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경병증성 통증4

중환자실에서 이미프라민, 언제 사용해야 할까? 이미프라민(Imipramine)은 삼환계 항우울제(TCA)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중환자실(ICU)에서도 특정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로 저혈압 치료, 야뇨증, 신경병증성 통증, 항부정맥 효과를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심혈관계 부작용과 약물 상호작용 위험이 있어, 신중한 투여가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에서 이미프라민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적절한 용량, 주의할 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이미프라민의 주요 작용 기전이미프라민은 노르에피네프린(NE) 및 세로토닌(5-HT) 재흡수 억제제로 작용하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집니다.✅ 교감신경 활성 증가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차단하여 혈압 상승 효과✅ 항무스카린 효과방광 수축 감소 → 야뇨증, 신경인성 방광 치료침분비 .. 2025. 3. 22.
Baclofen은 언제 사용할까? 근육 경직부터 알코올 중독 치료까지 Baclofen(바클로펜)은 GABA_B 수용체 작용제(Agonist)로,주로 근육 경직(Spasticity) 치료제로 사용되지만,최근에는 알코올 중독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Baclofen의 작용 기전과 임상적 활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Baclofen의 작용 기전 (GABA_B 수용체 작용제)Baclofen은 GABA_B 수용체에 작용하여 신경 억제 효과를 유발합니다.✅ GABA_B 수용체 활성화 → K⁺ 채널 개방 → 신경세포 과흥분 억제✅ Ca²⁺ 채널 차단 → 신경전달물질(Glutamate) 분비 억제 → 흥분성 신호 감소📌 결과:✔ 척수 반사 억제 → 근육 경직 완화✔ 신경 흥분성 감소 → 진정 효과✔ 보상회로 조절 → 알코올 의존도 감소 .. 2025. 2. 24.
NMDA 수용체 길항제 Ketamine, 어떻게 작용할까? Ketamine(케타민)은 강력한 진통 효과와 해리성 마취(Dissociative Anesthesia)를 유발하는 약물로,NMDA(N-Methyl-D-Aspartate) 수용체 길항제 역할을 합니다.이 글에서는 Ketamine이 NMDA 수용체를 어떻게 차단하며, 신경계와 전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NMDA 수용체란?NMDA 수용체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탐산(Glutamate)이 작용하는 주요 이온통로로,다음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신경 전달 조절 → 기억력, 학습, 통증 신호 조절✅ 중추 감작(Central Sensitization) → 통증 민감성 증가✅ 장기 강화(Long-term potentiation, LTP) → 시냅스 가소성(Synaptic Plasticit.. 2025. 2. 24.
신경통 치료제 가바펜틴(Gabapentin)의 작용 기전 가바펜틴(Gabapentin)은 원래 항경련제(Anticonvulsant, 간질 치료제)로 개발되었지만, 현재는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 치료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신경통은 일반적인 진통제(NSAIDs, 아편계 진통제)로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신경계 작용을 조절하는 가바펜틴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가바펜틴은 신경통을 어떻게 완화할까요? 🧐📌 1. 가바펜틴이 신경통에 사용되는 이유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은 신경 손상 또는 신경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 통증입니다.🔹 대표적인 신경통 질환✔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대상포진 후 신경통(Postherpetic Neuralgia).. 2025.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