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벤조디아제핀 정리! 적응증·용량·부작용 총정리

Avenue 2025. 3. 18. 15:53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s)은 진정(Sedation), 항불안(Antianxiety), 항경련(Anticonvulsant), 근이완(Muscle Relaxation) 등의 효과가 있어 중환자실(ICU)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기계 환기 중인 환자의 진정, 발작 조절, 금단 증상 치료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중환자실에서 자주 사용하는 벤조디아제핀의 종류, 적응증, 용량, 부작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벤조디아제핀 정리! 적응증·용량·부작용 총정리


✅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주요 벤조디아제핀

1. 미다졸람(Midazolam) – 작용 시간 짧음

🔹 특징

  • 초단시간형(Short-acting, 반감기 2~6시간)
  • 신속한 진정 효과(정맥 주사 후 1~5분 내 작용)
  • 지속적인 주입 시 약물 축적 가능 (특히 신부전 환자)

🔹 적응증
✔️ 기계 환기 환자의 진정(Sepsis, ARDS, 신경과적 질환 등)
✔️ 중증 발작(간질 지속 상태, Status Epilepticus)
✔️ 시술 전 불안 완화

🔹 용량
📌 정맥 투여(IV) 용량

용도 초기 용량 유지 속도
진정(Sedation) 0.02~0.1 mg/kg IV 0.02~0.2 mg/kg/hr
발작(Seizure) 0.1~0.3 mg/kg IV 0.05~2 mg/kg/hr

🔹 부작용
❌ 저혈압(Hypotension), 서맥(Bradycardia)
❌ 호흡 억제(Respiratory depression)


2. 로라제팜(Lorazepam) – 중간 작용형

🔹 특징

  • 중간 작용형(반감기 10~20시간)
  • 미다졸람보다 긴 작용 시간
  • 프로필렌글리콜 독성(Propylene glycol toxicity) 가능

🔹 적응증
✔️ 기계 환기 중 진정 유지
✔️ 알코올 금단 증후군(Alcohol withdrawal syndrome)
✔️ 간질 지속 상태(Status epilepticus)

🔹 용량
📌 정맥 투여(IV) 용량

용도 초기 용량 유지 속도
진정(Sedation) 0.02~0.06 mg/kg IV 0.01~0.1 mg/kg/hr
발작(Seizure) 4 mg IV 2분간 투여 필요 시 10~15분 후 반복

🔹 부작용
❌ 프로필렌글리콜 독성(고삼투성 대사성 산증)
❌ 호흡 억제 및 저혈압


3. 디아제팜(Diazepam) – 긴 작용형

🔹 특징

  • 장시간 작용형(반감기 20~50시간)
  • 신속한 작용(IV 투여 시 1~3분 내 효과 발현)
  • 대사 산물이 체내에 축적 가능(특히 간 기능 저하 환자 주의)

🔹 적응증
✔️ 급성 불안, 초조(Agitation)
✔️ 발작 및 간질 지속 상태
✔️ 알코올 금단 증후군

🔹 용량
📌 정맥 투여(IV) 용량

용도 초기 용량 유지 속도
불안 완화 2~10 mg IV 필요 시 반복 투여
발작(Seizure) 5~10 mg IV 필요 시 10~15분 후 반복

🔹 부작용
❌ 장기간 사용 시 내성 및 의존성 위험
❌ 혈압 저하, 호흡 억제


🔹 벤조디아제핀의 비교 정리

약물 작용 시간 주요 적응증 주요 부작용
미다졸람 초단시간형 (2~6시간) 진정, 발작 저혈압, 호흡 억제
로라제팜 중간 작용형 (10~20시간) 진정, 금단 증상 프로필렌글리콜 독성
디아제팜 장시간형 (20~50시간) 불안, 발작, 금단 내성, 간 대사 축적

✅ 벤조디아제핀 사용 시 주의점

1. 장기 사용 시 내성 및 금단 증상

  • 장기 사용 시 내성이 생겨 효과가 감소할 수 있음
  • 갑작스러운 중단 시 금단 증상(불안, 발작, 혼돈) 발생 가능
  • 필요 시 점진적 감량(Tapering) 필수

2. 호흡 억제 및 저혈압 주의

  • 고용량 사용 시 호흡 정지(Apnea) 발생 가능
  • 저혈압 위험이 있어 혈압 모니터링 필수

3. 신장 및 간 기능 저하 환자에서 축적 가능

  • 미다졸람: 신부전 환자에서 대사물 축적 가능
  • 디아제팜: 간 기능 저하 환자에서 대사물 축적 가능

4. 프로필렌글리콜 독성(Lorazepam 관련)

  • 장기간 고용량 로라제팜 사용 시 대사성 산증 및 급성 신부전 위험
  • 혈중 프로필렌글리콜 농도 및 삼투차 모니터링 필요

❓ 자주 묻는 질문 (Q&A)

1. 벤조디아제핀을 중환자실에서 주로 언제 사용하나요?

  • 기계 환기 환자의 진정, 발작 치료, 금단 증상 관리 등에 사용됩니다.

2. 미다졸람과 로라제팜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미다졸람: 빠르게 작용하지만 지속 주입 시 축적 가능
  • 로라제팜: 작용 시간이 길고 금단 증상 치료에 유용

3. 벤조디아제핀을 갑자기 중단하면 어떻게 되나요?

  • 금단 증상(불안, 발작, 혈압 상승)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점진적 감량해야 합니다.

4. 벤조디아제핀과 프로포폴의 차이는?

  • 프로포폴: 초단시간형, 빠른 회복, 진정 효과 강함
  • 벤조디아제핀: 진정 + 항불안 + 항경련 효과

5. 벤조디아제핀 과다 복용 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해독제(Flumazenil) 사용 가능, 하지만 발작 위험이 있어 신중히 사용해야 합니다.

 

벤조디아제핀은 강력한 진정 및 항경련 효과가 있지만, 신중한 모니터링과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