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프레소폴엠시티 2% 사용법: 기계환기 여부에 따른 진정 용량 정리

by Avenue 2025. 6. 1.

프레소폴엠시티 2% (Fresofol MCT 2%)는 농축형 프로포폴 제제로, 기존 1% 제제에 비해 부피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특히 중환자 진정이나 수술 마취 유지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2% 제제는 1cc당 20mg의 프로포폴이 들어 있어 용량 계산과 주입 속도 조절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계환기 여부에 따른 진정 용량 차이, 사용 시 주의사항, 그리고 임상 상황별 활용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프레소폴엠시티 2% 사용법: 기계환기 여부에 따른 진정 용량 정리


💡 프레소폴엠시티 2%란?

성분 프로포폴 (Propofol) 2% (20mg/mL)
제형 정제된 중쇄지방산(MCT) 유화제 사용
장점 주사 부위 통증 감소, 유화 안정성 증가
특징 1% 제제 대비 절반 부피로 같은 효과

🔍 1% vs 2% 용량 비교

제제 농도 1cc 당 함유량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한 부피
1% 10mg 100mg 투여 시 → 10mL 필요
2% 20mg 100mg 투여 시 → 5mL 필요

⚠️ 2% 제제는 실수 시 과다 투여 위험이 높으므로 정확한 용량 계산 필수!


🫁 기계환기 여부에 따른 용량 전략

✅ 기계환기 환자 (삽관 또는 NIV)

심도 깊은 진정 또는 마취 유지 목적

  • 유도용량: 1.0–2.5 mg/kg IV bolus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절)
  • 유지용량: 4–12 mg/kg/hr (2% 제제 기준: 0.2–0.6 mL/kg/hr)
  • 기계호흡 상태에서는 호흡 억제 위험이 크지 않으므로 고용량 사용 가능

예: 60kg 환자 → 유지용량: 12–36 mL/hr

✅ 자발호흡 환자 (비삽관, 고유량 산소 등)

중등도 진정 필요

  • 유도용량: 0.5–1.0 mg/kg IV slow bolus
  • 유지용량: 1–3 mg/kg/hr (2% 제제 기준: 0.05–0.15 mL/kg/hr)
  • 자발 호흡 유지가 중요하므로 저용량 지속 투여 또는 간헐적 투여 권장

예: 60kg 환자 → 유지용량: 3–9 mL/hr


📋 용량 정리표

환자 상태 유도용량 (IV bolus) 유지용량 (2% 제제 기준) 주의사항
기계환기 1–2.5 mg/kg 0.2–0.6 mL/kg/hr 호흡억제 가능, 고용량 허용
자발호흡 0.5–1.0 mg/kg 0.05–0.15 mL/kg/hr 저용량, 지속 모니터링 필요

⚠️ 사용 시 주의사항

  • 항상 주입펌프 사용: 2% 제제는 농도가 높아 수동 주입 시 과투여 위험
  • 산소포화도, 호흡수 실시간 감시: 자발호흡 환자에서는 필수
  • 순환기능 저하 환자 주의: 저혈압, 서맥 유발 가능성 있음
  • 지속 주입 시 12시간 이내 교체 권장 (감염 및 유화 안정성 저하 방지)

🧪 병용 요법 TIP

  • 페티딘, 미다졸람 병용 시 용량 감소 가능 (상승 효과)
  • 혈압 유지 위해 혈관수축제 병용 고려 가능 (노르에피네프린 등)
  • 프로포폴 유도 후 덱스메데토미딘으로 유지 전략도 가능

Q&A 💬

Q1. 2% 제제를 무조건 써야 하나요?
A. 아닙니다. 고농축 제제가 필요한 경우(고용량 투여 시 부피 절감 등)에 선택합니다.

Q2. 자발호흡 환자에서 너무 깊이 자면 위험한가요?
A. 네. 기도 폐쇄나 호흡 정지가 발생할 수 있어 깊은 진정은 금물입니다.

Q3. Propofol Infusion Syndrome(PIS) 위험은 없나요?
A. 고용량 장기 투여 시 발생 가능하므로, >4mg/kg/hr 이상 48시간 이상 투여 시 주의해야 합니다.

Q4. 회복은 얼마나 걸리나요?
A. 대부분 투여 종료 후 5–15분 내 의식 회복, 완전 회복은 30–60분 이내입니다.

Q5. 혈압이 낮은 환자에게도 쓸 수 있나요?
A. 가능하나 천천히 주입, 필요 시 수액 보충 및 혈관수축제 병용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