
- 장기 사용 시 의존성이 생길 수 있으며, 갑자기 중단하면 금단 증상(불안, 발작, 불면증) 발생 가능
- 필요 시 점진적으로 감량(tapering)해야 함
✅ 벤조디아제핀 길항제(Flumazenil) 사용 가능
- 과량 복용 시 길항제인 **플루마제닐(Flumazenil)**을 사용하여 해독 가능
📌 디아제팜에 대한 Q&A
Q1. 디아제팜과 로라제팜(Lorazepam)의 차이는?
A. 디아제팜은 작용 시간이 길고(반감기 20~50시간) 빠르게 흡수되며, 로라제팜은 작용 시간이 중간 정도(반감기 10~20시간) 로 간질 발작 지속 상태 치료에 더 효과적입니다.
Q2. 디아제팜을 장기간 사용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나요?
A. 의존성(dependence), 내성(tolerance), 금단 증상(불안, 불면, 발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장기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디아제팜을 갑자기 중단하면 어떻게 되나요?
A. 금단 증상(불안, 초조, 불면증, 심한 경우 발작) 발생 위험이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감량해야 합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환자실 약물: 펜타닐(Fentanyl) (0) | 2025.02.06 |
---|---|
중환자실 약물: 로라제팜(Lorazepam) (0) | 2025.02.06 |
중환자실 약물: 케타민(Ketamine) (0) | 2025.02.06 |
중환자실 약물: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 (0) | 2025.02.06 |
중환자실 약물: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NTG)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