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식염수(0.9% NaCl)는 의료 현장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수액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생리식염수가 완전히 중성일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약산성입니다. 또한, 과량 투여 시 몇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생리식염수의 산도(pH)와 과다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1. 생리식염수(0.9% NaCl)의 pH는? 중성일까?
✔ 이론적으로 생리식염수는 NaCl과 H₂O로 구성되어 pH 7(중성)이 되어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 실제 pH: pH 4.5~7.0(보관 환경에 따라 다름)
✔ 이유:
- 제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₂)가 용해되며 약산성(H₂CO₃, 탄산) 형성
- 시간이 지나면서 탄산이온(HCO₃⁻) 손실 → 상대적 산성화
📌 결론: 생리식염수는 완벽한 중성이 아니라 약산성
2. 생리식염수를 많이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 1. 고염소성 대사성 산증 (Hyperchloremic Metabolic Acidosis)
📌 원인: 생리식염수의 높은 Cl⁻ 농도(154 mEq/L)로 인해 중탄산(HCO₃⁻) 감소
📌 증상: 산증(pH 저하), 무력감, 호흡 증가(Kussmaul 호흡)
📌 예방: 균형 잡힌 수액(예: Lactated Ringer’s, Plasmalyte) 고려
🚨 2. 체액 과부하 및 부종
📌 원인: 대량 수액 공급 시 수분과 나트륨 축적
📌 증상: 부종(사지, 폐부종), 호흡곤란(심한 경우)
📌 예방: 체액 균형 유지, 필요 없는 수액 제한
🚨 3. 신장 기능 저하 (Hyperchloremic AKI)
📌 원인: 높은 Cl⁻ 농도가 신장 혈류 감소 및 사구체 여과율(GFR) 저하 유발
📌 예방: 환자의 신장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액 선택
🚨 4. 전해질 불균형
📌 원인: 장기간 사용 시 Na⁺, Cl⁻ 증가 → 상대적인 K⁺, Ca²⁺ 부족 발생 가능
📌 예방: 혈액 전해질 모니터링 후 보충 필요
🚨 5. 혈액 응고 및 면역 기능 저하
📌 원인: 생리식염수는 혈장과 삼투압이 동일하지만 대량 투여 시 혈액 희석 발생
📌 증상: 혈액 응고 저하(출혈 위험 증가), 면역세포 기능 저하
📌 예방: 대량 출혈 시 Balanced Crystalloid 사용 고려
3. 생리식염수 vs. 균형 수액(Balanced Crystalloids) 비교
특징 | 생리식염수(0.9% NaCl) 균형 | 수액 (Lactated Ringer’s, Plasmalyte) |
pH | 4.5~7.0 (산성) | 6.5~7.5 (중성약알칼리) |
Na⁺ 농도 | 154 mEq/L | 130~140 mEq/L |
Cl⁻ 농도 | 154 mEq/L (높음) | 98~112 mEq/L |
산증 유발 여부 | 고염소성 대사성 산증 가능 | 최소화 |
신장 영향 | 신장 혈류 감소 가능 | 상대적으로 안전 |
📌 결론: 대량 수액 공급이 필요한 경우, 생리식염수보다는 균형 수액이 더 적절한 선택일 수 있음
4. 자주 묻는 질문 (Q&A)
Q1. 생리식염수를 대량 투여해야 하는 경우는 언제인가요?
👉 저혈량 쇼크, 심한 탈수, 저나트륨혈증(심각한 경우)에서 고려될 수 있습니다.
Q2. 생리식염수를 대량으로 사용하면 산증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Cl⁻ 농도가 높아지면서 HCO₃⁻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고염소성 대사성 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3. 신부전 환자에서 생리식염수를 대량 사용해도 되나요?
👉 신부전 환자는 체액 과부하 및 고염소혈증 위험이 있어, 균형 수액(Plasmalyte, LR) 사용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Q4. 생리식염수 대신 사용 가능한 대체 수액은 무엇인가요?
👉 Lactated Ringer’s, Plasmalyte 같은 균형 수액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Q5. 수술 중 생리식염수를 많이 사용하면 문제가 될 수 있나요?
👉 대량 사용 시 산증, 신기능 저하, 혈액 응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균형 수액이 더 적절한 경우가 많습니다.
생리식염수는 의료 현장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지만, 완벽한 수액이 아닙니다.
✅ **pH가 약산성(4.5~7.0)**이며, 고염소혈증 및 대사성 산증을 유발할 수 있음
✅ 신장 기능 저하, 체액 과부하, 전해질 불균형 등의 위험이 있음
✅ 대량 투여가 필요할 경우 균형 수액(LR, Plasmalyte) 고려 필요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액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바펜틴과 프레가발린, 왜 신경통에만 효과 있을까? (0) | 2025.02.27 |
---|---|
항경련제의 종류와 작용 기전 한눈에 정리 (0) | 2025.02.27 |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MS): 조기 진단과 치료 가이드 (0) | 2025.02.26 |
대사성 산증에서 Anion Gap이 의미하는 것은? (0) | 2025.02.26 |
대사성 산증 환자에서 중탄산나트륨 사용 가이드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