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이나 뇌경색(Stroke)이 발생하면 신경세포 손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Excitotoxicity(흥분독성)"입니다.
이 과정에서 글루탐산(Glutamate)이 과잉 방출되며, 신경세포의 과흥분을 유발하여 2차 신경손상(Secondary Brain Injury)을 촉진합니다.
그렇다면 Excitotoxicity는 어떻게 발생하며, 이를 막기 위한 치료 전략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1. 글루탐산과 Excitotoxicity란?
📌 글루탐산(Glutamate)
✅ 중추신경계(CNS)의 주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Excitatory Neurotransmitter)
✅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기억, 학습, 감각 처리 등 다양한 뇌 기능을 조절
✅ 하지만 과도하게 축적되면 신경세포 손상을 유발
📌 Excitotoxicity(흥분독성)의 정의
✅ 뇌손상으로 인해 글루탐산이 과잉 방출 → 신경세포 과흥분 → 신경세포 사멸(Neuronal Death) 유도
✅ 주로 NMDA(N-Methyl-D-Aspartate) 수용체 활성 증가와 관련
2. Excitotoxicity 발생 기전 🔬
1) 초기 손상 → 글루탐산 과잉 방출 🚨
✅ 뇌경색, 뇌출혈, 외상성 뇌손상(TBI) 발생
✅ ATP 부족 → 신경세포의 Na⁺-K⁺ 펌프 기능 저하
✅ 세포 외 글루탐산 제거 기능 감소 → 시냅스에서 글루탐산 축적
2) NMDA 수용체 활성 증가 → 칼슘 과다 유입 🧪
✅ 글루탐산이 NMDA 수용체에 과도하게 결합
✅ 신경세포 내 Ca²⁺(칼슘) 과다 유입
3) 칼슘 과부하 → 신경세포 사멸 ⚡
✅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 ATP 생산 저하
✅ 자유 라디칼(ROS) 생성 증가 →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 신경세포 내 단백질 분해, 지질 과산화 → 세포 괴사(Necrosis) & 세포자멸사(Apoptosis) 유도
4) 추가적인 신경손상 유발 🔄
✅ 세포막 손상 → 추가적인 글루탐산 방출
✅ 뇌부종(Brain Edema) 발생 → 혈류 감소 → 저산소증 악화
💡 결론:
Excitotoxicity는 초기 뇌손상 후 글루탐산 과잉 방출 → 칼슘 과부하 → 신경세포 손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형성!
3. Excitotoxicity가 관여하는 질환 🏥
✅ 뇌졸중(Stroke)
- 허혈성 뇌경색에서 혈류가 감소하면 글루탐산 제거 기능 손상 → 신경세포 과흥분 발생
✅ 외상성 뇌손상(TBI)
- 두부 외상 후 ATP 부족 &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 → 글루탐산 독성 증가
✅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s)
-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NMDA 수용체 과활성화로 인한 신경세포 손상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도파민 뉴런 손상과 함께 Excitotoxicity 증가
- 루게릭병(ALS): 글루탐산 제거 기능 이상으로 신경세포 사멸
4. Excitotoxicity 치료 전략 💊
Excitotoxicity를 차단하는 치료는 글루탐산 방출 억제, NMDA 수용체 차단, 칼슘 조절을 목표로 합니다.
✅ 1) NMDA 수용체 길항제 (NMDA Receptor Antagonist)
💊 메만틴(Memantine)
✅ NMDA 수용체 차단 → 칼슘 과부하 방지
✅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사용
💊 케타민(Ketamine)
✅ NMDA 수용체 차단 → 급성 뇌손상 보호 효과
✅ 뇌손상 환자의 신경 보호 목적 연구 진행 중
✅ 2) 글루탐산 제거 촉진 (Glutamate Clearance)
💊 리루졸(Riluzole)
✅ ALS(루게릭병) 치료제
✅ 글루탐산 방출 억제 & 신경보호 효과
💊 아스트로사이트 기능 강화 연구 진행 중
✅ 아스트로사이트는 글루탐산을 제거하는 역할 → 기능 강화하면 신경 보호 가능
✅ 3) 칼슘 조절 및 미토콘드리아 보호
💊 마그네슘(Mg²⁺)
✅ NMDA 수용체 조절 → 칼슘 유입 억제
✅ 뇌손상 후 신경 보호 효과 연구 진행 중
💊 미토콘드리아 보호제(Mitochondrial Protectors)
✅ 코엔자임 Q10(CoQ10), 니코틴아마이드(Nicotinamide) 등
✅ 산화 스트레스 감소 & ATP 생산 증가
✅ 4) 저체온 치료 (Targeted Temperature Management, TTM) 🧊
🌡 목표 체온: 32~36°C 유지
✅ 뇌 대사율 감소 → 글루탐산 방출 억제
✅ 신경세포 보호 효과
⚠️ 주의:
- 심부전, 부정맥 위험 증가 가능 → 심혈관 모니터링 필수
✅ 5) 항산화 치료 (Antioxidants) 🛡
✅ 비타민 C, E → 자유 라디칼 제거
✅ N-아세틸시스테인(NAC) → 산화 스트레스 감소
✅ 미토콘드리아 보호 효과 연구 진행 중
5. Excitotoxicity 치료 전략 요약 📋
| 치료 전략 | 기전 | 주요 효과 |
| NMDA 길항제 (메만틴, 케타민) | NMDA 수용체 차단 | 칼슘 과부하 방지 |
| 글루탐산 제거 촉진 (리루졸) | 글루탐산 방출 억제 | 신경 보호 |
| 칼슘 조절 (Mg²⁺) | NMDA 수용체 조절 | 신경세포 보호 |
| 저체온 치료 (TTM) | 뇌 대사율 감소 | 글루탐산 방출 억제 |
| 항산화 치료 (NAC, 비타민 C, E) | 자유 라디칼 제거 | 산화 스트레스 감소 |
💡 핵심 포인트:
- Excitotoxicity는 급성 뇌손상에서 신경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핵심 기전
- NMDA 수용체 차단, 글루탐산 제거, 미토콘드리아 보호가 중요
- 저체온 치료 & 항산화 치료가 신경 보호 효과를 가질 가능성 높음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란? 언제 사용할까? (0) | 2025.02.22 |
|---|---|
| TTM(저체온요법) 중 적절한 진정제 및 진통제 선택 (0) | 2025.02.22 |
| ROSC 후 Myoclonic Seizure 치료 전략: 벤조디아제핀부터 저체온 요법까지 (0) | 2025.02.22 |
| 고혈압으로 인해 뇌부종이 생길 수 있다고? PRES 증후군 알아보기 (1) | 2025.02.22 |
| 펜타닐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 얼마나 떨어질까?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