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Valproate부터 Phenytoin까지, 농도 모니터링 필요한 항경련제 총정리

by Avenue 2025. 3. 26.

항경련제는 뇌전증 및 다양한 신경계 질환 치료에 핵심적인 약물이지만, 용량 조절이 까다롭고 약물 농도에 따라 효과와 부작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 항경련제는 혈중 농도(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며 사용해야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Valproate, Phenytoin을 비롯한 혈중 농도 모니터링이 필요한 항경련제들을 정리하고, 왜 농도 확인이 중요한지, 언제 측정해야 하는지 등을 자세히 안내드릴게요. 🧪📋

Valproate부터 Phenytoin까지, 농도 모니터링 필요한 항경련제 총정리


🧠 왜 혈중 농도 모니터링이 필요할까?

  • 치료 범위(Therapeutic range)가 좁음
  • 약물 상호작용이 많음
  • 신장 및 간 기능에 따라 대사와 배설이 달라짐
  • 과다 시 독성, 저농도 시 치료 실패 위험

특히 중환자실이나 간질 지속 상태(status epilepticus) 환자에게선 정확한 혈중 농도 확인이 생명에 직결되기도 합니다.


📊 농도 모니터링이 필요한 주요 항경련제 요약표

약물명 치료 혈중 농도 범위 특징 주의사항
Valproate 50–100 μg/mL (치료) / 100–150 μg/mL (급성기) 간 대사 / 단백결합 높음 간독성, 혈소판 감소 주의
Phenytoin 10–20 μg/mL (총 농도) / 1–2 μg/mL (유리형) 포화형 약동학 (비선형) 용량 조절 시 주의, 단백결합 중요
Carbamazepine 4–12 μg/mL 효소 유도 / 자가유도 현상 있음 골수 억제, 간독성 가능
Phenobarbital 15–40 μg/mL 긴 반감기 (3~5일) 진정, 호흡억제 유의
Ethosuximide 40–100 μg/mL 소발작에 특화 위장장애, 피로감 가능
Primidone 5–12 μg/mL 대사체인 Phenobarbital 활성 진정, 보행장애 가능

📌 Levetiracetam, Lacosamide, Lamotrigine, Topiramate 등은 일반적으로 농도 모니터링이 필수는 아니지만, 특별한 경우(신장 기능 저하, 약물 상호작용, 부작용 발생 등)에는 측정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언제 혈중 농도를 측정해야 할까?

상황 설명
초기 치료 시작 후 약물 안정화 시점 (약 3~5일 또는 반감기 5배 경과 후)
증상 변화 시 발작 증가 또는 부작용 의심 시
용량 조절 시 특히 Phenytoin, Phenobarbital처럼 비선형 약물은 주의
약물 상호작용 발생 시 예: Valproate + Carbapenem 병용 시
신장/간 기능 변화 시 대사 및 배설 경로에 따라 농도 변동 가능

🧪 보통 투여 직전(최저 농도, trough level)에서 혈액을 채취해 평가하며, 일부 약물(Phenytoin 등)은 유리형(free form) 농도를 따로 측정하기도 합니다.


🚨 농도 이상 시 흔한 임상 양상

약물 고농도 시 증상 저농도 시 증상
Valproate 졸림, 구역, 떨림, 간수치 상승 발작 재발
Phenytoin 안진, 운동실조, 의식저하, 심한 경우 혼수 발작 조절 실패
Carbamazepine 어지러움, 복시, 저나트륨혈증 치료효과 부족
Phenobarbital 과도한 진정, 호흡 억제 불안정한 발작 조절

⚠️ 특히 Phenytoin은 농도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는 '비선형 약동학' 약물이기 때문에 소량 증량에도 독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임상 팁: 어떤 환자에서 더 주의해야 할까?

  • 고령자, 간질환자 → 대사 능력 저하
  • 저알부민 환자 → 유리 약물 농도 ↑ (특히 Phenytoin)
  • 다약제 복용 중인 환자 → 약물 상호작용 위험 ↑
  • 임산부 → 대사 변화 및 농도 변화 가능성 ↑

📍 이럴 땐 꼭 유리형 약물 농도 또는 임상 증상 기반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약효가 있으면 굳이 농도 측정 안 해도 되지 않나요?
A1. 일부 약물은 증상만으로 조절 가능하지만, 농도 변화는 증상보다 먼저 나타날 수 있습니다.

Q2. Valproate 농도가 정상인데도 부작용이 있어요. 왜 그럴까요?
A2. 간 기능 저하, 단백결합 변화, 개별 민감도 차이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Q3. Phenytoin은 총 농도와 유리 농도 둘 다 봐야 하나요?
A3. 저알부민 상태에서는 유리 농도 측정이 더 정확합니다.

Q4. Levetiracetam도 농도 확인이 필요한가요?
A4. 일반적으로는 불필요하지만, 신기능 저하나 용량 조절 시에는 참고될 수 있습니다.

Q5. 농도가 낮다고 무조건 용량을 늘려야 하나요?
A5. 아닙니다. 증상이 없고 안정적이라면 현재 용량을 유지하기도 합니다.

 

(최신 정보 출처: Epilepsia 2023, Therapeutic Drug Monitoring Journal 2024, Neurolog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