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은 감염에 대한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전신적인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초기 대응이 생존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패혈증 초기 치료의 핵심은 신속하고 적절한 항생제 선택과 투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패혈증 초기 치료에서 항생제의 선택 및 적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패혈증 초기 항생제 치료의 중요성
패혈증 치료에서 항생제의 초기 투여가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감염 원인균 조기 억제: 감염 부위를 조기에 억제해 패혈증의 진행을 막습니다.
- 사망률 감소: 적절한 항생제를 1시간 이내에 투여하면 패혈증 환자의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감소합니다.
- 패혈성 쇼크 예방: 적절한 초기 항생제 치료는 패혈성 쇼크의 발생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항생제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
패혈증 초기 치료에서 항생제를 선택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1️⃣ 감염 부위
- 폐렴: 세프트리악손 또는 레보플록사신과 같은 항생제 사용
- 복강내 감염: 피페라실린/타조박탐과 같은 광범위 항생제 사용
- 요로 감염: 세포탁심 또는 시프로플록사신 사용
2️⃣ 원인균 추정
- 그람양성균: 반코마이신 사용
- 그람음성균: 세프타지딤, 메로페넴 사용
3️⃣ 환자의 개인 병력 및 상태
- 항생제 알레르기 여부 확인
- 신장 기능 및 간 기능에 따른 용량 조절
4️⃣ 지역 감염 패턴 및 항생제 내성
- 병원의 항생제 감수성 자료 및 지역 내 감염병 발생 현황 참고
패혈증 초기 광범위 항생제 사용 원칙
패혈증 초기에는 원인균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베타락탐계 항생제: 피페라실린/타조박탐, 세프트리악손
- 카바페넴계 항생제: 메로페넴
- 글리코펩타이드계 항생제: 반코마이신
이후 감염 원인균이 확인되면 좁은 범위의 항생제로 신속히 전환해야 합니다.
항생제 투여 방법과 주의사항
1️⃣ 1시간 이내 초기 투여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가 의심되면 진단 후 1시간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해야 합니다.
2️⃣ 혈액 배양 검사 우선 시행
항생제 투여 전 최소 2세트 이상의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해 원인균을 확인합니다.
3️⃣ 정확한 용량 조절
- 신장 기능에 따른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 항생제 투여 간격도 고려해야 합니다.
4️⃣ 반복 평가와 모니터링
- 환자의 임상 반응을 지속적으로 평가합니다.
- 항생제 부작용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합니다.
패혈증 항생제 치료 시 흔히 사용되는 약물
폐렴 | 세프트리악손 + 아지스로마이신 |
복강내 감염 | 피페라실린/타조박탐 또는 메트로니다졸 |
요로 감염 | 세포탁심 또는 시프로플록사신 |
그람양성 감염 | 반코마이신 |
그람음성 감염 | 세프타지딤, 메로페넴 |
패혈증 항생제 치료에 대한 Q&A
Q1. 광범위 항생제는 언제까지 사용하나요?
A1. 원인균이 확인되면 가능한 빨리 좁은 범위의 항생제로 전환합니다.
Q2. 왜 혈액 배양 검사를 항생제 투여 전에 해야 하나요?
A2. 원인균 확인을 위해 항생제 투여 전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3. 패혈증 초기 항생제 치료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A3. 감염을 신속하게 억제하고 패혈성 쇼크 발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Q4. 항생제 내성 문제를 어떻게 고려하나요?
A4. 지역 내 감염 패턴 및 병원 항생제 감수성 자료를 참고해 항생제를 선택합니다.
Q5. 패혈증 환자에서 항생제 알레르기가 있을 경우 대안은 무엇인가요?
A5. 환자의 알레르기 병력에 따라 대체 항생제를 사용하며, 필요 시 감염내과 전문가와 상의합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수 유형별 수액 요법, 상황에 따라 다르게! (0) | 2025.03.06 |
---|---|
5DW는 탈수 교정에 적절할까? (0) | 2025.03.06 |
환자 치료를 최적화하는 ABCDEF 번들의 모든 것 (0) | 2025.03.03 |
ICU에서 사용하는 승압제·강심제, 알파·베타 작용별 정리 (0) | 2025.02.27 |
산증이 교정되면 칼륨이 감소한다? K⁺ 변화와 임상적 의미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