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혀 심장 근육 일부가 괴사하는 응급 질환입니다. 신속한 치료가 생명을 좌우하며, 특히 시술(관상동맥 중재술, PCI) 전 처치와 약물 치료가 중요합니다.
오늘은 AMI 발생 시 응급 처치부터 시술 전 필수 약물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 급성 심근경색(AMI)의 분류
AMI는 심전도(ECG) 소견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구분 | 특징 | 치료 전략 |
STEMI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 |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힘, ST 분절 상승 | 응급 PCI 또는 혈전용해제 |
NSTEMI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 관상동맥이 부분 폐색, ST 상승 없음 | 조기 약물 치료 후 PCI 고려 |
✅ STEMI는 '골든타임(90분 이내)'이 중요하여 즉각적인 PCI(스텐트 시술) 필요
✅ NSTEMI는 상태에 따라 보존적 치료 또는 PCI 진행
🔹 AMI 발생 시 응급 처치 (시술 전 필수 조치)
🚨 1. 환자 상태 평가 및 기본 처치
✅ 산소 공급 (Oxygen, O)
- 산소포화도(SpO₂) < 90%이거나 호흡곤란 시 투여
✅ 통증 조절 (Morphine, M)
- 니트로글리세린으로 조절되지 않는 흉통 시 사용
- 단, 저혈압(수축기 < 90mmHg) 환자에서는 금기
✅ 니트로글리세린 (Nitroglycerin, N)
- 혈관 확장 → 심근 산소 요구량 감소
- 설하정 0.3~0.6mg, 5분 간격 3회까지 투여 가능
- 수축기 혈압 90mmHg 이하에서는 금기
✅ 아스피린 (Aspirin, A)
- 160~325mg 씹어서 복용 → 혈소판 응집 억제
- STEMI, NSTEMI 모두 필수
✅ 항혈소판제 추가 투여 (클로피도그렐, 티카그렐러)
- 스텐트 시술(PCI) 예정이라면 아스피린과 함께 사용
💡 기억법: "MONA" (Morphine, Oxygen, Nitroglycerin, Aspirin)
🔹 시술(PCI) 전 필수 약물 치료 💊
1️⃣ 항혈소판제 (혈전 예방 필수!)
✅ 아스피린: 160~325mg 초기 투여
✅ P2Y12 억제제 추가 투여 (이중 항혈소판 요법, DAPT)
-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300~600mg
- 티카그렐러(Ticagrelor) 180mg (STEMI 환자에서 선호)
- 프라수그렐(Prasugrel) 60mg (출혈 위험 낮은 경우 고려)
💡 PCI 후 12개월 이상 유지 요법 필수!
2️⃣ 항응고제 (피떡 형성 방지)
✅ 헤파린(Heparin): 50~70U/kg IV 주입
✅ 엔녹사파린(Enoxaparin, 저분자량 헤파린): 1mg/kg SC 투여
💡 항응고제는 PCI 전후 혈전 형성을 막는 중요한 역할
3️⃣ 혈전용해제 (PCI 불가능한 STEMI에서 사용)
✅ alteplase, tenecteplase
✅ STEMI에서 PCI 불가능(120분 이상 지연) 시 고려
💡 NSTEMI에서는 혈전용해제 사용❌ (오히려 해로움)
4️⃣ 베타차단제 (심박수·혈압 조절)
✅ 메토프로롤 25~50mg PO
✅ 부정맥 예방, 심박수 조절, 심장 부담 감소 효과
✅ 단, 저혈압(수축기 < 90mmHg), 서맥(심박수 < 60)에서는 금기
5️⃣ 스타틴 (고강도 스타틴 필수!)
✅ 아토르바스타틴 40~80mg 또는 로수바스타틴 20~40mg
✅ 관상동맥 재협착 방지, 장기적인 심혈관 보호
🔹 PCI(관상동맥 중재술) 진행 🚑
✅ STEMI: 가능한 한 빨리 PCI 시행 (90분 이내) → 스텐트 삽입
✅ NSTEMI: 위험도 평가 후 24~72시간 내 PCI 고려
💡 PCI 후에도 항혈소판제(DAPT) + 스타틴 지속 복용 필수!
🔹 AMI 치료 후 재발 예방 (장기 약물 치료)
✅ 이중 항혈소판제 (DAPT, 12개월 이상)
✅ 고강도 스타틴
✅ 베타차단제 (심박수 조절 및 심장 보호)
✅ ACEi/ARB (혈압 조절, 심부전 예방)
✅ 생활습관 개선 (금연, 저염식, 운동)
💡 재발 방지를 위해 약물 복용을 철저히 해야 함!
🔹 자주 묻는 질문 (Q&A)
1️⃣ AMI 환자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응급 처치는?
- 119 신고 후 아스피린 160~325mg 씹어 먹기
- 가능하면 니트로글리세린 복용
2️⃣ NSTEMI에서는 혈전용해제를 사용하나요?
- ❌ NSTEMI에서는 혈전용해제 사용 금기 (오히려 출혈 위험 증가)
3️⃣ PCI 후에도 약물 치료가 필요한가요?
- 네, 스텐트 시술 후에도 항혈소판제(DAPT) 12개월 이상 유지 필수
4️⃣ 베타차단제는 모든 AMI 환자에게 투여해야 하나요?
- 대부분 권장되지만, 저혈압(수축기 < 90mmHg) 또는 서맥(심박수 < 60bpm)이면 금기
5️⃣ AMI 후 재발을 막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 금연 🚭, 꾸준한 약물 복용,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
🔹 결론
✅ STEMI는 90분 내 PCI가 가장 중요! 🚑
✅ NSTEMI는 조기 약물 치료 후 PCI 여부 결정
✅ 아스피린 + P2Y12 억제제(DAPT) + 스타틴 필수!
✅ 혈전 예방(항응고제), 심장 보호(베타차단제)도 고려
✅ 재발 방지를 위해 생활습관 개선 및 약물 지속 복용 필수
🚨 심근경색은 빠른 치료가 생명을 살립니다! 응급 상황 시 즉시 119 신고 후 응급실 방문 필수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슘 채널 차단제(CCB) 종류별 특징과 임상 적용법 (0) | 2025.02.27 |
---|---|
심근경색 환자에서 베타 차단제와 CCB, 언제 어떻게 사용할까? (0) | 2025.02.27 |
안정형 vs. 불안정형 협심증, 차이점과 치료법 정리 (0) | 2025.02.27 |
가바펜틴과 프레가발린, 왜 신경통에만 효과 있을까? (0) | 2025.02.27 |
항경련제의 종류와 작용 기전 한눈에 정리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