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에피네프린 vs. 노르에피네프린: 수용체별 작용 기전 완벽 정리

by Avenue 2025. 2. 21.
반응형

에피네프린 vs. 노르에피네프린: 수용체별 작용 기전 완벽 정리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은 카테콜아민 계열의 신경전달물질이자 호르몬
교감신경계(SNS)를 활성화하여 혈압 조절, 심박수 증가, 기관지 확장 등의 작용 수행
각각의 수용체(α, β) 작용 차이에 따라 임상 적용이 다름


🔹 1. 기본 개요: 에피네프린 vs.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Epinephrine, Adrenaline)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Noradrenaline)
주요 작용 광범위한 교감신경 활성화 주로 혈관 수축 및 심박출량 증가
수용체 친화성 α1, α2, β1, β2 모두 작용 α1, α2, β1 작용 (β2 효과 미미)
혈압 영향 ⬆ 수축기 혈압(α1, β1), ⬇ 이완기 혈압(β2) ⬆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강한 혈관 수축)
심박수 영향 ⬆ 심박수 증가(β1) 변동 가능 (반사성 서맥 가능)
기관지 확장 ✅ (β2 작용) ❌ 없음
대사 효과 ✅ 혈당 증가(β2), 지질 분해 ❌ 대사 효과 미미
주요 적응증 아나필락시스, 심정지, 기관지 경련 저혈압 쇼크(특히 패혈성 쇼크), 중환자실 혈압 유지

핵심 차이점:

  • 에피네프린: α & β 모두 강력하게 활성화 → 심박수 증가 + 혈관 수축/확장 + 기관지 확장
  • 노르에피네프린: 주로 α1 작용 → 강한 혈관 수축 → 혈압 유지 (쇼크 치료)

🔹 2. 수용체별 작용 기전 정리

교감신경 수용체(Adrenergic Receptors)의 역할

  작용 기전 에피네프린 효과 노르에피네프린 효과
α1 (혈관 수축, 혈압 상승) Gq 단백 → IP3 증가 → Ca²⁺ 유입 → 혈관 평활근 수축 ✅ 강력한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 강력한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α2 (교감신경 억제, 혈압 조절) Gi 단백 → cAMP 감소 → 노르에피네프린 분비 감소 ✅ 혈관 긴장도 조절 ✅ 혈관 긴장도 조절
β1 (심장 수축력 & 심박수 증가) Gs 단백 → cAMP 증가 → Ca²⁺ 증가 → 심근 수축력 & 박동수 증가 ✅ 심박수 증가 & 심박출량 증가 ✅ 심박출량 증가 (HR 변동 가능)
β2 (기관지 확장 & 혈관 확장) Gs 단백 → cAMP 증가 → 평활근 이완 ✅ 기관지 확장, 혈관 확장 (이완기 혈압 감소) ❌ 효과 미미
β3 (지방 분해, 에너지 대사 활성화) Gs 단백 → cAMP 증가 → 지방 분해 ✅ 지질 분해 촉진 ❌ 효과 미미

핵심 차이점:

  • 에피네프린 = α1(혈관 수축) + β1(심박수 증가) + β2(기관지 확장 & 혈관 확장)
  • 노르에피네프린 = α1(혈관 수축) + β1(심박출량 증가) (β2 효과 없음 → 혈압 강력 상승)

🔹 3. 임상적 적용 (사용 적응증 & 용량)

✅ 에피네프린 (Epinephrine)

💉 주요 사용 사례

  • 아나필락시스 (1차 선택 약물)
    • 0.30.5mg IM (근육주사) / 515분마다 반복 가능
  • 심정지(ACLS, VF/VT, PEA, Asystole)
    • 1mg IV push (3~5분 간격, 최대 없음)
  • 기관지 수축 (천식, 크룹 증후군)
    • 흡입제(분무): 2.25% 용액 0.5mL + 생리식염수

💡 에피네프린은 강력한 β2 작용 → 기관지 확장 효과 → 아나필락시스 치료에 필수!


✅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 주요 사용 사례

  • 패혈성 쇼크, 심한 저혈압 (혈압 유지 목적)
    • 0.01~3 mcg/kg/min IV 지속 주입
  • 심장성 쇼크(저심박출 상태에서 혈압 유지 필요할 때)
    • 0.05~1 mcg/kg/min IV 지속 주입

💡 노르에피네프린은 강력한 α1 작용 → 혈관 수축 → 저혈압 쇼크 치료에 필수!


🔹 4. 에피네프린 vs. 노르에피네프린 선택 가이드

임상 상황 선택 약물 이유
아나필락시스 에피네프린 IM ✅ 기관지 확장(β2) + 혈압 유지(α1)
심정지 (ACLS) 에피네프린 IV ✅ 심박수 증가(β1) + 혈관 수축(α1)
패혈성 쇼크 (저혈압 심한 경우) 노르에피네프린 IV ✅ 강력한 혈관 수축(α1)로 혈압 유지
심장성 쇼크 (저혈압 + 저심박출)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도부타민 병용 ✅ 혈압 유지(α1) + 심박출량 증가(β1)
기관지 경련 (천식, 크룹) 에피네프린 흡입 ✅ 기관지 확장(β2)

💡 즉, 에피네프린은 급성 아나필락시스 & 심정지 치료에 필수, 노르에피네프린은 혈압 유지가 핵심인 쇼크 치료에 사용!


🔹 5. 부작용 및 주의사항

에피네프린 부작용

  • 고혈압(α1), 부정맥(β1), 손떨림(β2), 고혈당(β2)
  • 말초 허혈 가능(과도한 혈관 수축 시)

노르에피네프린 부작용

  • 강한 혈관 수축으로 인한 말초 허혈, 괴사 위험
  • 반사성 서맥 가능 (고혈압으로 인해 미주신경 반응 유발)

💡 노르에피네프린은 중심정맥(중심 정맥 카테터)으로만 투여해야 말초 괴사 위험 감소!


🔹 6. 결론: 에피네프린 vs. 노르에피네프린 요약

구분 에피네프린 (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주요 작용 α1 + β1 + β2 α1 + β1 (β2 거의 없음)
혈압 영향 ⬆ 수축기 ⬇ 이완기 ⬆⬆ 혈압 상승 (강한 혈관 수축)
기관지 확장 ✅ 있음 (β2) ❌ 없음
주요 적응증 아나필락시스, 심정지, 기관지 수축 패혈성 쇼크, 심한 저혈압

👉 결론적으로, 에피네프린은 심정지 및 아나필락시스 치료, 노르에피네프린은 저혈압 쇼크에서 혈압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