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EKG)에서 ST 분절 상승(ST Elevation)을 보면 누구나 심근경색(AMI)을 먼저 떠올립니다. 하지만 LBBB(좌각 차단, Left Bundle Branch Block)가 있는 경우, 전형적인 ST 변화 해석이 어렵습니다. 기존의 진단 기준이 잘 맞지 않기 때문인데요. 이럴 때 유용하게 쓰이는 것이 바로 Modified Sgarbossa Criteria(수정된 스가보사 기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LBBB 환자에서 ST Elevation 감별을 위해 Modified Sgarbossa Criteria가 왜 필요한지, 어떻게 적용하는지를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왜 LBBB에서 감별이 어렵나요? 🤯
LBBB는 심실 사이의 전기 전도 경로가 비정상이라, 심전도 파형 자체가 비정상적인 것이 "정상"입니다.
따라서 ST 분절이나 T파 변화도 왜곡되며, 심근경색이 있어도 전형적인 ST Elevation이 나타나지 않거나, 오히려 가짜 ST Elevation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 특히 전벽 심근경색과 LBBB가 겹치면, 생명을 위협하는 진단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Sgarbossa Criteria란? 🧠
Sgarbossa 기준은 1996년 발표된 LBBB 환자의 급성 심근경색 진단을 위한 심전도 해석 기준입니다.
하지만 민감도(36%)가 낮아 진짜 심근경색을 놓칠 위험이 있어 2012년 이후 Modified Sgarbossa Criteria(수정 기준)가 등장했습니다.
Modified Sgarbossa Criteria 요약표 📋
기준 항목 | 의미 | 점수 | 해석 |
---|---|---|---|
1. Concordant ST Elevation ≥ 1 mm (QRS와 같은 방향) | 심근경색의 강력한 지표 | 5점 | + |
2. Concordant ST Depression ≥ 1 mm in V1–V3 | 후벽 또는 하벽 허혈 가능성 | 3점 | + |
3. Excessive Discordant ST Elevation (ST/QRS ≥ 0.25) | 병적인 불일치 ST Elevation (수정 기준) | 2점 | + |
📌 총점이 ≥ 3점이면 급성 심근경색 가능성 높음 → 즉시 평가 및 치료 필요
왜 “수정” Sgarbossa가 중요한가요? 📌
기존 기준에서는 QRS와 반대 방향의 ST Elevation이 5mm 이상일 때만 의심했지만, 이는 전기 축과 심실 크기 등 개인 차이를 무시한 정량적 기준이었습니다.
Modified Sgarbossa Criteria는 ST Elevation이 QRS 복합파의 크기 대비 25% 이상인 경우를 병적 변화로 간주해 민감도는 80~90%까지 향상되었습니다. (Smith et al., Circulation, 2012)
실제 적용 예시 🖼️
예시 1: 진짜 STEMI (심근경색)
- V2에서 QRS가 -4mm, ST Elevation +2mm
- ST/QRS = 2/4 = 0.5 → 0.25 이상 → Modified Sgarbossa 양성
예시 2: 가성 Elevation (정상 LBBB 패턴)
- V5에서 QRS -10mm, ST Elevation +2mm
- ST/QRS = 2/10 = 0.2 → 0.25 미만 → 허위 양성 가능성, 감시 필요
임상에서 이렇게 사용하세요 👨⚕️
- LBBB가 있으면 항상 Modified Sgarbossa를 염두에 두세요.
- ST Elevation 보이면 ST/QRS 비율 계산하기!
- 심초음파, Troponin, 임상 증상과 병합해서 종합 판단하기.
- 점수 3점 이상이면 심근경색 간주하고, 응급관상동맥중재술(PCI) 고려해야 합니다.
Q&A 💬
Q1. LBBB 환자는 모두 Modified Sgarbossa를 적용해야 하나요?
A. 급성 흉통, 심근경색 의심 증상 시 적용하며, 만성 LBBB만으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Q2. Concordant ST Elevation이란?
A. QRS가 위로 향하고, ST 분절도 위로 올라가 있는 상태로 진짜 허혈을 시사하는 중요한 소견입니다.
Q3. QRS와 ST 비율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A. 해당 리드에서 QRS의 높이(또는 깊이)와 ST의 높이를 절대값으로 비교합니다.
Q4. Troponin 수치가 정상이면 괜찮은가요?
A. 초기에는 정상이더라도 시간 차를 두고 재측정이 필요합니다.
Q5. 심전도만으로 결정할 수 없을 때는?
A. 침상 심초음파(POCUS), 연속 심전도 모니터링, 혈액검사 등 종합적인 평가가 필수입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라마돌, 마약일까 아닐까? 진짜 진통제 이야기 (0) | 2025.06.01 |
---|---|
케타민, 진정제일까 진통제일까? 하나로 두 가지 효과 (0) | 2025.06.01 |
10분이면 깬다고? 프로포폴 시술 후 회복 타이밍 (0) | 2025.06.01 |
덱스메데토미딘만 있나요? 비삽관 환자의 안전한 진정 전략 (0) | 2025.06.01 |
LBBB(좌각 차단), 단순 이상 소견일까? 치료가 필요할까? (0)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