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ctional Rhythm(접합부 리듬) 은 방실결절(AV node) 또는 방실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심장 리듬을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심장 박동은 동방결절(SA node) 에서 시작되지만, SA 노드가 기능을 못 하거나 억제되면 AV 노드가 대신 박동을 조율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Junctional Rhythm의 원인, 심전도(EKG) 소견, 치료가 필요한 경우와 치료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1. Junctional Rhythm이란?
📌 정상적인 심장 박동과의 차이점
✅ 정상 리듬 (Sinus Rhythm)
- 동방결절(SA node)에서 신호 시작
- 심방 → 심실 순서로 전기 신호 전달
- 정상 심박수: 60~100 bpm
✅ Junctional Rhythm
- 방실결절(AV node) 또는 방실 접합부에서 신호 발생
- SA 노드 기능 저하 시 AV 노드가 대신 리듬 조율
- 심박수: 40~60 bpm (정상보다 느림, 서맥 경향)
📌 즉, Junctional Rhythm은 SA 노드가 작동하지 않을 때 보조적으로 작동하는 리듬입니다.
👉 하지만 정상보다 심박수가 느려지고(서맥), 동방결절 리듬이 사라질 수 있어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2. Junctional Rhythm의 심전도(EKG) 특징
📊 EKG 소견
✅ P파가 없거나, 역행성 P파(Inverted P wave)
✅ QRS 복합파는 정상 (좁은 QRS, <120ms)
✅ 심박수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
유형 | 심박수(BPM) | 특징 |
Junctional Escape Rhythm | 40~60 bpm | 가장 흔한 형태, 증상 없을 수도 있음 |
Accelerated Junctional Rhythm | 60~100 bpm | AV 노드에서 조금 빠르게 발생 |
Junctional Tachycardia | 100 bpm 이상 | 병적 원인 가능성 높음 (디곡신 중독 등) |
3. Junctional Rhythm의 원인
🔍 Junctional Rhythm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 1) SA 노드 기능 저하
- 노인성 변화 (Sick Sinus Syndrome, SSS)
- 심근허혈 (특히 우관상동맥 질환)
- 심근염 또는 심장 수술 후 SA 노드 손상
✅ 2) 약물 영향
- 베타차단제, 칼슘채널차단제, 디곡신 과다 복용
- 항부정맥제 (예: 아미오다론) 사용 시 발생 가능
✅ 3) 자율신경계 영향
- 미주신경 과활성 (Vagal tone 증가, 운동선수, 수면 중 발생 가능)
✅ 4) 기타 심장 질환
- 심근경색(특히 하벽 경색, AV node 관류 저하)
- 심근증, 전해질 불균형 (고칼륨혈증 등)
4. 치료가 꼭 필요한 경우는?
💡 Junctional Rhythm 자체는 항상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거나, 심박수가 지나치게 느리거나 빠르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 치료가 필요한 경우
✔ 서맥(심박수 40 미만)으로 인해 증상 발생
- 어지러움, 실신(실신 전조 증상 포함), 저혈압, 피로감
✔ Junctional Tachycardia (100 bpm 이상) 발생 시 - 원인이 디곡신 중독, 심근허혈 등일 수 있음
✔ 심박조율이 불안정하여 혈압 유지가 어려운 경우
5. Junctional Rhythm의 치료 방법
✅ 1) 증상이 없고, 심박수가 40~60 bpm인 경우
✔ 대부분 치료 없이 경과 관찰
✔ 약물(베타차단제 등) 중단 고려
✅ 2) 증상이 있거나 서맥이 심한 경우 (40 bpm 미만)
💉 💊 치료 방법:
1️⃣ 저혈압 동반 시
- 아트로핀(Atropine) 0.5mg IV (최대 3mg까지 반복 투여 가능)
2️⃣ 약물 반응 없으면 - 도파민(Dopamine) or 도부타민(Dobutamine) 투여
3️⃣ 영구적인 SA 노드 이상이 있으면 - 영구형 심박동기(Pacemaker) 삽입 고려
✅ 3) Junctional Tachycardia (100 bpm 이상) 발생 시
✔ 원인 교정이 최우선 (예: 디곡신 중독 → 디곡신 중단)
✔ 필요 시 베타차단제 또는 칼슘채널차단제 사용 가능
✔ 심한 경우 항부정맥제(아미오다론) 또는 전기적 심율동전환 시행 가능
6. Junctional Rhythm 관련 Q&A
Q1. Junctional Rhythm이 있으면 무조건 치료해야 하나요?
➡️ 아니요. 증상이 없다면 치료 없이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심한 서맥이 있거나 증상이 동반되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Q2. Junctional Rhythm이 지속되면 심장 건강에 문제가 생기나요?
➡️ 장기간 지속되면 심장 박출량 감소로 인해 피로감, 운동능력 저하, 심부전 위험 증가할 수 있습니다.
Q3. Junctional Rhythm은 정상인에게도 나타날 수 있나요?
➡️ 네, 운동선수처럼 미주신경이 활성화된 사람이나 수면 중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Q4. Pacemaker(심박동기) 삽입이 필요한 경우는 언제인가요?
➡️ 지속적인 서맥(40 bpm 미만), 실신 반복, 혈압 유지 어려움 등의 경우 심박동기 삽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Q5. Junctional Rhythm을 예방할 수 있나요?
➡️ 약물 부작용 관리, 심혈관 질환 예방, 전해질 균형 유지 등이 중요합니다.
Junctional Rhythm은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 부정맥은 아니지만, 심박수가 너무 느리거나(서맥) 너무 빠르면(빈맥)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어지러움, 실신 등의 증상이 있다면 꼭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핵 진단의 핵심! AFB 염색, 배양, PCR의 차이점과 정확도 비교 (0) | 2025.03.18 |
---|---|
AF-RVR 환자의 심박수 조절 전략: 베타 차단제 vs 디곡신 vs 아미오다론 (0) | 2025.03.17 |
반코마이신의 치료 농도란?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 가이드 (0) | 2025.03.17 |
크레아티닌 수치가 의미하는 것! 신장 건강의 신호 (0) | 2025.03.10 |
신생아와 길고양이, 톡소포자충 감염 걱정해야 할까?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