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환자실16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MRAB) 감염, 어떤 항생제가 효과적일까?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는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균 중 하나입니다. 특히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는 기존의 항생제 치료가 어려운 고위험 병원균으로, 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수술 부위 감염 등을 일으킵니다.이번 글에서는 MRAB 감염의 치료 전략, 효과적인 항생제 선택, 최신 치료 지침 및 연구 동향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MRAB)란?MRAB는 β-락탐계(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 퀴놀론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아시네토박터 균주를 의미합니다.특히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CRAB, Carbapenem-Resistan.. 2025. 2. 23.
중환자실에서의 항생제 사용 전략: Escalation vs. De-escalation 중환자실(ICU)에서는 감염 치료가 환자의 생존에 직결됩니다. 특히 패혈증, 폐렴, 요로 감염 등이 흔히 발생하며, 적절한 항생제 사용이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하지만 항생제 내성 문제로 인해 무조건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환자실에서는 Escalation(에스컬레이션)과 De-escalation(디에스컬레이션) 전략을 균형 있게 활용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Escalation vs. De-escalation 전략의 개념, 장단점, 최신 연구 동향, 그리고 실제 적용 사례를 다뤄보겠습니다.📌 Escalation(에스컬레이션) 전략이란?에스컬레이션 전략은 초기에 좁은 스펙트럼 항생제(Narrow-Spectrum)를 사용하고, 감염이 조절되지 않으.. 2025. 2. 23.
PPV, SVV, PLR Test로 보는 중환자실 수액 반응성 평가 중환자실(ICU)에서 혈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액 치료(fluid therapy)는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무분별한 수액 투여는 폐부종, 조직 부종, 심부전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액 반응성(fluid responsiveness)"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수액 반응성이란, 환자가 추가적인 수액 투여에 의해 심박출량(CO, Cardiac Output)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지 평가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PPV(Pulse Pressure Variation), SVV(Stroke Volume Variation), PLR(Passive Leg Raising Test)입니다.이번 글에서는 PPV, SVV, PLR Test의 원리, 임상 적용 방법 및 .. 2025. 2. 20.
중환자의학과란? – 생명을 지키는 최전선 중환자의학과(Critical Care Medicine, CCM)는 생명이 위태로운 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분야로,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에서 중증 질환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중환자의학과 전문의는 다양한 내과 및 외과 질환으로 인해 장기 기능이 저하된 환자를 치료하고, 인공호흡기, 신대체요법(CRRT), 체외막산소화(ECMO) 등 고급 생명 유지 장치를 다루며,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집중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의학과의 역할, 다루는 주요 질환, 치료법 및 미래 전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 중환자의학과의 역할 🏥🔹 중환자의학과가 담당하는 주요 업무✅ 중환자실(ICU)에서 중증 환자 치료✅ 다발성 장기부전(MODS) 및 패혈증 치료✅ 인공호.. 2025. 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