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T(Supraventricular Tachycardia, 상심실성 빈맥) 는 심방 또는 방실결절에서 기원하는 빠른 심장 박동(>150bpm) 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맥입니다.
SVT는 일반적으로 생명 위협적이지 않지만, 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빠르고 정확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VT의 진단 및 치료 전략(아데노신, 약물 치료, 전극도자 절제술) 을 단계별로 정리하겠습니다. 🚑
1. SVT의 정의 및 특징
🔹 심박수 150~250bpm의 빠른 리듬
🔹 좁은 QRS 복합파(Narrow QRS, <120ms) → 대부분 방실결절(AV node)을 통한 재진입 회로가 원인
🔹 갑작스러운 발작적 발생 및 종료(Paroxysmal SVT, PSVT)
📌 SVT의 주요 유형
✅ 방실결절 회귀 빈맥(AVNRT, Atrioventricular Nodal Reentrant Tachycardia) → 가장 흔한 형태 (~60%)
✅ 방실 회귀 빈맥(AVRT, Atrioventricular Reentrant Tachycardia) → WPW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 포함
✅ 심방빈맥(Atrial Tachycardia, AT) → 드문 형태
2. SVT의 치료 원칙
📌 SVT 치료의 기본 목표
✅ 1) 심박수 정상화 (정상 리듬으로 전환, Termination of SVT)
✅ 2) 재발 방지 (장기적인 관리, Prevention of Recurrence)
📌 치료 접근 방식
1️⃣ 즉각적인 리듬 전환 (급성 치료, Acute Termination)
- 미주신경 자극법 (Vagal Maneuver) → 아데노신(Adenosine) → 베타차단제/칼슘채널차단제 → 전기적 심율동전환(DC Cardioversion) 순으로 진행
2️⃣ 장기적인 재발 예방 - 약물 치료 vs 전극도자 절제술(Catheter Ablation) 고려
3. 급성기 SVT 치료: 아데노신부터 전기적 심율동전환까지
✅ 1단계: 미주신경 자극법 (Vagal Maneuver) - 1차 치료
✔ 기전: 미주신경을 활성화하여 AV node 전도 차단 → SVT 종료 유도
✔ 방법:
- 발살바법(Valsalva maneuver): 10~15초간 복부에 힘주기 (배변하듯)
- 얼굴에 찬물 스플래시(Cold water splash, 어린이에서 효과적)
- 경동맥 마사지(Carotid sinus massage, 단측만 수행, 뇌졸중 위험 있는 환자는 금기!)
📌 효과: 약 20~25%의 환자에서 SVT 종료 가능
✅ 2단계: 아데노신(Adenosine) - 2차 치료 (약물 치료의 골드 스탠다드)
✔ 기전: 초단기(반감기 <10초) AV node 차단제
✔ 투여법: 6mg IV bolus (2~3초 이내 빠르게 주입) → 반응 없으면 12mg 추가 투여
✔ 효과: AVNRT, AVRT에서 매우 효과적 (성공률 80~90%)
✔ 주의: 일시적인 서맥, 흉부 불편감, 안면홍조 가능 (보통 10~15초 내 소실)
📌 금기: 심한 천식(기관지 수축 유발 가능), 2~3도 AV 블록 환자(페이스메이커 없는 경우)
✅ 3단계: 베타차단제 or 칼슘채널차단제 - 아데노신 실패 시 사용
✔ 베타차단제 (IV 메토프롤롤 2.5~5mg, 에스몰롤 500mcg/kg bolus 후 50mcg/kg/min infusion)
✔ 비-디히드로피리딘계 CCB (IV 딜티아젬 10~20mg slow push, 베라파밀 5mg IV)
✔ 효과: AVNRT, AVRT에서 효과적 (단, 약물 효과 발현 시간이 길어짐)
📌 주의:
🚫 HFrEF(좌심실 수축기 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CCB 사용 금기
🚫 저혈압 환자에서 베타차단제/CCB 사용 주의
✅ 4단계: 전기적 심율동전환 (DC Cardioversion) -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경우
✔ 적응증:
- 쇼크, 저혈압, 의식 저하, 심부전 악화 동반 시 즉시 시행
✔ 방법: - 50~100J 동기화(Synchronized) DC Cardioversion
✔ 효과: 즉각적인 리듬 전환 가능 (성공률 95% 이상)
4. SVT 재발 예방: 약물 vs 전극도자 절제술(Ablation)
✅ 약물 치료 (β-차단제, CCB, 항부정맥제) - 초기 관리
✔ 반복적인 SVT가 있지만 Ablation을 원하지 않는 환자에서 사용
✔ 베타차단제(메토프롤롤, 아테놀롤) 또는 비-디히드로피리딘 CCB(딜티아젬, 베라파밀) 선호
✔ 항부정맥제 (Class Ic: Flecainide, Propafenone / Class III: Sotalol) 사용 가능
📌 단점: 장기간 약물 복용 필요, 부작용(저혈압, 서맥) 가능
✅ 전극도자 절제술(Catheter Ablation) - 최적의 장기 치료법
✔ 적응증:
- 반복적인 SVT (특히 AVNRT, AVRT 환자)
-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약물 복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
- WPW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동반 SVT 환자
✔ 방법:
- 고주파(Radiofrequency) 또는 냉각(Cryoablation)으로 재진입 회로 제거
✔ 성공률: 95% 이상
✔ 재발률: 5% 이하
📌 SVT가 빈번한 경우, 전극도자 절제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5. 결론 🎯
📌 SVT 치료의 핵심 전략
✅ 급성기 치료 (리듬 전환)
1️⃣ 미주신경 자극법 → 효과 없으면
2️⃣ 아데노신(6mg IV push → 12mg 추가 가능) → 효과 없으면
3️⃣ 베타차단제(IV 메토프롤롤) 또는 칼슘채널차단제(IV 딜티아젬)
4️⃣ 혈역학적 불안정 시 즉시 전기적 심율동전환(50~100J)
✅ 장기적인 관리 (재발 방지)
- 경증: β-차단제, CCB
- 반복적 SVT: 전극도자 절제술이 최적 치료
💡 SVT 치료는 빠르고 정확한 진단과 개별 환자의 상태에 따른 최적의 치료 전략 선택이 중요합니다! 🚑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포폴의 장점과 부작용: 마취제의 양날의 검 (0) | 2025.03.18 |
---|---|
기계 환기 중인 환자에서 레미펜타닐의 장점과 올바른 사용법 (0) | 2025.03.18 |
AF RVR에서 디곡신과 아미오다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0) | 2025.03.17 |
응급실에서 결핵 의심 환자를 만났다면? 신속한 검사 절차 (0) | 2025.03.17 |
Torsades de Pointes(TdP): 왜 발생할까? 치료법 총정리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