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요로 감염 패혈성 쇼크, 경험적 항생제 선택 가이드! (ESBL, CRE 포함)

by Avenue 2025. 3. 19.
반응형

요로 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은 중증으로 진행할 경우 패혈성 쇼크(Septic Shock)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제내성균(MDR,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감염이 증가하면서, 경험적 항생제 선택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요로 감염 패혈성 쇼크에서 경험적 항생제 선택 전략, ESBL(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및 CRE(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ales) 감염 시 항생제 선택법을 정리하겠습니다.

요로 감염 패혈성 쇼크, 경험적 항생제 선택 가이드! (ESBL, CRE 포함)


요로 감염 패혈성 쇼크란?

📌 요로 감염이 진행하여 전신적인 패혈증 및 혈압 저하(Septic Shock)로 이어진 상태
✔️ 호흡수 증가(>22회/min), 정신 변화(혼돈, 섬망), 저혈압(MAP <65mmHg)
✔️ 혈액배양(Blood Culture) 및 소변배양(Urine Culture)에서 원인균 확인 필요
✔️ 빠른 경험적 항생제 투여(Within 1 hour) 및 적극적 혈역학적 관리 필요

➡️ 초기 항생제 선택이 생존율을 결정합니다! 🚨


요로 감염 패혈성 쇼크에서 경험적 항생제 선택

📌 항생제 선택 시 고려할 요소
✔️ 지역 내 내성률(ESBL, CRE 유병률)
✔️ 최근 항생제 사용력
✔️ 병원 감염 vs. 지역사회 감염
✔️ 기저질환(면역저하, 당뇨, 신장병 등)


🔹 1️⃣ 경험적 1차 항생제 (광범위 항생제)

📌 중증 UTI + 패혈성 쇼크 의심 시, 즉시 경험적 항생제 투여

원인균 가능성 1차 경험적 항생제
일반적인 그람음성균 (E. coli, Klebsiella, Proteus 등) 세페핌(Cefepime) 2g IV q12h or 피페라실린/타조박탐(Piperacillin/Tazobactam, Tazocin) 4.5g IV q6h
ESBL 가능성 높은 경우 메로페넴(Meropenem) 1g IV q8h
CRE(카바페넴 내성) 가능성 있는 경우 세프타지딤/아비박탐(Ceftazidime/Avibactam) + 콜리스틴(Colistin)
녹농균(Pseudomonas) 감염 위험 세페핌(Cefepime) or 메로페넴(Meropenem) ± 아미노글리코사이드(Gentamicin, Amikacin)
그람양성균(E. faecalis, MRSA 가능성) 반코마이신(Vancomycin) 추가 고려

➡️ 패혈성 쇼크에서는 "광범위 항생제"를 신속하게 투여하고, 원인균 확인 후 De-escalation 전략 적용


🔹 2️⃣ ESBL(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감염 시 항생제 선택

📌 ESBL 생산 균주: 주로 E. coli, Klebsiella pneumoniae

✔️ 1차 선택

  • 카바페넴 계열(Meropenem, Imipenem, Ertapenem)
  • 요로 국한 감염(Urinary Isolate) 시 포스포마이신(Fosfomycin) or 니트로푸란토인(Nitrofurantoin) 고려 가능

✔️ 대체 옵션 (Stable 상태일 경우 고려 가능)

  • 세프타지딤/아비박탐(Ceftazidime/Avibactam)
  • 세페피임/타네프로박탐(Cefepime/Taniborbactam) (신약, 일부 지역 적용 가능)

➡️ ESBL 감염에서는 "카바페넴(메로페넴)"이 1차 선택!


🔹 3️⃣ CRE(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ales) 감염 시 항생제 선택

📌 CRE 감염의 주요 원인균: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spp., E. coli
📌 KPC(Klebsiella pneumoniae Carbapenemase), OXA-48, NDM 등 다양한 내성 기전 존재

✔️ 1차 선택 (감수성 확인 필수!)

  • 세프타지딤/아비박탐(Ceftazidime/Avibactam) ± 아즈트레오남(Aztreonam) (NDM 감염 시)
  • 메로페넴/바보르박탐(Meropenem/Vaborbactam)
  • 이미페넴/릴레박탐(Imipenem/Relebactam)

✔️ 2차 선택 (다제내성 CRE 시 사용 가능)

  • 콜리스틴(Colistin) or 폴리믹신 B(Polymyxin B) + 테트라싸이클린(Tigecycline)
  • 플루오로퀴놀론(Levofloxacin, Ciprofloxacin) (감수성 있는 경우에만 사용)

➡️ CRE 감염은 치료가 어려우므로 반드시 감수성 검사 후 치료 조정!


요로 감염 패혈성 쇼크 치료 전략

📌 패혈성 쇼크 환자의 치료 4단계

1️⃣ 초기 수액 치료 (혈역학적 안정화)

✔️ 30mL/kg의 정맥 수액(크리스탈로이드, NS or RL) 신속 투여
✔️ 저혈압 지속 시 승압제(Norepinephrine) 사용 고려

2️⃣ 경험적 항생제 신속 투여 (Within 1 Hour!)

✔️ 광범위 항생제 사용 후, 감수성 결과에 따라 De-escalation 적용
✔️ 항생제 치료 기간: 7~14일 (중증 감염 시 연장 가능)

3️⃣ 감염 원인 조기 제거 (Source Control)

✔️ 요로 감염의 경우, 적절한 배액(Catheter 제거, PCD 적용) 필수
✔️ 방광 카테터가 원인이면 즉시 교체 또는 제거

4️⃣ 환자의 면역 상태 및 기저질환 관리

✔️ 면역저하, 당뇨병, 신장 질환 환자는 치료 반응이 느릴 수 있음

➡️ 패혈성 쇼크에서는 빠른 항생제 투여 + 적절한 수액 요법 + 감염 원인 제거(Source Control)가 생존율 향상에 필수적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1️⃣ ESBL 감염인데 카바페넴 외에도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가 있나요?

➡️ 세프타지딤/아비박탐(Ceftazidime/Avibactam), 세페피임/타네프로박탐(Cefepime/Taniborbactam) 등의 신약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2️⃣ CRE 감염 시, 카바페넴을 계속 사용해야 하나요?

➡️ CRE 감염에서는 카바페넴 단독 치료가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세프타지딤/아비박탐, 메로페넴/바보르박탐 등으로 변경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3️⃣ 요로 감염 패혈성 쇼크에서 MRSA 감염 가능성은 언제 고려해야 하나요?

➡️ 요로 카테터 감염, 병원 감염, 면역저하 환자에서 MRSA 감염 가능성이 있으며, 반코마이신(Vancomycin) 추가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