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기관지확장증 환자가 폐렴에 걸렸을 때, 항생제 선택은 어떻게 할까요?

by Avenue 2025. 4. 18.
반응형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은 기관지가 비정상적으로 확장되고, 점액이 축적되어 만성적인 기침과 가래를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폐 감염에 취약해지고, 특히 폐렴(pneumonia)이 발생했을 때는 일반적인 환자보다 더 복잡한 치료 전략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기관지확장증 환자가 폐렴에 걸렸을 때 항생제 선택 기준과 고려해야 할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제 임상 경험과 최신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명드릴게요 😊

기관지확장증 환자가 폐렴에 걸렸을 때, 항생제 선택은 어떻게 할까요?


기관지확장증에서 폐렴이 위험한 이유 🦠

기관지확장증 환자들은 정상인보다 점액 배출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세균이 폐 안에 오래 머무르며 감염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게다가 일부 환자들은 이미 만성 세균 정착(chronic colonization) 상태에 있어, 평소에도 폐에 균이 서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세균이 자주 문제가 됩니다:

주요 원인균 특징
Pseudomonas aeruginosa 약제 내성이 강하고 예후 나쁨
Haemophilus influenzae 급성 악화의 흔한 원인
Staphylococcus aureus 젊은 환자, 낭성섬유증 동반 시 주의
Enterobacteriaceae 입원환자, 기저질환 있는 경우

이런 상황에서는 표준 폐렴 항생제만으로는 효과가 부족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항생제 선택 시 고려 사항 🔍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 폐렴이 발생했을 때,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항생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1. 최근 배양검사 결과 확인

환자가 평소 가래 배양에서 어떤 균이 자주 나오는지 확인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 평소 Pseudomonas가 자주 검출되었다면 항-Pseudomonas 항생제를 고려

2. 환자의 임상 상태

  • 입원 여부
  • 호흡곤란의 정도
  • 산소 필요성
  • 전신 염증 반응

3. 항생제 내성 가능성

  • 최근 항생제 사용 이력
  • 과거 다제내성균(MDR) 감염 여부

항생제 선택 전략 💊

✅ 경증 외래환자 (급성 폐렴 + 기관지확장증 병력)

  •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레보플록사신
  • 과거 배양에서 H. influenzae, S. pneumoniae → 위 항생제 유효

✅ 중등도~중증 입원환자

  • 항-Pseudomonas 항생제 필요
    • 피페라실린/타조박탐 (Pip/Tazo)
    • 세프트라졸(cefepime) 또는 세포페라존/술박탐
    • 혹은 카바페넴류 (메로페넴 등)
  • 경우에 따라 항생제 병합요법:
    • 반코마이신(→ MRSA 커버), 아미노글리코사이드(→ Pseudomonas 강화 효과)

📌 참고: 2023년 Respiratory Medicine 리뷰에 따르면, 기관지확장증 환자의 폐렴 치료에서 항-Pseudomonas 범주의 항생제를 초기에 사용하는 것이 사망률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실제 임상 경험 ✍️

한 70대 남성 기관지확장증 환자가 고열, 누런 가래,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내원했습니다. 과거 가래 배양에서 Pseudomonas aeruginosa가 반복적으로 검출된 이력이 있었기에, 초기 항생제로 피페라실린/타조박탐을 정맥주사로 투여했습니다.

가래 배양에서 동일 균주가 나왔고, 약제 감수성이 있어 항생제를 유지하며 치료를 이어갔습니다. 약 7일 후 임상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했으며, 이 사례는 ‘선제적인 균 커버’의 중요성을 잘 보여줍니다.


Q&A: 기관지확장증 + 폐렴 항생제 관련 궁금증 ❓

Q1. 기관지확장증 환자는 항상 Pseudomonas 커버해야 하나요?
A1. 아닙니다. 과거 배양 이력이나 중증도에 따라 선택하며, 경증 환자라면 필요 없을 수 있습니다.

Q2. 경구 항생제만으로 치료 가능한가요?
A2. 증상이 경미하고 전신 증상이 없을 경우, 경구 항생제만으로 치료 가능하지만, 고위험군은 입원 치료가 권장됩니다.

Q3. 배양 결과 나오기 전 항생제 선택은 어떻게 하나요?
A3. 과거 배양 이력과 지역 내 감염 패턴을 바탕으로 경험적 항생제를 선택합니다.

Q4. 항생제 치료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A4. 보통 7~14일 정도며, 임상 반응과 염증 수치에 따라 조절됩니다.

Q5.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 폐렴이 자주 재발하는 이유는?
A5. 점액 정체와 구조적 손상으로 인해 세균이 잘 제거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흡입기나 물리적 배출 치료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