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은 강력한 혈관 확장제(Vasodilator)로, 협심증, 급성 심부전, 고혈압 위기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주로 정맥 주입(IV), 설하정(SL), 경피 패치(TD) 형태로 투여됩니다.
1. 니트로글리세린의 작용 기전
니트로글리세린은 체내에서 산화질소(NO)를 생성하여 평활근 이완 및 혈관 확장 효과를 유도합니다.
- 정맥(정맥 확장) → 전부하(Preload) 감소 → 심장 부담 감소
- 동맥(동맥 확장) → 후부하(Afterload) 감소 → 심박출량 증가
- 관상동맥(심장혈관 확장) → 심근 허혈 완화 → 협심증 완화
🚨 주의:
- 저용량: 정맥 확장이 주로 발생 → 심장 부담 감소
- 고용량: 동맥 확장 효과도 증가 → 혈압이 크게 떨어질 수 있음
2. 니트로글리세린의 적응증 (사용하는 경우)
- 협심증 (Angina pectoris, 심근 허혈 완화)
- 관상동맥을 확장시켜 심근 허혈을 줄이고 협심증 증상을 완화합니다.
- 급성 발작 시 설하정(SL) 투여
- 급성 심부전 (Acute Heart Failure, 폐부종 치료)
- 폐혈관 저항을 줄여 폐부종을 완화하고 심박출량을 증가시킵니다.
- 정맥 주입(IV) 형태로 투여
- 고혈압 위기 (Hypertensive Emergency)
- 혈압을 신속하게 낮춰 심장과 뇌를 보호합니다.
- IV 주입 시 지속적인 혈압 모니터링 필요
-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MI)
- 심근 산소 요구량을 줄이고 심장 부담을 감소시킵니다.
- 정맥 주입(IV) 또는 설하정(SL) 투여
- 수술 중 혈압 조절
- 마취 중 혈압 조절을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3. 용법 및 용량
1) 성인 용량
2) 희석 방법
- IV 주입: 50mg을 250mL D5W 또는 NS에 희석 (200 mcg/mL 농도)
- 설하정(SL): 혀 아래에 녹여 흡수 (씹거나 삼키지 않음)
4. 사용법 및 투여 시 주의사항
1) 투여 방법
- 설하정(SL):
- 발작 시 1정 혀 아래에 놓고 녹여 복용
- 5분 간격으로 최대 3회까지 반복 가능
- 정맥 주입(IV):
- 5 mcg/min에서 시작하여 혈압 반응에 따라 증량
- 지속 주입 시 혈압 모니터링 필수
- 경피 패치(TD):
- 12시간 사용 후 12시간 휴지기 필요 (내성 예방 목적)
2) 부작용
5. 니트로글리세린과 다른 혈관확장제 비교
6. Q&A (자주 묻는 질문) 🤔
Q1. 니트로글리세린을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효과가 줄어드나요?
A. 네, 내성(Tolerance)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12시간 사용 후 12시간 휴지기를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Q2. 협심증 발작 시 니트로글리세린을 몇 번까지 사용할 수 있나요?
A. 5분 간격으로 최대 3회까지 사용 가능하며, 그래도 증상이 지속되면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Q3. 니트로글리세린 사용 후 두통이 심한데 괜찮은가요?
A. 두통은 흔한 부작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완화되지만, 심한 경우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의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Q4. 혈압이 낮은 사람도 니트로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나요?
A. 저혈압(수축기 혈압 <90 mmHg) 환자에서는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심한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5. 니트로글리세린을 보관할 때 주의할 점이 있나요?
A. 설하정(SL)은 빛과 습기에 민감하므로 밀폐 용기에 보관하고, 개봉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교체해야 합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환자실 약물: 케타민(Ketamine) (0) | 2025.02.06 |
---|---|
중환자실 약물: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 (0) | 2025.02.06 |
중환자실 약물: 니트로프루시드(Nitroprusside) (0) | 2025.02.05 |
중환자실 약물: 프로포폴(Propofol) (0) | 2025.02.05 |
중환자실 약물: 에피네프린(Epinephrine)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