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학 지식179

메트로니다졸은 언제 사용할까? 혐기성 감염 & 원충 감염 총정리!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은 혐기성 세균 감염 및 원충 감염(Protozoal infections)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항생제입니다. 특히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 혐기성 복강 감염, 비뇨생식기 감염 등에 효과적이며, 아메바증(Entamoeba histolytica) 및 질편모충증(Trichomoniasis) 치료에도 사용됩니다.이번 글에서는 메트로니다졸의 적응증, 기전, 용법, 부작용, 사용 시 주의사항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메트로니다졸의 주요 적응증1️⃣ 혐기성 세균(Anaerobic bacteria) 감염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경증~중등도)복강 감염(복막염, 간농양, 충수염, 담낭염 등)골반 감염(골반내염증질환, 자궁내막염 등)치과.. 2025. 3. 18.
저체온·마취 회복 후 Shivering, 어떻게 조절할까? 중환자실 가이드 마취 회복 후나 저체온 치료 후 **Shivering(오한, 떨림)**은 중환자실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심한 오한은 산소 소비 증가, 심장 부담, 대사 요구량 증가를 유발할 수 있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저체온 및 마취 회복 후 Shivering의 원인, 감별 방법, 치료 전략을 완벽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Shivering(오한)의 주요 원인1. 저체온증(Hypothermia, 체온 치료적 저체온(심정지 후 저체온 치료, TTM)장시간 수술 후 저체온대량 수혈(냉장 혈액 투여 시)2. 마취 후 오한(Post-Anesthetic Shivering, PAS)마취제(프로포폴, 이소플루란 등)로 인해 체온 조절 기능 장애척추마취(Spinal anesthesia) 후 교감신경 차단으.. 2025. 3. 18.
결핵 치료 기간이 긴 이유? 내성 결핵부터 항결핵제 작용까지 완벽 분석 결핵(Tuberculosis)은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지만, 일반적으로 최소 6개월 이상의 긴 치료 기간이 필요합니다. 다른 세균 감염은 보통 1~2주간 항생제를 복용하면 치료되는데, 왜 결핵은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릴까요? 본 글에서는 결핵 치료가 긴 이유, 내성 결핵의 위험성, 항결핵제의 작용 원리까지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결핵 치료 기간이 긴 이유1. 결핵균의 성장 속도가 느림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은 일반 세균보다 증식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일반 세균: 수분~수시간 내 분열결핵균: 약 15~20시간마다 1회 분열세균의 증식 속도가 빠를수록 항생제가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결핵균은 느리게 증식하기 때문에 약물 치료도 오랜 기간 지속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 2025. 3. 18.
결핵 진단의 핵심! AFB 염색, 배양, PCR의 차이점과 정확도 비교 결핵(Tuberculosis)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으로, 조기 진단이 치료 성공의 핵심입니다. 결핵 진단에는 여러 가지 검사 방법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AFB 염색, 배양, PCR 검사가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이 세 가지 검사법의 차이점과 정확도를 비교하여 결핵 진단의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AFB 염색(Acid-Fast Bacilli Stain)AFB 염색은 결핵균을 현미경으로 직접 확인하는 검사법입니다. Ziehl-Neelsen 염색 또는 형광염색법(Auramine-Rhodamine 염색)을 사용하여 결핵균을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합니다.🔹 장점✔️ 신속한 검사 결과(수 시간 내 확인 가능)✔️ 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한 방법✔️ .. 2025. 3. 18.
AF-RVR 환자의 심박수 조절 전략: 베타 차단제 vs 디곡신 vs 아미오다론 AF-RVR(Atrial Fibrillation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 심방세동-급속 심실 반응) 은 심방세동(AF) 으로 인해 심박수가 100~150bpm 이상으로 빠르게 상승하는 상태입니다.이 상태가 지속되면 심부전 악화, 심근 허혈, 저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신속한 심박수 조절(Rate Control) 이 필수적입니다.이번 글에서는 AF-RVR에서 베타차단제, 디곡신, 아미오다론의 차이점과 최적의 선택 전략을 정리하겠습니다. 😊1. AF-RVR에서 심박수 조절이 중요한 이유 🚑✅ 빠른 심박수(>150bpm)는 심박출량 감소 → 심부전 악화✅ 심근 산소 요구량 증가 → 허혈 위험 증가(특히 관상동맥질환 환자)✅ 혈압 저하 가능 → 쇼크 위험✅ 빠른 심박수 조.. 2025. 3. 17.
Junctional Rhythm이란? 치료가 꼭 필요한 경우는? Junctional Rhythm(접합부 리듬) 은 방실결절(AV node) 또는 방실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심장 리듬을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심장 박동은 동방결절(SA node) 에서 시작되지만, SA 노드가 기능을 못 하거나 억제되면 AV 노드가 대신 박동을 조율하게 됩니다.이 글에서는 Junctional Rhythm의 원인, 심전도(EKG) 소견, 치료가 필요한 경우와 치료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Junctional Rhythm이란?📌 정상적인 심장 박동과의 차이점✅ 정상 리듬 (Sinus Rhythm)동방결절(SA node)에서 신호 시작심방 → 심실 순서로 전기 신호 전달정상 심박수: 60~100 bpm✅ Junctional Rhythm방실결절(AV node) 또는 방실 접합부에서 신호 .. 2025. 3.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