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슘 채널 차단제(CCB, Calcium Channel Blockers)는 세동맥 및 심근 세포 내 칼슘 유입을 차단하여 혈관 확장, 혈압 감소, 심박수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입니다.
오늘은 CCB의 종류별 특징과 임상 적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칼슘 채널 차단제(CCB)의 작용 기전
CCB는 L-type 칼슘 채널을 차단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 혈관 평활근 이완 → 혈압 감소 (DHP 계열)
✅ 심근 수축력 감소 → 심장 부담 감소 (비DHP 계열)
✅ 심장 전도 속도 감소 → 심박수 조절 (비DHP 계열)
💡 DHP 계열은 혈관 확장 작용이 강하고, 비DHP 계열은 심박수 조절 작용이 더 강합니다.
🔹 CCB의 종류별 특징
CCB는 크게 DHP 계열과 비DHP 계열로 나뉩니다.
구분 | DHP 계열 (Dihydropyridine) | 비DHP 계열 (Non-Dihydropyridine) |
주요 작용 | 혈관 확장 → 혈압 감소 | 심박수 감소, 심근 수축력 감소 |
혈압 감소 효과 | ✅ 강함 | ⚪ 약함 |
심박수 감소 효과 | ❌ 없음 | ✅ 있음 |
심근 수축력 감소 | ❌ 없음 | ✅ 있음 |
주요 적응증 | 고혈압, 변이형 협심증 | 부정맥, 협심증 |
대표 약물 | 암로디핀, 니카르디핀, 펠로디핀 | 딜티아젬, 베라파밀 |
💡 DHP 계열 = 혈관 확장 중심, 비DHP 계열 = 심박수 조절 중심
🔹 1. DHP 계열 CCB 💙 (혈관 확장 중심)
✅ 특징
- 말초혈관 확장 → 혈압 감소 효과 강함
- 심박수 영향 없음 (반사성 빈맥 유발 가능)
- 심부전 환자에서도 비교적 안전
✅ 주요 적응증
🔹 고혈압 (1차 치료제)
🔹 변이형 협심증 (Prinzmetal's angina)
🔹 뇌혈관 수축 예방 (니모디핀)
✅ 대표 약물 및 용량
약물 | 초회 용량 | 유지 용량 | 특징 |
암로디핀 (Amlodipine) | 2.5~5mg 1일 1회 | 5~10mg 1일 1회 | 반감기 길어 1일 1회 복용 가능 |
니카르디핀 (Nicardipine) | 5mg/hr IV | 2.5~15mg/hr IV | 응급 고혈압 조절에 사용 |
펠로디핀 (Felodipine) | 2.5~5mg 1일 1회 | 5~10mg 1일 1회 | 반감기 길어 지속적인 혈압 조절 가능 |
니모디핀 (Nimodipine) | 60mg 1일 4회 | 60mg 1일 4회 | 뇌출혈 후 혈관 연축 예방 |
💡 고혈압 환자에서 1차 선택, 변이형 협심증에도 효과적!
❗ DHP 계열 사용 시 주의할 점
- 반사성 빈맥 가능 → 베타 차단제와 병용 고려
- 부종(특히 발목부종) 발생 가능
- 저혈압 환자에서는 사용 주의
🔹 2. 비DHP 계열 CCB 💚 (심박수 조절 중심)
✅ 특징
- 심박수 감소 → 항부정맥 효과
- 심근 수축력 감소 → 심부전 환자 금기
- 심장 전도 속도 감소 → 방실차단 주의
✅ 주요 적응증
🔹 빈맥성 부정맥 (심방세동, 심실상성빈맥)
🔹 협심증 (심박수 조절이 필요한 경우)
✅ 대표 약물 및 용량
약물 | 초회 용량 | 유지 용량 | 특징 |
딜티아젬 (Diltiazem) | 30mg 1일 3회 | 180~360mg 1일 1회(서방형) | 심방세동 환자에서 1차 선택 가능 |
베라파밀 (Verapamil) | 40~80mg 1일 3회 | 120~240mg 1일 12회 | 심박수 조절 효과 강함 |
💡 부정맥 치료 및 협심증 환자에서 사용!
❗ 비DHP 계열 사용 시 주의할 점
- 심부전(LVEF < 40%) 환자 금기 (심근 수축력 감소)
- 서맥 및 방실차단 주의
- 베타 차단제와 병용 시 저혈압 및 서맥 위험 증가
🔹 CCB 종류별 임상 적용 요약
질환 | 1차 선택 | 고려할 점 |
고혈압 | 암로디핀, 펠로디핀 | 혈관 확장 효과 강함 |
변이형 협심증 | 암로디핀, 니페디핀 | 관상동맥 경련 예방 효과 |
빈맥성 부정맥 (심방세동, PSVT) | 딜티아젬, 베라파밀 | 심박수 조절 효과 우수 |
심부전 (LVEF < 40%) | DHP 계열만 가능 (암로디핀 등) | 비DHP 계열(딜티아젬, 베라파밀) 사용 금기 |
뇌출혈 후 혈관 연축 예방 | 니모디핀 | 뇌혈관 선택적 확장 효과 |
💡 고혈압/협심증 → DHP 계열, 심박수 조절(부정맥) → 비DHP 계열 선택
🔹 CCB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 🚨
✅ DHP 계열은 반사성 빈맥 가능 → 베타 차단제 병용 고려
✅ 비DHP 계열은 심부전(LVEF < 40%) 환자 금기
✅ 서맥, 방실차단 위험 있는 환자는 비DHP 계열 신중히 사용
✅ DHP 계열은 말초부종 가능 → 용량 조절 필요
🔹 결론
✅ DHP 계열 CCB (암로디핀 등) → 혈관 확장 중심, 고혈압·변이형 협심증에 효과적
✅ 비DHP 계열 CCB (딜티아젬, 베라파밀) → 심박수 조절 중심, 부정맥 치료에 효과적
✅ 심부전 환자에서는 비DHP 계열 금기! (DHP 계열만 사용 가능)
✅ DHP 계열은 반사성 빈맥, 비DHP 계열은 서맥·방실차단 주의
💡 환자의 상태에 맞춰 CCB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조기 치료, 약물 복용이 중요한 이유! (0) | 2025.02.28 |
---|---|
치매 치료제 도네페질, 복용법과 주의할 점 (0) | 2025.02.28 |
심근경색 환자에서 베타 차단제와 CCB, 언제 어떻게 사용할까? (0) | 2025.02.27 |
급성 심근경색(AMI) 시술 전 필수 처치 및 약물 치료 총정리 (0) | 2025.02.27 |
안정형 vs. 불안정형 협심증, 차이점과 치료법 정리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