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두개내압(ICP)을 고려한 기관삽관 약물 선택법

by Avenue 2025. 2. 24.
반응형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이 상승한 환자에서 기관삽관(Intubation)을 시행할 때, 적절한 약물 선택이 필수적입니다. 잘못된 약물 사용은 ICP 상승을 악화시키거나, 저혈압으로 인한 뇌관류압 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ICP 상태와 전신 혈역학을 고려한 신중한 약물 선택이 필요합니다. 🧠💉

두개내압(ICP)을 고려한 기관삽관 약물 선택법


1️⃣ 두개내압 상승과 기관삽관의 위험성

🔺 두개내압 상승의 주요 원인

  •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
  • 뇌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Intracerebral Hemorrhage)
  • 뇌부종(Cerebral Edema)
  • 뇌종양(Brain Tumor)
  • 뇌염 및 수막염

🚨 기관삽관 시 ICP 상승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

  1. 기도 반사(Stimulation of Airway Reflexes) → 기침, 인후 반사(Gag Reflex), 후두경 삽입으로 ICP 증가
  2. 저산소증(Hypoxia) → 혈관 확장으로 뇌 혈류 증가 및 ICP 상승
  3. 고탄산증(Hypercapnia, CO₂ 증가) → 뇌혈관 확장으로 ICP 상승
  4. 저혈압(Hypotension) → 뇌관류압(Cerebral Perfusion Pressure, CPP) 감소

적절한 약물 선택이 ICP 상승을 최소화하고, 뇌관류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2️⃣ 두개내압 상승 환자의 기관삽관 약물 선택 가이드

기관삽관을 위한 약물은 크게 **유도제(Sedatives/Induction agents)**와 **신경근 차단제(Neuromuscular Blockers, NMBs)**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유도제(Induction Agents) 선택

📌 사용 권장 약물 (ICP 증가 최소화 & 혈역학 안정성 고려)

약물 용량 장점 주의점
Etomidate 0.2~0.3 mg/kg IV 혈압 유지, ICP 영향 적음 장기 사용 시 부신 억제 가능
Propofol 1~2 mg/kg IV ICP 감소, 항경련 효과 저혈압 위험 (혈역학 불안정 시 주의)
Ketamine 1~2 mg/kg IV 저혈압 환자에서 유리, 진통 효과 기존 이론과 달리 ICP 증가 우려 없음 (최신 연구)

🚫 피해야 할 약물 (ICP 상승 위험)

  • Midazolam: 초기 저혈압 유발 가능, 작용 시간 김
  • Thiopental: 강력한 뇌 보호 효과 있으나, 심한 저혈압 유발 가능

🔹 신경근 차단제(Neuromuscular Blockers, NMBs) 선택

📌 사용 권장 약물

약물 용량 장점 주의점
Rocuronium 0.6~1.2 mg/kg IV 빠른 작용, 혈압 영향 적음 작용 지속 시간 김
Vecuronium 0.1 mg/kg IV 혈역학적 안정성 좋음 작용 지속 시간 김

🚫 피해야 할 약물

  • Succinylcholine:
    ⛔ 근육 수축으로 ICP 상승 가능 → 두개내압 상승 환자에서는 피하는 것이 원칙
    ⛔ 고칼륨혈증(Hyperkalemia) 위험

3️⃣ 두개내압 상승 환자의 기관삽관 프로토콜

목표: ICP 상승 최소화 & CPP 유지

  1. Preoxygenation (100% O₂ 3~5분) → 저산소증 방지
  2. 혈압 유지 (수액 or 혈관수축제 사용 고려)
  3. 유도제 투여 (Etomidate or Propofol)
  4. 신경근 차단제 투여 (Rocuronium or Vecuronium)
  5. 빠른 기도 확보(RSI, Rapid Sequence Intubation) 시행
  6. 적절한 환기 유지 (PaCO₂ 35~40 mmHg 목표, 과호흡 금지)

4️⃣ 최신 연구: Ketamine은 ICP를 상승시킬까?

과거에는 Ketamine이 뇌혈류 증가로 ICP를 상승시킨다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ICP 상승 환자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 최신 연구 결과

  • 2014년 Crit Care Med 연구: Ketamine이 ICP를 유의미하게 증가시키지 않음
  • 2015년 Neurocrit Care 연구: 저혈압을 동반한 외상성 뇌손상(TBI) 환자에서 유용

📌 결론: 기존 이론과 달리, Ketamine은 혈압이 불안정한 환자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


5️⃣ 결론: 두개내압 상승 환자의 기관삽관 약물 선택 요약

1. 유도제 선택

  • 1순위: Etomidate (혈압 유지 & ICP 영향 적음)
  • 2순위: Propofol (ICP 감소 효과, 그러나 저혈압 위험)
  • 3순위: Ketamine (혈압 유지, 최신 연구에서 안전성 입증)

2. 신경근 차단제 선택

  • 1순위: Rocuronium (빠른 작용, 혈압 영향 적음)
  • 2순위: Vecuronium (혈압 안정성 좋음)
  • 🚫 Succinylcholine 금기! (ICP 상승 위험)

3. 삽관 과정에서 ICP 상승을 방지하는 전략
✅ RSI(Rapid Sequence Intubation) 적용
✅ 저산소증 & 고탄산증 방지 (PaCO₂ 35~40 mmHg 유지)
✅ 혈압 유지 (저혈압 발생 시 수액 & 혈관수축제 사용)

📌 핵심 요점: ICP 상승 환자의 기관삽관 시 Etomidate + Rocuronium 또는 Ketamine + Rocuronium 조합이 가장 안전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