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지식

저체온·마취 회복 후 Shivering, 어떻게 조절할까? 중환자실 가이드

Avenue 2025. 3. 18. 18:02
반응형

마취 회복 후나 저체온 치료 후 **Shivering(오한, 떨림)**은 중환자실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심한 오한은 산소 소비 증가, 심장 부담, 대사 요구량 증가를 유발할 수 있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체온 및 마취 회복 후 Shivering의 원인, 감별 방법, 치료 전략을 완벽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저체온·마취 회복 후 Shivering, 어떻게 조절할까? 중환자실 가이드


Shivering(오한)의 주요 원인

1. 저체온증(Hypothermia, 체온 <35°C)

  • 치료적 저체온(심정지 후 저체온 치료, TTM)
  • 장시간 수술 후 저체온
  • 대량 수혈(냉장 혈액 투여 시)

2. 마취 후 오한(Post-Anesthetic Shivering, PAS)

  • 마취제(프로포폴, 이소플루란 등)로 인해 체온 조절 기능 장애
  • 척추마취(Spinal anesthesia) 후 교감신경 차단으로 인한 혈관 확장

3. 패혈증(Sepsis) 및 감염성 쇼크

  •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급격한 오한 발생 가능
  • 발열과 동반되거나 교대적으로 나타남

4. 중추신경계 손상(뇌출혈, 두부 외상)

  • 체온 조절 중추(시상하부, Hypothalamus) 손상으로 발생

🔹 Shivering이 위험한 이유

🚨 Shivering이 중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영향 결과
산소 소비량 증가 조직 저산소증, 심장 부담 증가
이산화탄소 생성 증가 호흡 부하 증가, 저산소증 위험
교감 신경 항진 혈압 상승, 심박수 증가, 부정맥 위험
대사 요구량 증가 젖산 축적(Lactic acidosis), 전해질 불균형

➡️ 심혈관 질환 환자에서는 심근 허혈(Myocardial ischemia) 위험 증가
➡️ 패혈증 환자에서는 산소 요구량 증가로 쇼크 악화 가능


🔎 Shivering 감별 방법

구분 특징 감별 포인트
저체온 유발 Shivering 체온 <35°C 체온 측정, 저체온 병력 확인
마취 회복 후 Shivering 마취 종료 후 30분~1시간 내 발생 마취제 종류, 수술 후 모니터링
패혈증(Sepsis) 관련 Shivering 고열(>38.3°C) 동반 가능 감염 징후(백혈구 증가, CRP 상승)
중추신경 손상 관련 Shivering 신경학적 이상 동반 뇌CT/MRI 확인

Shivering 치료 전략

🔹 1. 물리적 치료(Physical Warming)

저체온이 원인일 경우 필수

  • 보온 유지: 따뜻한 담요, 공기 순환식 온열기(BAIR Hugger)
  • 능동적 가온(Active Warming): 온혈 수액, 온혈 혈액 투여
  • 적절한 실내 온도 유지

➡️ 빠른 온도 상승이 필요할 경우,

  • 혈관 내 온열 카테터 사용(Intravascular Warming Catheter, IVWC)
  • 고속 온열 수액 주입기(37~42°C로 가열된 수액 사용)

🔹 2. 약물 치료(Pharmacologic Management)

📌 Shivering이 심한 경우, 약물 치료 병행

약물 용량 작용 기전
메페리딘(Meperidine) 12.5~50 mg IV 오피오이드 계열, Shivering 억제 효과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 0.2~0.7 mcg/kg/hr IV α₂-작용제, 진정 효과
클로니딘(Clonidine) 0.1~0.3 mg PO 또는 IV 교감신경 억제, 말초혈관 안정
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1~2 g IV 중추 신경 안정화, 근육 이완

가장 효과적인 약물: 메페리딘(Meperidine)

  • 오피오이드 계열이지만, 특별히 Shivering 억제 효과가 강함
  • 부작용: 저혈압, 호흡 억제 주의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

  • 마취 회복 후 오한 조절에 효과적
  • 진정 효과가 있어 기계 환기 환자에서 유용

🔹 특정 상황별 치료 가이드

1️⃣ 저체온 치료 후 Shivering(심정지 후 저체온 치료, TTM)

  • 목표 체온 도달 후 능동적 가온 + 덱스메데토미딘 지속 주입
  • 메페리딘 사용 가능하나, 저혈압 주의

2️⃣ 마취 회복 후 Shivering(PAS)

  • 주로 메페리딘 12.5~25 mg IV 1회 투여
  • 심한 경우 덱스메데토미딘 추가

3️⃣ 패혈증 환자에서 Shivering

  • 감염 조절(항생제) + 해열제(아세트아미노펜) 투여
  • 체온 유지하며 과도한 가온은 피함

자주 묻는 질문 (Q&A)

1. Shivering을 꼭 치료해야 하나요?

➡️ 심한 경우 산소 소비량과 심박수 증가로 위험할 수 있으므로 치료가 필요합니다.

2. 메페리딘을 모든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나요?

➡️ 신부전 환자에서는 독성 대사물(Normeperidine) 축적 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 덱스메데토미딘과 메페리딘 중 어떤 약물이 더 좋은가요?

➡️ 덱스메데토미딘은 진정 효과가 동반되어 기계 환기 환자에게 유용하고,
➡️ 메페리딘은 단독으로 빠르게 Shivering 억제 효과가 뛰어납니다.

4. Shivering이 발작과 어떻게 다른가요?

➡️ Shivering은 규칙적인 떨림, 의식 정상
➡️ 발작은 비정상적인 움직임, 의식 변화 가능

5. Shivering이 있는 환자에게 무조건 따뜻한 담요를 덮어야 하나요?

➡️ 저체온이 원인이 아닐 경우 과도한 보온은 발열 악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