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뇌간 손상 시 동공이 확장되는 이유, 쉽게 알아보기

Avenue 2025. 3. 22. 11:47
반응형

뇌 손상이 발생하면 동공(Pupil) 크기에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뇌간(Brainstem)이 손상되면 동공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데,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요?

이번 글에서는 뇌간 손상과 동공 반응의 관계를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

뇌간 손상 시 동공이 확장되는 이유, 쉽게 알아보기


👁️ 동공 크기를 조절하는 신경 시스템

우리의 동공 크기는 두 가지 신경 회로의 균형에 의해 결정됩니다.

신경계 역할 주요 신경
부교감신경(Parasympathetic) 동공을 축소(수축)시킴 동안신경(동공괄약근, CN III)
교감신경(Sympathetic) 동공을 확장(산대)시킴 경부 교감신경절(동공확대근 활성화)

💡 정상적인 경우

  • 밝은 빛 → 부교감신경 활성 → 동공 축소
  • 어두운 곳 → 교감신경 활성 → 동공 확장

🧠 뇌간 손상 시 동공이 확장되는 이유

뇌간에는 동안신경(제3뇌신경, Oculomotor nerve, CN III)부교감신경 핵이 존재합니다.
이 신경은 동공괄약근을 활성화하여 동공을 축소하는 역할을 합니다.

🚨 그런데 뇌간이 손상되면?

  • 동안신경의 부교감신경 기능이 소실됨 → 동공 축소 기능이 사라짐
  • 반면, 교감신경은 계속 작용동공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됨(Mydriasis)

📌 결과: 뇌간 손상 시 동공이 커지고, 빛 반응이 소실됨


🔎 어떤 뇌 손상이 동공 확장을 유발할까?

뇌 탈출(Uncal Herniation)

  • 측두엽이 아래로 밀려 동안신경을 압박한쪽 동공 확장 (편측성)
  • 초기: 반응 느려짐 → 말기: 동공이 완전히 고정됨

중뇌(Midbrain) 손상

  • 중뇌에 있는 동안신경 핵이 손상됨 → 양쪽 동공 확장 가능
  • 예: 외상성 뇌손상(TBI), 출혈, 뇌경색

뇌간 압박(Brainstem Compression)

  • 뇌부종, 두개내압(ICP) 상승 → 뇌간 기능 저하 → 양측 동공 확장

신경 독성(약물, 저산소증)

  • 뇌간이 직접 손상되지 않아도, 저산소증, 중독(아트로핀, 암페타민) 등이 교감신경을 자극해 동공 확장 가능

🚑 동공 확장 시 응급 대응 방법

중환자실(ICU)이나 응급실에서 갑자기 동공이 확장되었다면 즉시 조치가 필요합니다.

신속한 신경학적 검사 (GCS 평가)
뇌 CT/MRI 촬영 → 뇌 탈출 여부 확인
두개내압(ICP) 조절 → 만니톨, 고장성 식염수 투여
응급 감압술 고려 (경우에 따라 외과적 치료 필요)

📌 특히, 빛 반응이 없는 동공 확장은 뇌간 기능 소실의 신호일 수 있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 자주 묻는 질문 (Q&A)

1. 동공이 확장되면 항상 뇌 손상 때문인가요?

👉 아닙니다!

  • 아트로핀, 암페타민, 코카인 같은 약물도 일시적인 동공 확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빛 반응이 없고 한쪽 동공만 확장되었다면 뇌 손상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동공이 작아지는 뇌 손상도 있나요?

👉 네, 있습니다!

  • 폰틴(뇌교, Pons) 손상 → 부교감신경이 과활성화 → 동공 축소(Pinpoint Pupil)
  • 예: 뇌출혈, 모르핀 중독

3. 동공 크기가 비대칭이면 위험한가요?

👉 네, 한쪽 동공만 커지면 뇌 탈출(uncal herniation) 가능성이 높아 즉시 평가가 필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뇌간 손상 시 동공이 확장되는 이유

  • 동안신경(부교감) 기능 소실 → 동공 축소 기능이 사라짐
  • 교감신경만 작용 → 동공 확장(Myadriasis) 지속

중환자실 및 응급실에서 동공 변화는 중요한 신경학적 지표

  • 한쪽 동공 확장 → 뇌 탈출 가능성 🚨
  • 양쪽 동공 확장 → 뇌간 기능 저하 심각 🚑

💡 동공 반응은 뇌 손상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므로, 즉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