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는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균 중 하나입니다. 특히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는 기존의 항생제 치료가 어려운 고위험 병원균으로, 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수술 부위 감염 등을 일으킵니다.
이번 글에서는 MRAB 감염의 치료 전략, 효과적인 항생제 선택, 최신 치료 지침 및 연구 동향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MRAB)란?
MRAB는 β-락탐계(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 퀴놀론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아시네토박터 균주를 의미합니다.
특히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CRAB,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는 치료 옵션이 극히 제한적입니다.
🔹 MRAB의 특징
✅ 환경 저항성이 강해 병원 내 오염이 쉽고 전파 속도가 빠름
✅ 다약제 내성(MDR), 광범위 내성(XDR), 범내성(PDR) 균주로 구분됨
✅ 주로 면역저하 환자, 장기 입원 환자, 기계환기 치료 환자에서 감염 위험 증가
🔸 내성 기전
- β-락탐 분해 효소(β-lactamase) 생산 → 카바페넴 내성
- 박테리아 외막 단백질 변형 → 항생제 유입 차단
- Efflux pump 활성화 → 항생제 세포 밖 배출
📌 MRAB 감염에서 효과적인 항생제는?
MRAB 감염 치료에서 단독요법보다 병합요법(Combination therapy)이 권장됩니다.
치료 옵션은 감염 부위, 내성 패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폴리믹신계 (콜리스틴, 폴리믹신 B)💊
✅ 중증 MRAB 감염에서 1차 선택 항생제
✅ 기전: 세균 세포막을 파괴하여 살균 효과
✅ 투여 방식: 정맥주사(IV) 또는 흡입형(폐렴 치료 시)
❌ 부작용: 신독성, 신경독성 위험 (고령자, 신부전 환자에서 주의)
💡 최신 연구:
- 폴리믹신 B가 콜리스틴보다 신독성이 적어 선호되는 경향 있음.
- 흡입형 콜리스틴은 폐렴 치료에서 효과적 (VAP, HAP 환자에서 유용).
2️⃣ 테트라사이클린계 (티제사이클린, 에라바사이클린)🦠
✅ 티제사이클린(Tigecycline): MRAB 감염에서 사용 가능
✅ 에라바사이클린(Eravacycline): 최근 FDA 승인, 경구 및 정맥 투여 가능
❌ 단점: 혈중 농도가 낮아 패혈증, 균혈증 치료에는 적절하지 않음
💡 적용 사례:
- 폐렴(VAP/HAP), 복강 감염에서 유용
- 혈류 감염(BSI) 치료에는 단독요법으로 비추천
3️⃣ 카바페넴+β-락탐/β-락타마제 억제제 (Sulbactam 포함)🔬
✅ 설박탐(Sulbactam)은 MRAB에 직접적인 살균 효과가 있음
✅ 카바페넴(메로페넴, 이미페넴)과 병용 시 효과 증가
✅ 최근 연구에서는 세프타지딤/아비박탐(Ceftazidime/Avibactam) 병합요법 가능성 제시
💡 적용 사례:
- 카바페넴 내성이 낮은 균주에서는 설박탐+카바페넴 병합요법 추천
- 설박탐 단독보다 고용량 투여(≥9g/day) 시 효과 증가
4️⃣ 리팜피신(Rifampin) 병합요법
✅ 폴리믹신 B, 티제사이클린과 병용 시 상승 효과 가능성
❌ 단독요법으로는 효과 부족
❌ 간독성 및 약물 상호작용 주의 (예: 와파린, 항결핵제 등과 상호작용)
💡 적용 사례:
- 패혈증, 폐렴에서 폴리믹신 B와 병용 시 치료 성공률 증가 보고
5️⃣ Fosfomycin (포스포마이신) 💉
✅ 광범위 항생제로 내성균에도 효과적
✅ 폴리믹신, 카바페넴과 병용 시 효과 증가 가능
❌ 정맥 투여 시 단독요법으로는 제한적
💡 적용 사례:
- 병합요법 시 사용 가능, 단독 사용은 제한적
- 신장 기능이 유지된 환자에서 사용 고려 가능
📌 MRAB 감염 치료 전략 (2024 최신 가이드라인)
감염 유형 | 1차 치료 (권장) | 대체 치료 (가능) |
패혈증(BSI) | 폴리믹신 B + 리팜피신 | 포스포마이신 병합 |
폐렴 (VAP/HAP) | 흡입 콜리스틴 + 티제사이클린 | 폴리믹신 B + 카바페넴 |
복강 감염 | 티제사이클린 | 에라바사이클린 |
요로 감염(UTI) | 포스포마이신 | 카바페넴 |
수술 부위 감염 | 설박탐+카바페넴 | 폴리믹신 B 병합 |
📌 연구자가 알아야 할 Q&A
Q1. MRAB 감염에서 단독 항생제 사용이 가능한가요?
👉 아니요. 병합요법이 일반적으로 권장됩니다. 단독요법은 내성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Q2. 콜리스틴과 폴리믹신 B 중 어떤 것이 더 좋은가요?
👉 폴리믹신 B가 신독성이 적어 선호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Q3. MRAB 감염에서 티제사이클린을 패혈증 치료에 사용할 수 있나요?
👉 혈류 감염(BSI)에서는 비추천됩니다. 폐렴이나 복강 감염에서는 가능하지만, 패혈증에서는 폴리믹신 B 병합요법이 필요합니다.
Q4. 신장 기능이 나쁜 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는?
👉 티제사이클린, 에라바사이클린은 신독성이 적어 선택할 수 있습니다.
Q5. MRAB 감염 예방을 위해 어떤 조치가 필요할까요?
👉 손 위생 강화, 환경 소독 철저, 감염 환자의 격리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 결론
MRAB 감염 치료는 단독요법보다 병합요법이 효과적이며, 폴리믹신 B, 설박탐, 티제사이클린, 포스포마이신 등의 항생제 병합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최신 연구에서는 폴리믹신 B + 카바페넴 병합요법이 효과적이며, 신독성을 줄이기 위한 폴리믹신 B 선호 경향이 있습니다.
🔹 다제내성균 감염 관리 및 신중한 항생제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S 점수 계산: 기관삽관 환자의 Verbal 항목은 몇 점? (1점 처리 원칙) (0) | 2025.02.23 |
---|---|
산소는 많을수록 좋을까? PO₂ 조절과 산소 독성의 모든 것 (0) | 2025.02.23 |
중환자실에서의 항생제 사용 전략: Escalation vs. De-escalation (0) | 2025.02.23 |
급성 신손상(AKI) 예방: ICU에서 꼭 지켜야 할 원칙 (0) | 2025.02.22 |
저혈당성 쇼크에서 동공반사가 사라질 수 있을까?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