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P에서 도부타민, 꼭 써야 할까? 사용 기준 완전 정리
스트레스성 심근병증(Stress-induced Cardiomyopathy, 이하 SCMP)은 갑작스러운 스트레스 상황 후 발생하는 일시적 심장 기능 저하 질환입니다. 주로 여성에게서 발생하며, 타카츠보 심근병증(Takotsubo Cardiomyopathy)으로도 불립니다. 심근경색처럼 보이지만 관상동맥에는 협착이 없는 것이 특징이죠. SCMP는 대부분 자연 회복 경과를 보이지만, 심부전 상태나 저혈압이 동반될 경우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때 흔히 언급되는 약물이 도부타민(Dobutamine)인데, 과연 꼭 사용해야 할까요? 오늘은 SCMP에서 도부타민 사용 기준과 주의점을 완전히 정리해보겠습니다. 💉🫀
🧠 SCMP란? 잠깐 복습!
- 급성 스트레스 (예: 사별, 사고, 감정적 충격 등) 이후 발생
- 주로 좌심실 중부~심첨부 운동 저하 + 기저부 과운동
- 심전도상 ST상승, T파 역전 등 급성 심근경색 유사
- 혈액검사에서 트로포닌 상승 가능하지만 관상동맥은 정상
대부분 며칠~몇 주 내로 회복되며, 치료는 대개 보존적입니다.
💊 도부타민(Dobutamine)이란?
도부타민은 β1-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로, 심장 수축력을 증가시키는 양성 수축제(inotrope)입니다. 주로 심박출량이 저하된 심인성 쇼크나 급성 심부전에서 사용됩니다.
🔍 SCMP에서 도부타민, 언제 필요할까?
SCMP는 대부분 회복성이 있지만, 일부 환자는 저혈압, 폐부종, 심박출량 저하 등의 중증 순환기능 부전을 동반합니다. 이때는 심장 기능을 보조해주는 약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도부타민 사용 기준
조건 | 설명 |
---|---|
심박출량 감소 (CI < 2.2 L/min/m²) | 심인성 쇼크 기준에 해당 |
혈압 저하 (SBP < 90 mmHg) + 장기 저관류 소견 | 사지 냉감, 혼돈, 소변량 감소 등 |
심부전 증상 동반 | 폐부종, 호흡곤란, 저산소증 |
좌심실 박출률(LVEF) < 30% | 일시적으로 심기능 보조 필요 |
🚫 이런 경우는 주의!
도부타민은 기저부 과운동이 뚜렷한 SCMP 환자에게 심실기능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즉, 심실벽 수축의 비대칭성이 도부타민에 의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한 사용이 요구됩니다.
📌 심인성 쇼크가 아닌 경우, 도부타민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도부타민 외 대안은?
1. 레보시멘단(Levosimendan)
- 칼슘 감작제 + 혈관확장 효과
- SCMP에서 도부타민보다 심근 산소 소비를 덜 증가시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안
2. 기계적 순환 보조 장치
- IABP (대동맥 풍선 펌프), ECMO 등
- 쇼크가 심한 경우 도부타민보다는 기계적 보조로 초기 안정화를 추구하기도 함
📋 최근 지견 및 가이드라인 (2023~2024 기준)
- ESC 심근병증 가이드라인(2023): 도부타민은 혈역학적 불안정 시 제한적으로 사용, 심근 산소 소비 증가와 심실벽 압력 상승에 주의
- JACC 리뷰(2024): SCMP에서 도부타민은 가능한 피하고, 대안제나 보조기기 우선 고려 권고
- 국내 연구 보고(대한심장학회): 심인성 쇼크 환자에서 도부타민 사용군은 ECMO 필요율, 재입원률이 더 높았다는 보고 있음
✅ 결론: 꼭 써야 할까?
도부타민은 SCMP 환자에서 혈압이 떨어지고, 장기 저관류 소견이 뚜렷할 때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그 외 대부분의 경우에는 회복을 기다리거나, 레보시멘단 같은 대안 약물 사용 또는 기계적 순환 보조 장치 적용이 우선 고려되어야 합니다.
도부타민은 빠르게 순환기능을 개선시킬 수는 있지만, SCMP 특성상 자칫 심실 벽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더 큰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
❓ 자주 묻는 질문 (Q&A)
Q1. 도부타민을 쓰면 회복이 빨라지나요?
A1. 아닙니다. 회복은 SCMP의 자연 경과에 따르며, 도부타민은 증상 완화 목적일 뿐입니다.
Q2. 도부타민이 심근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나요?
A2. 과도한 심실 수축력 증가는 심장 벽 응력 증가로 이어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Q3. 저혈압이 없으면 도부타민은 쓰지 않나요?
A3. 네, 안정적인 혈압을 유지한다면 도부타민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Q4. ECMO는 언제 고려하나요?
A4. 약물치료로도 혈압 유지가 불가능하거나,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 ECMO를 고려합니다.
Q5. SCMP는 재발할 수 있나요?
A5. 드물지만 가능하며, 재발 방지를 위해 스트레스 관리 및 일부 경우 β차단제 유지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