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파민(Dopamine)과 도부타민(Dobutamine)은 모두 심혈관 치료에서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작용 기전과 적응증이 다릅니다.
1. 기본 작용 기전
- 도파민 (Dopamine)
- 용량에 따라 작용하는 수용체가 다름
- 저용량 (1–5 mcg/kg/min): 도파민 수용체(D1) 자극 → 신장 및 내장 혈류 증가 (이뇨 작용)
- 중간용량 (5–10 mcg/kg/min): β1 수용체 자극 → 심박출량 증가 (심근 수축력 증가)
- 고용량 (>10 mcg/kg/min): α1 수용체 자극 → 혈관 수축 (혈압 상승)
- 결과: 심박출량 증가, 혈압 상승, 신장 관류 개선
- 용량에 따라 작용하는 수용체가 다름
- 도부타민 (Dobutamine)
- 주로 β1-수용체에 작용 → 심근 수축력 증가
- 약한 β2 및 α1 작용도 있어 혈관 확장 효과가 일부 존재
- 결과: 심박출량 증가, 혈압 변화는 크지 않음 (혈관 저항에 미치는 영향이 적음)
2. 적응증 비교
도파민 | 도부타민 | |
저혈압 치료 | O (특히 중~고용량에서) | X (혈압 상승 효과 미미) |
심부전 치료 | O (심박출량 증가) | O (심박출량 증가, 특히 저혈압 없는 경우) |
신장 기능 개선 | O (저용량에서 신장 관류 증가) | X (신장 혈류에 대한 직접적 효과 없음) |
패혈성 쇼크 | O (혈압 유지 목적) | X (혈관 저항 감소로 부적절) |
심인성 쇼크 | O (혈압 상승과 심박출량 증가) | O (혈압이 안정적인 경우 심박출량 증가 목적) |
3. 사용상의 차이점
- 도파민
- 혈압이 낮은 환자에서 1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특히 신장 관류 개선이 필요한 경우)
- 고용량에서는 말초 혈관 수축 효과가 있어 허혈 위험 존재
- 부정맥 유발 가능성이 있음
- 도부타민
- 혈압이 비교적 안정적인 심부전 환자에서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
- 혈관 확장 효과가 있어 저혈압 환자에게 단독 사용은 부적절
- 부정맥 유발 가능성이 낮음
4. 요약
- 도파민: 혈압이 낮고 심박출량 증가가 필요한 경우 (저혈압 동반 심부전, 패혈성 쇼크)
- 도부타민: 혈압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심박출량 증가가 필요한 경우 (보상된 심부전, 심인성 쇼크)
두 약물 모두 부정맥 유발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됩니다.
반응형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통이 심할 때, 효과적인 약물 선택법! (1) | 2025.02.21 |
---|---|
먹는 철분제보다 효과 좋은 페린젝트, 만성 빈혈 환자를 위한 선택 (0) | 2025.02.21 |
급성 통증엔 펜타닐? 만성 통증엔 모르핀? 차이점 완벽 정리! (0) | 2025.02.20 |
프로포폴 vs. 미다졸람? 내시경 진정제 선택 가이드 (0) | 2025.02.20 |
대장내시경 없이 대장암을 검사하는 5가지 방법!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