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로이드”는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약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스테로이드라는 이름 아래 다양한 종류의 약물들이 존재하며, 각기 다른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많은 분들이 간과하기 쉽습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스테로이드 약물들을 비교하면서, 그 차이점과 적응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 스테로이드의 기본 작용
스테로이드는 체내의 코르티솔(Cortisol)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약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집니다:
- 강력한 항염증 작용
- 면역 억제 작용
- 일부 대사 작용 조절 (혈당 상승, 단백질 분해 등)
이러한 작용 덕분에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질환, 호흡기 질환, 일부 암 치료, 장기이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주요 스테로이드 약물 비교
성분명 | 작용 지속 시간 | 상대 강도 | 주요 적응증 |
---|---|---|---|
Hydrocortisone | 짧음 (8~12시간) | 1 | 급성 부신기능저하, 스트레스 요법 등 |
Prednisolone | 중간 (12~36시간) | 4 | 류마티스, 루푸스, 천식, 염증성 장질환 등 |
Methylprednisolone | 중간 (12~36시간) | 5 | 중증 염증 반응, 신경학적 질환, 패혈증 등 |
Dexamethasone | 김 (36~72시간) | 25 | 뇌부종, 항암제 보조, 중증 감염, 코로나 등 |
Betamethasone | 김 (36~72시간) | 25 | 산모 폐성숙 유도, 피부 질환 등 |
📝 참고: 상대 강도는 항염증 효과 기준이며, Hydrocortisone을 1로 했을 때의 상대 수치입니다.
🩺 약물 선택, 어떻게 결정될까?
의사가 스테로이드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질환의 종류와 중증도
- 약물의 작용 시간 (지속시간)
- 부작용 위험도
- 환자의 나이, 체중, 동반 질환
- 투여 방법: 정맥, 경구, 주사, 흡입 등
예를 들어, 뇌압이 높은 환자에게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이 자주 사용되며, 만성 질환 조절에는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이 선호됩니다. 또한, 산모의 조기 분만 예방 목적으로는 태아 폐 성숙을 유도하는 베타메타손(Betamethasone)이 표준 치료로 사용됩니다.👶
⚖️ 약물마다 다른 부작용 양상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은 공통점도 있지만, 약물의 지속시간과 용량에 따라 양상이 다릅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부작용들입니다:
- 혈당 상승: 당뇨병 악화 가능성
- 골다공증: 장기 복용 시
- 감염 위험 증가: 면역 억제 작용
- 부신 억제: 장기 고용량 사용 시
- 기분 변화, 불면: 특히 덱사메타손에서 흔함
따라서, 사용 기간이 길거나 고용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부작용 관리와 감량 계획이 함께 수립되어야 합니다. 🧠
👩⚕️ 실제 사례로 본 처방의 이유
한 70대 남성 환자가 폐렴과 뇌부종 증세로 응급실에 내원했을 때, 의료진은 덱사메타손을 정맥으로 투여했습니다. 가족은 "프레드니솔론이 더 약한가요?"라고 질문했지만, 사실은 작용 시간이 길고 뇌부종 완화 효과가 뛰어난 덱사메타손이 그 상황에 더 적합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환자의 상태와 병태 생리에 따라 약물 선택은 달라집니다.
📌 핵심 요약
- 스테로이드는 이름은 같아도 작용 시간과 강도가 다릅니다.
- 질환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해야 치료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 부작용도 약물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장기 복용 시에는 감량 및 부작용 예방 계획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프레드니솔론과 덱사메타손은 같은 약인가요?
A1. 비슷한 계열이지만 효과 지속 시간과 강도가 달라 용도도 다릅니다.
Q2. 스테로이드는 오래 먹으면 끊을 수 없나요?
A2. 고용량/장기 복용 후에는 서서히 줄여야 하며, 갑자기 중단하면 부신 기능 저하가 생길 수 있습니다.
Q3. 스테로이드를 하루 건너 먹으면 부작용이 줄어드나요?
A3. ‘격일 요법’은 부작용을 줄일 수 있지만, 질환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Q4. 피부 연고로 쓰는 스테로이드도 전신 부작용이 있나요?
A4. 장기 사용 시 특히 광범위하게 사용하거나 피부가 얇은 부위에 사용하면 전신 흡수가 될 수 있습니다.
Q5. 스테로이드 복용 중 예방접종은 가능한가요?
A5. 고용량 복용 중에는 일부 생백신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하세요.
(정보 출처: UpToDate 2024, British National Formulary 2024, WHO Essential Medicines List)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lproate부터 Phenytoin까지, 농도 모니터링 필요한 항경련제 총정리 (0) | 2025.03.26 |
---|---|
Levetiracetam(Keppra) 복용 중이라면 꼭 알아야 할 부작용 (0) | 2025.03.26 |
스테로이드를 복용 중이라면 CBC 결과 해석에 주의하세요 (0) | 2025.03.26 |
피부과에서 점은 어떻게 없앨까? 레이저와 절제술의 원리 총정리 (0) | 2025.03.24 |
뇌경색 후 편마비, 회복될 수 있을까? 재활 방법 총정리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