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Angina)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흉통을 의미합니다. 협심증은 크게 안정형(Stable Angina)과 불안정형(Unstable Angina)으로 나뉘며, 이 둘은 원인과 예후, 치료법이 다릅니다.
오늘은 안정형과 불안정형 협심증의 차이점을 명확히 정리하고, 각각의 치료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안정형 협심증 vs. 불안정형 협심증
구분 |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
원인 | 죽상경화로 인한 관상동맥 협착 | 죽상경화 파열 + 혈전 형성 |
발생 상황 | 운동, 스트레스 시 발생 (예: 계단 오를 때) | 휴식 중에도 발생 가능, 점점 악화됨 |
통증 지속 시간 | 5~15분 이내 | 10분 이상 지속, 심하면 30분 이상 |
니트로글리세린 반응 | 빠르게 호전됨 | 효과가 없거나 부분적 |
심근 손상 (심근효소 상승) | ❌ 없음 | ❌ 없음 (단, 심근경색 전 단계) |
ECG 변화 | 정상 또는 ST 하강 | ST 변화 가능, 비특이적 변화 |
위험도 | 비교적 낮음 |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S) 위험 높음 |
✅ 불안정형 협심증은 심근경색(Heart Attack)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협심증의 주요 증상
✅ 가슴 중앙의 압박감, 쥐어짜는 듯한 통증
✅ 왼쪽 팔, 어깨, 목, 턱으로 퍼지는 방사통
✅ 운동 시 악화, 휴식 시 호전 (안정형 협심증 특징)
✅ 땀, 호흡곤란, 어지러움 동반 가능 (불안정형 협심증일 가능성 높음)
💡 통증이 10분 이상 지속되고 니트로글리세린에 반응이 없다면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
🔹 안정형 협심증 치료
1️⃣ 생활습관 개선 (1차 예방)
- 금연 🚭: 흡연은 관상동맥을 수축시키고 혈전을 증가시킴
- 식이 조절 🥗: 포화지방 감소, 저염식, 지중해식 식단 권장
- 운동 🚶♂️: 적절한 유산소 운동 (주 5회, 30분 이상)
- 체중 감량 ⚖️: 과체중/비만이면 체중 감량 필수
- 혈압, 당뇨, 고지혈증 관리: 협심증 위험 감소
2️⃣ 약물 치료 💊
약물 | 작용 기전 | 대표 약물 |
항협심증제 | 심근 산소 요구량 감소 | 니트로글리세린(NTG), 이소소르비드 |
베타차단제 | 심박수 감소 → 심근 부담↓ | 메토프로롤, 카르베딜롤 |
칼슘채널차단제(CCB) | 관상동맥 확장, 혈압 감소 | 암로디핀, 딜티아젬 |
항혈소판제 | 혈전 예방 |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
스타틴 | 콜레스테롤 감소 | 아토르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
💡 안정형 협심증은 주로 "약물 치료 + 생활습관 개선"으로 관리됩니다.
🔹 불안정형 협심증 치료
불안정형 협심증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S)의 일부이며, 심근경색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아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1️⃣ 응급 치료 (병원 내 치료)
✅ 산소 공급: 산소포화도 90% 미만이면 산소 투여
✅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 클로피도그렐 (이중 항혈소판 요법)
✅ 항응고제: 헤파린, 엔녹사파린 (혈전 예방)
✅ 승압제/혈압 조절제: 혈압이 낮으면 노르에피네프린 사용 가능
2️⃣ 관상동맥 중재술 (PCI, 스텐트 시술)
✅ 고위험군 환자는 즉시 혈관 확장 시술 필요
✅ 관상동맥 조영술 후 협착이 심하면 PCI (스텐트 삽입) 시행
3️⃣ 심근경색으로 진행 시?
✅ STEMI(급성 심근경색)라면 응급 PCI 또는 혈전용해제 투여
✅ NSTEMI라면 조기 침습적 치료(PCI) 시행 고려
💡 불안정형 협심증은 ‘응급상황’으로 간주되며, 빠른 응급 치료가 필수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1️⃣ 안정형 협심증도 심근경색으로 진행될 수 있나요?
- 네. 특히 기존 협심증 증상이 점점 악화되거나, 휴식 중에도 발생한다면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큽니다.
2️⃣ 니트로글리세린을 먹어도 통증이 계속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니트로글리세린 1정을 혀 아래 넣고 5분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면 2~3회 반복
- 15분 이상 지속되면 즉시 119 신고 후 응급실 방문 🚑
3️⃣ 불안정형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어떻게 다른가요?
- 불안정형 협심증은 심근경색 직전 단계이며, 혈액검사에서 심근효소(Troponin, CK-MB)가 상승하지 않음
- 심근경색은 혈전으로 인해 심장 근육 일부가 괴사한 상태로, Troponin 상승이 특징
4️⃣ 스텐트 시술 후에도 협심증이 다시 생길 수 있나요?
- 네. 스텐트 후에도 재협착이나 다른 혈관이 막힐 수 있어 지속적인 약물 복용과 생활습관 관리가 필수입니다.
5️⃣ 협심증 환자는 어떤 운동이 좋나요?
- 빠르게 걷기, 수영, 고정식 자전거 등이 추천됩니다.
- 너무 격한 운동(달리기, 역기 들기 등)은 피하고, 천천히 강도를 올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결론
✅ 안정형 협심증은 주로 운동 시 발생하고, 휴식 시 호전되며 약물 치료로 관리 가능
✅ 불안정형 협심증은 휴식 중에도 발생하며, 심근경색 위험이 높아 응급 치료 필요
✅ 니트로글리세린에 반응하지 않는 흉통은 즉시 응급실 방문이 필수! 🚑
✅ 생활습관 개선(금연, 식이 조절, 운동)과 약물 치료를 병행해야 협심증을 예방할 수 있음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근경색 환자에서 베타 차단제와 CCB, 언제 어떻게 사용할까? (0) | 2025.02.27 |
---|---|
급성 심근경색(AMI) 시술 전 필수 처치 및 약물 치료 총정리 (0) | 2025.02.27 |
가바펜틴과 프레가발린, 왜 신경통에만 효과 있을까? (0) | 2025.02.27 |
항경련제의 종류와 작용 기전 한눈에 정리 (0) | 2025.02.27 |
생리식염수는 중성일까? 많이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