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중환자실에서 ICP 조절 시 주의해야 할 약물 사용 가이드

by Avenue 2025. 3. 22.
반응형

두개내압(ICP, Intracranial Pressure) 상승은 외상성 뇌손상(TBI), 뇌출혈, 뇌부종, 뇌종양 등에서 발생하는 응급 상황으로, 신속하고 적절한 약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ICP를 조절하는 약물에는 삼투압 이뇨제, 진정제, 혈관작용제, 스테로이드, 항경련제 등이 있으며, 잘못된 사용 시 뇌허혈, 저혈압, 반동성 ICP 상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중환자실에서 ICP 조절 시 주의해야 할 약물과 올바른 사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중환자실에서 ICP 조절 시 주의해야 할 약물 사용 가이드


🧬 ICP 조절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및 주의사항

1️⃣ 삼투압 이뇨제: 만니톨(Mannitol) vs 고장성 식염수(HTS)

약물 기전 장점 주의사항
만니톨 (Mannitol, 20%) 삼투압 이뇨 → 혈관 내로 수분 이동 → 뇌부종 감소 빠른 ICP 감소, 항산화 효과 반동성 ICP 상승, 신부전 환자 금기
고장성 식염수 (HTS, 3~23.4%) 고삼투압 환경 → 뇌조직 내 수분 이동 ICP 감소 효과 강력, 혈압 유지 고나트륨혈증 주의, Na >160mEq/L 시 위험

📌 주의사항:

  • 만니톨: 신장 기능 확인 필수 (Cr 상승 시 중단 고려), 반복 사용 시 반동성 ICP 상승 가능
  • HTS: 혈중 나트륨(Na) 농도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 (과도한 Na 증가 시 신경학적 이상 가능)

급성 ICP 상승 시: HTS(3%~23.4%)가 효과적
신장 기능 정상 + 단기 ICP 조절 필요: 만니톨 사용 가능


2️⃣ 진정제 & 마취제: 프로포폴 vs 미다졸람 vs 덱스메데토미딘

ICP 상승 환자에서는 산소 소비량과 대사율을 낮춰 ICP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진정제와 마취제가 사용됩니다.

약물 기전 장점 주의사항
프로포폴 (Propofol) GABA 수용체 작용 → 대사율 감소 → ICP 감소 신속한 효과, 짧은 반감기 저혈압 위험, 프로포폴 주입 증후군(PRIS) 주의
미다졸람 (Midazolam) 벤조디아제핀 → 진정, 항경련 효과 진정 효과 우수 장기간 사용 시 ICP 상승 가능
덱스메데토미딘 (Dexmedetomidine) α2 작용제 → 진정 + 교감 억제 심혈관 영향 적음, 각성 유지 가능 저혈압 위험, 고용량 시 심박수 저하

📌 주의사항:

  • 프로포폴: 저혈압 위험 → 혈압 모니터링 필수
  • 미다졸람: 장기간 사용 시 ICP 상승 가능 → 신중한 용량 조절
  • 덱스메데토미딘: 저혈압 및 서맥 발생 가능 → 혈압 유지 필수

ICP 급성 조절: 프로포폴 추천 (단, 저혈압 주의)
장기 진정 필요: 덱스메데토미딘 고려 (혈압 유지 필요)


3️⃣ 혈관작용제: 저혈압 vs 고혈압 관리

ICP 조절 시 적절한 뇌관류압(CPP, Cerebral Perfusion Pressure) 유지가 중요합니다.
CPP = MAP - ICP 로 계산되며, CPP를 60~70mmHg 이상 유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저혈압 치료제 (CPP 유지)

약물 기전 주의사항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α1 작용 → 혈압 상승 심박수 증가 주의
페닐에프린 (Phenylephrine) 순수 α 작용 → 말초혈관 수축 반사성 서맥 가능

CPP가 감소한 경우: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페닐에프린 사용 가능

🚨 고혈압 치료제 (ICP 상승 방지)

약물 기전 주의사항
라베타롤 (Labetalol) β + α 차단 저혈압 위험
니카르디핀 (Nicardipine) Ca 차단제 → 혈관 확장 과도한 혈압 저하 주의

ICP 상승 + 심한 고혈압: 니카르디핀 사용 가능 (빠른 혈압 조절 가능)
급성 혈압 상승 시: 라베타롤(볼루스) 사용 가능

📌 주의사항:

  • 혈압을 너무 낮추면 CPP 감소 → 뇌 허혈 위험
  • 고혈압 조절은 점진적으로 진행 (MAP 10~15% 감소 목표)

4️⃣ 스테로이드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스테로이드는 뇌종양, 뇌염 등으로 인한 뇌부종에 효과적이지만, 외상성 뇌손상(TBI)에서는 금기입니다.

사용 가능: 뇌종양, 뇌수막염, 전이성 뇌부종
사용 금기: 외상성 뇌손상(TBI) (연구 결과 사망률 증가)

📌 주의사항:

  • 고혈당, 감염 위험 증가 가능 → 혈당 조절 필수

뇌종양 관련 부종 조절 시 유용한 약제


5️⃣ 항경련제: 발작 예방 및 치료

ICP 상승 환자에서 발작은 뇌 대사율을 증가시키고, ICP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경련제(Levetiracetam, Phenytoin) 투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약물 기전 사용 적응증 주의사항
레비티라세탐 (Levetiracetam, Keppra) 시냅스 단백질(SV2A) 조절 발작 예방 및 치료 상대적으로 부작용 적음
페니토인 (Phenytoin) Na 채널 차단 외상성 뇌손상(TBI) 후 7일간 발작 예방 장기간 사용 시 신경독성

📌 주의사항:

  • TBI 후 발작 예방: 7일간 페니토인 사용 후 중단
  • 장기적 항경련 치료: 레비티라세탐 선호 (부작용 적음)

ICP 상승 시 발작 예방 필수 → 레비티라세탐 또는 페니토인 사용


🚑 결론: ICP 조절 시 약물 사용 가이드 요약

상황 추천 약물 주의사항
ICP 급성 조절 고장성 식염수(HTS) > 만니톨 HTS: 고나트륨혈증 주의, 만니톨: 신기능 확인
진정제 선택 프로포폴 > 덱스메데토미딘 프로포폴: 저혈압 주의, PRIS 위험
혈압 유지 노르에피네프린, 페닐에프린 과도한 저혈압 예방
혈압 조절 (고혈압 시) 니카르디핀, 라베타롤 CPP 60mmHg 유지
발작 예방 레비티라세탐 > 페니토인 TBI 후 7일간 페니토인 가능

💡 중환자실에서 ICP 조절 시 약물 사용은 환자의 상태에 맞게 신중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