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지식

지역사회 획득 폐렴(CAP)과 경험적 항생제 사용

Avenue 2025. 2. 8. 13:25
반응형

지역사회 획득 폐렴(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은 병원 외부에서 감염된 폐렴을 의미하며, 흔한 호흡기 감염 질환 중 하나입니다. 특히, 면역력이 저하된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에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경험적 항생제 치료가 중요하며, 환자의 중증도와 위험인자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집니다.

CAP의 치료 전략에 대해 알아볼까요?


1.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원인균

CAP의 주요 원인균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주요 원인균
일반적인 CAP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Mycoplasma pneumoniae, Chlamydia pneumoniae, Legionella spp.
고위험군(면역저하, 기저질환자)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Pseudomonas aeruginosa
바이러스성 폐렴 인플루엔자, 코로나바이러스, RSV, 아데노바이러스
  • S. pneumoniae는 CAP의 가장 흔한 원인균
  • Mycoplasma pneumoniae, Chlamydia pneumoniae, Legionella spp. 등은 비정형 폐렴의 원인균
  • 인플루엔자 등 바이러스성 폐렴도 중요한 원인

2.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경험적 항생제 치료

경험적 항생제 선택은 환자의 중증도, 입원 여부, 동반 질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1) 외래 환자 치료 (경증 CAP)

  • 동반 질환이 없는 경우
    • 1차 치료: 아목시실린(Amoxicillin)
    • 비정형균 의심 시: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또는 아지스로마이신(Azithromycin)
  • 동반 질환(당뇨, 만성 폐질환 등)이 있는 경우
    • β-락탐(Amoxicillin-Clavulanate) + Macrolide(Azithromycin) 병용
    • 또는 Respiratory fluoroquinolone (Levofloxacin, Moxifloxacin) 단독

2) 입원 환자 치료 (중등도 CAP, 일반병동 입원 필요)

  • β-락탐(Ceftriaxone, Ampicillin-Sulbactam) + Macrolide(Azithromycin) 병용
  • 또는 Respiratory fluoroquinolone(Levofloxacin, Moxifloxacin) 단독

3) 중증 CAP (중환자실 입원 필요)

  • β-락탐(Ceftriaxone, Piperacillin-Tazobactam) + Macrolide 또는 Fluoroquinolone 병용
  • MRSA 감염 위험이 있는 경우: Vancomycin 또는 Linezolid 추가
  • Pseudomonas 감염 위험이 있는 경우: Piperacillin-Tazobactam, Cefepime, 또는 Meropenem 사용

3. CAP 치료 전략 및 항생제 사용 원칙

1) 치료 기간

  • 일반적으로 5~7일 치료 권장
  • 중증 폐렴의 경우, 7~10일 치료 가능
  • 환자의 증상 호전 여부에 따라 조기 중단 가능

2) 항생제 감수성 고려

  • 지역별 항생제 내성률을 확인하여 적절한 항생제 선택
  • MRSA, 다제내성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 위험이 있는 경우 초기부터 광범위 항생제 사용

3) 바이러스성 폐렴 감별

  • 인플루엔자, COVID-19 등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될 경우 항바이러스제(Oseltamivir, Remdesivir 등) 고려
  •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피하고, 정확한 원인 감별 중요

4. 결론

지역사회 획득 폐렴은 원인균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경험적 항생제 선택이 달라집니다. 외래 환자는 경구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며, 입원 환자는 β-락탐과 Macrolide 또는 Fluoroquinolone 병용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한 경우, MRSA 및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 가능성을 고려한 광범위 항생제 선택이 중요합니다.

빠른 진단과 적절한 경험적 치료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료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Q&A

Q1. 지역사회 획득 폐렴에서 가장 흔한 원인균은 무엇인가요?
A1. Streptococcus pneumoniae가 가장 흔한 원인균입니다.

Q2. 폐렴의 치료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A2. 일반적으로 57일 치료하며, 중증 환자는 710일까지 연장할 수 있습니다.

Q3. Macrolide 계열 항생제는 언제 사용하나요?
A3. 비정형 폐렴(마이코플라즈마, 클라미디아, 레지오넬라)이 의심될 때 사용합니다.

Q4. 중환자실 입원이 필요한 경우 어떤 항생제를 사용하나요?
A4. β-락탐(Ceftriaxone)과 Macrolide 또는 Fluoroquinolone을 병용하며, MRSA 및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 가능성이 있으면 Vancomycin 또는 Piperacillin-Tazobactam을 추가합니다.

Q5. 바이러스성 폐렴에도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나요?
A5.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폐렴에는 항생제보다 항바이러스제(Oseltamivir, Remdesivir 등)를 사용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