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륨(K⁺)은 세포 내외 균형과 전기적 항상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전해질입니다. 산-염기 균형(Acid-Base Balance)이 변화하면 칼륨 농도도 변할 수 있으며, 특히 산증(Acidosis)을 교정할 때 혈중 칼륨(K⁺)이 감소하는 현상이 자주 관찰됩니다.
오늘은 산증 교정 후 칼륨 변화의 원리와 임상적 의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1. 산증과 칼륨의 관계
산증(Acidosis)은 혈액의 pH가 7.35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대사성(Metabolic)과 호흡성(Respiratory) 산증으로 나뉩니다.
✅ 산증에서 K⁺ 상승 기전
- 세포 외액에 H⁺(수소이온) 농도가 증가하면, 세포 내 H⁺을 줄이기 위해 세포 내 K⁺과 H⁺이 교환됨 → 혈중 K⁺ 증가
- 특히 무기산(예: 대사성 산증)의 경우 K⁺ 변화가 크다
- 하지만 유기산(예: 케톤산증, 젖산산증)에서는 K⁺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음
💡 즉, 산증에서는 혈중 K⁺이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음!
🔹 2. 산증 교정 후 K⁺이 감소하는 이유
산증이 교정되면 혈중 H⁺이 감소하면서 세포 내 K⁺이 다시 세포 밖으로 나갈 필요가 없어짐 → 결과적으로 혈중 K⁺ 감소
✅ 산증 교정 후 K⁺ 감소 원인
1️⃣ 세포 내로 K⁺ 재분포 → 혈중 K⁺ 감소
2️⃣ 소변을 통한 K⁺ 배설 증가 (알칼리 환경에서 K⁺ 배설 증가)
💡 따라서, 산증이 교정될 때 저칼륨혈증(Hypokalemia)을 주의해야 함!
🔹 3. 산증의 종류에 따른 K⁺ 변화
산증 유형 | K⁺ 변화 교정 후 | K⁺ 감소 여부 |
대사성 산증 (Metabolic Acidosis) | K⁺ 증가 (세포 외 유출) | ✅ 감소 가능 |
호흡성 산증 (Respiratory Acidosis) | K⁺ 변화 적음 | ❌ 영향 미미 |
유기산증 (DKA, 젖산산증) | 상대적으로 K⁺ 변화 적음 | ✅ 감소 가능 |
💡 DKA(당뇨성 케톤산증)에서는 실제 K⁺이 부족하지만, 초기에는 정상 또는 증가한 것처럼 보일 수 있음!
🔹 4. 임상적 의미 – 언제 K⁺ 보충이 필요할까?
1️⃣ 대사성 산증 교정 후 저칼륨혈증 위험군
✅ 산증 교정 전 K⁺이 정상 또는 낮은 경우
✅ 이뇨제(특히 루프 이뇨제) 사용 환자
✅ DKA 환자 (총 K⁺ 고갈 상태)
✅ 신부전이 없는 환자에서 중탄산나트륨(NaHCO₃) 치료 후
💡 산증 교정 전 K⁺이 4.5 mEq/L 이하라면, 교정 후 저칼륨혈증을 예상하고 K⁺ 보충을 고려해야 함!
2️⃣ K⁺ 보충 전략 (산증 교정 중 또는 후)
혈중 K⁺ (mEq/L) | 보충 필요 여부 | 보충 전략 |
<3.0 | ⚠️ 적극적 보충 필요 | KCl 20~40mEq/hr IV |
3.0~3.5 | ✅ 보충 권장 | KCl 10~20mEq/hr IV |
3.5~4.5 | 🟡 모니터링 | 필요 시 PO 또는 IV 보충 |
>4.5 | ❌ 보충 불필요 | 관찰만 시행 |
💡 DKA 환자는 인슐린 투여 전 혈중 K⁺이 3.3 mEq/L 이상인지 확인 후 시작!
🔹 5. 핵심 요약
✅ 산증이 교정되면 혈중 K⁺이 감소할 수 있음
✅ K⁺ 감소 기전 → 세포 내 재분포 + 신장에서 K⁺ 배설 증가
✅ 대사성 산증(특히 무기산증) 교정 시 K⁺ 감소 위험이 큼
✅ 산증 교정 전 K⁺이 정상 이하라면 저칼륨혈증을 대비하여 보충 필요
✅ DKA 환자는 실제 K⁺ 고갈 상태이므로 인슐린 투여 전 K⁺ 상태를 확인해야 함
💡 산증을 교정할 때 K⁺ 변화를 항상 고려하고, 필요 시 보충해야 합니다!
🚑 K⁺을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부정맥, 근육 약화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자 치료를 최적화하는 ABCDEF 번들의 모든 것 (0) | 2025.03.03 |
---|---|
ICU에서 사용하는 승압제·강심제, 알파·베타 작용별 정리 (0) | 2025.02.27 |
AF RVR에서 IV 베타 차단제, 어떤 환자에게 어떤 약을 써야 할까? (0) | 2025.02.27 |
ICU에서 환자의 교감신경 항진, 어떻게 평가할까? (1) | 2025.02.27 |
중환자실에서 흔한 AF RVR, 원인과 해결책은?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