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이나 몸에 있는 점, 미용 목적 또는 의학적 이유로 제거를 고려하신 적 있으신가요? 😊
피부과에서는 점(모반)의 모양, 깊이, 위치, 악성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을 사용합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레이저 치료와 절제술인데요.
이 글에서는 피부과에서 실제로 점을 어떻게 제거하는지, 레이저와 절제술의 원리와 각각의 장단점을 피부과 전문의의 관점에서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점이란 무엇인가요?
점은 의학적으로 멜라닌세포의 국소적 증식입니다. 대부분 양성이며, 색깔은 갈색, 검정색 또는 청회색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점은 깊이에 따라 표피형, 진피형, 복합형으로 나뉘며, 제거 방법도 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1. 레이저로 점을 제거하는 원리 💡
사용 레이저 종류
- CO₂ 레이저 (탄산가스 레이저)
: 조직 증발·절제 효과, 표피 및 얕은 진피 치료에 효과적 - 어븀야그 레이저 (Er:YAG)
: 열 손상이 적고, 정밀한 박피 가능 - Q-스위치 레이저
: 멜라닌 색소 파괴에 특화되어 색소성 병변에 사용
작용 원리
레이저는 점 부위의 멜라닌 세포나 조직을 열 에너지로 파괴합니다.
고에너지의 레이저 빛이 멜라닌 색소에 흡수되어 색소를 파괴하거나, 조직을 기화(vaporization)시켜 제거합니다.
장점과 단점
장점 | 단점 |
---|---|
빠른 시술 (5~10분 이내) | 깊은 점에는 재발 가능성 있음 |
출혈 거의 없음 | 한 번에 완전 제거 어려울 수 있음 |
흉터 적고 회복 빠름 | 색소침착 가능성 (특히 동양인 피부) |
💡 얕고 작은 점, 색소 중심 병변에 효과적이며, 여러 개를 동시에 제거하기 좋습니다.
2. 절제술로 점을 제거하는 원리 ✂️
절제술이란?
국소 마취 후 칼이나 가위로 점과 주변 조직을 절개하고, 봉합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깊은 진피층까지 존재하는 점이나, 의심되는 병변을 병리 조직검사를 위해 절제할 때 사용합니다.
절제술의 순서
- 국소 마취
- 점 부위 절개 및 완전 제거
- 봉합 (필요 시 흡수성 실 or 비흡수성 실)
- 실밥 제거 (보통 5~7일 후)
장점과 단점
장점 | 단점 |
---|---|
한 번에 완전 제거 가능 | 흉터(절개 자국) 남을 수 있음 |
재발 가능성 낮음 | 시술 후 회복 기간 필요 |
병리검사 가능 (악성 여부 확인) | 마취 및 봉합 필요 |
💡 깊은 점, 크기가 큰 점, 모양이 이상한 점에는 절제술이 더욱 적합합니다.
레이저 vs 절제술 비교표 🔍
항목 | 레이저 치료 | 절제술 |
---|---|---|
시술 시간 | 5~10분 | 20~30분 |
마취 | 연고 or 국소 마취 | 국소 마취 |
회복 시간 | 짧음 (3~7일) | 길음 (7~14일) |
흉터 | 거의 없음 or 미세한 색소침착 | 절개선 따라 흉터 가능 |
재발 가능성 | 있음 (깊은 점은 완전 제거 어려움) | 낮음 |
조직검사 가능 여부 | 불가능 | 가능 |
어떤 점이든 레이저로 제거 가능한가요? 🤔
모든 점이 레이저로 제거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절제술이 더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 지름 1cm 이상인 점
- 볼록하거나 색이 불균형한 점
- 최근 크기나 모양이 변한 점 (악성 의심)
- 모발이 나는 깊은 점
따라서, 점을 제거하기 전 피부과 전문의의 진단은 꼭 필요합니다.
Q&A: 점 제거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들 💬
- 레이저로 점을 제거하면 다시 생길 수 있나요?
네, 깊은 진피형 점은 뿌리가 남아있으면 재생될 수 있습니다. - 절제술 흉터는 눈에 많이 띄나요?
개인차가 있지만, 잘 관리하면 실선처럼 얇게 남는 정도입니다. 실밥 제거 후 실리콘겔, 테이프 사용이 도움 됩니다. - 점이 암으로 변할 수 있나요?
드물지만 악성흑색종 등으로 발전할 수 있어, 모양이 변하는 점은 반드시 진단이 필요합니다. - 레이저 치료 후 바로 화장 가능할까요?
보통 3~5일 후 딱지가 떨어진 다음부터 색조 화장이 가능합니다. - 점 제거 후 자외선 차단은 왜 중요하죠?
색소침착 예방을 위해 최소 4주간 자외선 차단제 필수입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같은 스테로이드, 다른 효과? 약물별 적응증과 특성 알아보기 (0) | 2025.03.26 |
---|---|
스테로이드를 복용 중이라면 CBC 결과 해석에 주의하세요 (0) | 2025.03.26 |
뇌경색 후 편마비, 회복될 수 있을까? 재활 방법 총정리 (0) | 2025.03.23 |
정형(Typical)과 비정형(Atypical) 항정신병약, 어떤 차이가 있을까? (1) | 2025.03.23 |
중환자실에서 이미프라민, 언제 사용해야 할까?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