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입원한 급성 췌장염 환자, 어떻게 치료할까?

by Avenue 2025. 2. 26.
반응형

급성 췌장염은 췌장의 염증이 갑자기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한 복통과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의 치료는 염증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번 글에서는 입원한 급성 췌장염 환자의 치료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입원한 급성 췌장염 환자, 어떻게 치료할까?


1. 급성 췌장염의 원인과 증상

🔹 주요 원인

담석(췌장염 원인의 약 40~70%)
과음(알코올성 췌장염, 약 25~35%)
고지혈증, 고칼슘혈증
특정 약물(이뇨제, 면역억제제 등)
외상, 감염, 수술 후 합병증

🔹 대표적인 증상

📌 심한 복통: 상복부 중앙에서 시작해 등으로 퍼지는 통증
📌 구역, 구토: 음식 섭취 후 증상 악화
📌 발열, 빈맥: 심한 염증 반응이 동반될 경우
📌 복부 팽만, 장운동 저하: 중증 환자에서 흔함


2. 입원 치료 단계

🏥 1. 초기 안정화 (입원 직후)

✔️ 금식(NPO): 췌장 자극을 줄이기 위해 금식 시행
✔️ 수액 치료: 신장 기능 보호 및 혈압 유지(주로 링거유산염 사용)
✔️ 진통제 투여: 페티딘 또는 부프레노르핀(마약성 진통제) 사용
✔️ 구토 조절: 필요 시 메토클로프라미드, 온단세트론 투여
✔️ 산소 공급 및 혈압 모니터링: 중증 환자의 경우 필요


🏥 2. 원인 치료

  1. 담석성 췌장염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시행
    • 담관 폐쇄가 심한 경우 빠른 제거 필요
    • 담낭절제술(Cholecystectomy) 고려
  2. 알코올성 췌장염금주 필수, 수액 보충 및 전해질 교정
    • 재발 방지를 위해 알코올 중독 치료 병행
  3. 고지혈증성 췌장염지질저하제(스타틴, 피브레이트) 투여
    • 중증의 경우 혈장교환술(plasmapheresis) 고려
  4. 약물 유발성의심 약물 중단 후 대증 치료

🏥 3. 영양 공급 및 회복 관리

✔️ 경장영양(EN, Enteral Nutrition) 조기 시작

  • 금식을 오래 지속하면 장 점막 위축 위험 증가
  • 경증: 증상 완화 후 저지방 식사 단계적 시작
  • 중증: 비위관(NG tube) 또는 비장관(NJ tube) 영양 공급

✔️ 정맥영양(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 고려

  • 장운동 저하가 지속될 경우 필요

✔️ 항생제 사용 여부

  • 급성 췌장염은 기본적으로 항생제 치료 불필요
  • 다만, 감염성 췌장 괴사 발생 시 카바페넴계 항생제(예: 메로페넴) 사용

🏥 4. 합병증 관리

🚨 췌장 괴사 및 감염 발생 시
✔️ CT-guided Drainage: 감염성 괴사 배액술 시행
✔️ 항생제 투여: 감염 확진 시에만 사용(광범위 항생제)
✔️ 괴사 조직 제거(Necrosectomy): 내시경 또는 수술적 방법

🚨 췌장 가성낭종(Pseudocyst)
✔️ 크기 >6cm, 증상 동반 시 내시경 배액술 고려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
✔️ 산소 치료 또는 기계 환기 필요


3. 퇴원 후 관리 및 생활 습관

1️⃣ 담석성 췌장염 환자담낭절제술 시행
2️⃣ 알코올성 췌장염 환자완전한 금주 필수
3️⃣ 저지방 식단 유지: 췌장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고지방 음식 피하기
4️⃣ 수분 섭취 증가: 신장 기능 보호 및 전해질 균형 유지
5️⃣ 정기적인 혈액 검사: 고지혈증, 당뇨병 여부 확인


4. 자주 묻는 질문 (Q&A)

Q1. 급성 췌장염 환자는 왜 금식을 하나요?

👉 음식 섭취 시 소화 효소가 분비되어 췌장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2. 언제부터 음식 섭취가 가능한가요?

👉 복통이 사라지고 염증 수치(아밀라아제, 리파아제)가 정상화되면 저지방 식사부터 시작합니다.

Q3. 급성 췌장염은 재발할 수 있나요?

👉 네, 원인을 교정하지 않으면 재발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담석 제거, 금주가 중요합니다.

Q4. 항생제 치료가 꼭 필요한가요?

👉 감염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항생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감염성 괴사 발생 시 사용합니다.

Q5. 급성 췌장염 후에도 지속적인 복통이 있을 수 있나요?

👉 만성 췌장염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급성 췌장염은 신속한 치료가 중요한 질환입니다. 적절한 수액 보충, 통증 조절, 원인 치료를 병행하면 대부분의 환자가 회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합병증이 발생하면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