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중환자실에서 흔한 AF RVR, 원인과 해결책은?

by Avenue 2025. 2. 27.
반응형

심방세동(AF, Atrial Fibrillation)과 빠른 심실반응(RVR, Rapid Ventricular Response)은 중환자실(ICU)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정맥 중 하나입니다. 심박수가 빠르게 올라가면서 혈압 저하, 심박출량 감소, 심부전 악화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신속한 평가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ICU에서 흔한 AF RVR의 원인과 해결책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중환자실에서 흔한 AF RVR, 원인과 해결책은?


🔹 1. AF RVR이란?

AF (심방세동): 심방이 불규칙하게 빠르게 떨리는 부정맥
RVR (빠른 심실반응): 심실로 전달되는 박동이 >100 bpm 이상

💡 즉, AF RVR은 ‘빠르고 불규칙한 심박수’를 특징으로 하는 상태

🔬 ECG 소견

  • 불규칙한 RR 간격
  • P파 없음
  • 좁은 QRS 복합파

🔹 2. 중환자실에서 AF RVR이 흔한 이유

ICU 환자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AF RVR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1️⃣ 교감신경 항진 & 스트레스 반응

  • 패혈증 (Sepsis)
  • 저혈압 및 쇼크 (Hypotension, Shock)
  • 중증 감염 및 염증 반응

2️⃣ 심혈관 질환 & 전신 상태 변화

  • 급성 심근경색 (AMI)
  • 심부전 악화 (CHF exacerbation)
  • 폐색전증 (PE)
  • 심장 수술 후 상태

3️⃣ 대사 장애 & 전해질 불균형

  • 고칼륨혈증, 저칼륨혈증
  • 저마그네슘혈증
  • 갑상선 기능항진증 (Hyperthyroidism)

4️⃣ 약물 관련 원인

  • 카테콜아민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 베타 작용제 (알부테롤, 도부타민)
  • 스테로이드 사용

💡 ICU에서 AF RVR이 발생하면, 위의 원인들을 신속히 평가하는 것이 중요!


🔹 3. AF RVR 치료 원칙

📌 치료 목표

심박수 조절 (HR <110 bpm 유지)
혈역학적 안정 유지
AF 유발 원인 교정

💡 AF 자체를 급하게 정상 동율동(SR)으로 전환하려 하기보다는, 심박수를 먼저 조절하는 것이 중요!


🔹 4. AF RVR 해결책 – 치료 방법

1️⃣ 혈역학적으로 안정한 환자 (SBP ≥ 90mmHg)

🔹 1차 치료: 베타 차단제 or 칼슘채널차단제(CCB)

약물 초회 용량 특징
딜티아젬 (Diltiazem) 0.25mg/kg IV bolus → 5~15mg/hr IV infusion 심박수 조절 효과 빠름, 저혈압 주의
베라파밀 (Verapamil) 5~10mg IV over 2 min 저혈압 위험 있음
에스몰롤 (Esmolol) 500mcg/kg IV bolus → 50-300mcg/kg/min IV 반감기 짧아 용량 조절 용이
메토프로롤 (Metoprolol) 2.5~5mg IV every 5 min (최대 15mg) 심부전 환자에서 사용 가능

💡 딜티아젬 vs. 베타 차단제 선택?

  • 고혈압 환자 → CCB(딜티아젬) 선호
  • 심부전(LVEF < 40%) 동반 → 베타 차단제(Esmolol, Metoprolol) 선호

🔹 2차 치료: 디곡신 (Digoxin) – 혈압 낮은 환자에서 고려

  • 0.25~0.5mg IV, 이후 0.25mg q6h IV (최대 1.5mg/day)
  • 심박수 조절 효과는 느리지만, 혈압이 낮은 환자에서 안전

2️⃣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 (SBP < 90mmHg, 심한 저혈압/쇼크)

응급 동기화 전기 심율동전환 (Synchronized Cardioversion, DCCV)

  • 120~200J (Biphasic) 또는 200J (Monophasic)
  • 혈압이 낮고 심한 증상(쇼크, 심부전 악화) 동반 시 즉시 시행!

원인 교정 (패혈증, 전해질 불균형 등)

  • K⁺ < 4.0, Mg²⁺ < 2.0 → 보충 필수

💡 혈압이 낮은 환자에서는 약물보다 전기 심율동전환이 우선!


3️⃣ 항응고제 고려 (뇌졸중 예방)

AF가 48시간 이상 지속되었거나, 기저 심장질환이 있다면 뇌졸중 예방을 위해 항응고제 사용 고려

항응고제  용량  주의점
헤파린 (UFH) IV bolus 60-70U/kg → 지속 주입 빠른 효과, 모니터링 필요
엔녹사파린 (LMWH) 1mg/kg SC q12h 신부전 환자에서 용량 조절 필요
와파린 (Warfarin) INR 목표 2.0~3.0 INR 모니터링 필수
NOAC (Apixaban, Rivaroxaban 등) 표준 용량 신기능 따라 용량 조절

💡 CHA₂DS₂-VASc 점수에 따라 항응고제 필요 여부 결정!


🔹 5. AF RVR 관리 전략 요약

혈역학적 안정 (SBP ≥ 90mmHg) 1차: 딜티아젬 IV (또는 베타 차단제) → 필요 시 디곡신 추가
혈역학적 불안정 (SBP < 90mmHg, 쇼크) 즉시 전기 심율동전환 (DCCV, 120~200J)
전해질 불균형 교정 K⁺ 4.0~4.5, Mg²⁺ > 2.0 유지
항응고제 고려 AF 지속 >48시간, CHA₂DS₂-VASc ≥2점 → 와파린/NOAC

🔹 결론

중환자실(ICU)에서 AF RVR은 교감신경 항진, 전해질 불균형, 패혈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
혈역학적으로 안정하면 약물(딜티아젬, 베타 차단제)로 심박수 조절
혈압이 낮거나 쇼크 상태라면 즉시 전기 심율동전환
전해질(K⁺, Mg²⁺) 교정 및 원인 치료가 필수
48시간 이상 지속된 AF라면 항응고제 고려

💡 AF RVR은 빠르고 정확한 치료가 중요하며, 개별 환자의 상태에 맞는 맞춤 치료가 필요합니다!

🚑 중환자실에서 AF RVR을 빠르게 조절하면 심부전 악화 및 합병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