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중환자실 약물: 프로포폴(Propofol)

Avenue 2025. 2. 5. 20:12
반응형

프로포폴(Propofol)은 초단시간 작용성 정맥 마취제(IV Anesthetic)로, 전신마취 유도, 진정(Sedation),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의 진정 유지 등에 사용됩니다. 빠른 효과, 짧은 작용 시간, 신속한 회복이 특징입니다.

프로포폴에 대해 알아볼까요?


1. 프로포폴의 작용 기전

프로포폴은 GABA-A 수용체 활성화를 통해 신경 억제 효과를 유도합니다.

  • 진정(Sedation) → 빠르고 깊은 진정 유도
  • 최면(Hypnosis) → 의식 소실(마취 유도)
  • 항구토 효과(Antiemetic) → 마취 후 구토 예방

💡 장점:
✔ 빠른 작용(IV 투여 후 30초 이내 효과)
✔ 짧은 반감기(회복이 빠름)
✔ 항구토 효과(수술 후 구역·구토 감소)

💡 단점:
❌ 호흡 억제 및 저혈압 유발 가능
❌ 장시간 사용 시 프로포폴 주입 증후군(PRIS) 위험


2. 프로포폴의 적응증 (사용하는 경우)

  1. 전신마취 유도 및 유지 (General Anesthesia Induction & Maintenance)
    • 마취 유도 및 유지에 사용 (수술, 기관 삽관)
  2. 의식 진정 (Procedural Sedation)
    • 내시경, 기관지경 검사, 수술 전 처치 등에서 진정 목적 사용
  3. 기계 환기 중 진정 (Ventilator Sedation, ICU Sedation)
    • 중환자실(ICU)에서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의 진정 유지
  4. 항구토 효과 (Antiemetic Effect)
    • 마취 후 오심·구토 예방

3. 용법 및 용량

1) 성인 용량

2) 희석 및 투여 방법

  • IV 단독 투여 (희석 불필요)
  • 정맥 주입 시 반드시 지속적인 혈압·호흡 모니터링 필요

4. 사용법 및 투여 시 주의사항

1) 투여 방법

  • IV 볼러스(Bolus) 주입 시 천천히 투여 (빠른 주입 시 호흡 정지 위험)
  • 지속 주입 시 저혈압 및 호흡 억제 발생 가능 → 모니터링 필수

2) 부작용 및 주의사항

🚨 프로포폴 주입 증후군(PRIS, Propofol Infusion Syndrome) 위험

  • 고용량(>4mg/kg/hr)으로 48시간 이상 사용 시 발생 가능
  • 증상: 저혈압, 부정맥, 대사성 산증, 급성 신부전
  • 발생 시 즉시 중단 및 대증 치료 필요

5. 프로포폴과 다른 진정제 비교


6. Q&A (자주 묻는 질문) 🤔

Q1. 프로포폴은 왜 ‘우유 주사’라고 불리나요?

A. 프로포폴의 유제(Lipid Emulsion) 성분이 흰색 우유처럼 보여서 그렇게 불립니다.

Q2. 프로포폴을 너무 많이 맞으면 어떻게 되나요?

A. 호흡 억제, 저혈압, 심정지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며, 장기간 고용량 사용 시 PRIS(프로포폴 주입 증후군)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Q3. 프로포폴을 투여하면 기억이 없어지나요?

A. 네, 일시적인 기억 상실(Amnesia) 효과가 있어, 수술 과정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Q4. 프로포폴을 장기간 사용하면 중독될 수 있나요?

A. 프로포폴은 신체적 금단 증상은 없지만, 반복적인 사용으로 심리적 의존(중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5. 프로포폴을 집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A. 절대 불가능합니다. 프로포폴은 의료진 감독 하에서만 사용해야 하며, 오·남용 시 사망 위험이 높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