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Torsades de Pointes(TdP): 왜 발생할까? 치료법 총정리

Avenue 2025. 3. 17. 17:06

Torsades de Pointes(TdP) 는 심장의 전기적 재분극 과정이 길어지면서 발생하는 특수한 형태의 다형성 심실빈맥(Polymorphic VT, Ventricular Tachycardia) 입니다.
TdP는 QT 간격 연장(QT Prolongation)과 관련이 깊으며, 심실세동(VF)로 진행할 경우 돌연사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TdP의 원인, 심전도(EKG) 특징, 치료법 및 예방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Torsades de Pointes(TdP): 왜 발생할까? 치료법 총정리


1. TdP란? 왜 발생할까?

🔍 TdP의 특징

QT 연장(Long QT Syndrome) 후 발생
심실의 전기 신호가 불규칙한 형태로 회전하는 부정맥
심박수가 빠르고(150~250bpm), 지속되면 심정지 가능
TdP는 자발적으로 종료될 수도 있지만, 지속 시 응급 치료가 필요

📌 TdP의 핵심 원인: QT 연장
TdP는 대부분 QT 간격이 길어지면서(>500ms) 발생합니다. QT 연장은 심실세포의 전기적 불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조기 후 탈분극(Early Afterdepolarization, EAD) 이 발생하여 TdP를 유발합니다.


2. TdP의 주요 원인 🚨

✅ 1) 약물 유발 QT 연장 (가장 흔한 원인)

📌 QT 연장을 유발하는 약물 종류

약물군 예시
항부정맥제 아미오다론, 소탈롤, 퀴니딘, 도페틸라이드
항생제 마크롤라이드(에리트로마이신, 클라리스로마이신), 퀴놀론계(레보플록사신)
항정신병제 할로페리돌, 퀘티아핀, 지프라시돈
항우울제 삼환계 항우울제(TCA), 시탈로프람
진토제 온단세트론, 메토클로프라미드

💡 특히 두 가지 이상의 QT 연장 약물을 병용할 경우 TdP 위험 급증!


✅ 2) 전해질 불균형 (Electrolyte Imbalance)

저칼륨혈증 (Hypokalemia, K+↓)
저마그네슘혈증 (Hypomagnesemia, Mg2+↓)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Ca2+↓)

전해질 이상은 TdP를 촉진하는 주요 원인!


✅ 3) 유전성 QT 연장 증후군 (LQTS, Long QT Syndrome)

  • 선천적인 채널이상(Channelopathy) 질환
  • 대표적인 유형: LQT1, LQT2, LQT3
  • 운동, 스트레스, 큰 소음 등에 의해 TdP 발생 가능

✅ 4) 서맥 및 자율신경계 이상

  • 심한 서맥(Bradycardia) 시 QT 연장 심화 가능
  • 미주신경 과활성(Vagal tone 증가) → TdP 유발 가능

3. TdP의 심전도(EKG) 특징

📊 EKG 소견

QTc 연장(QTc >500ms)
QRS 축이 위아래로 회전하는 "리본 모양" 패턴
심박수 150~250bpm의 다형성 심실빈맥

TdP가 지속되면 심실세동(VF)으로 진행 가능 → 즉각적인 치료 필요!


4. TdP의 치료법 🚑

✅ 1) TdP 발생 시 응급 치료

🚨 1️⃣ 불안정한 TdP (쇼크, 저혈압, 의식 소실 동반) → 즉시 전기적 심율동전환(DC Cardioversion)

즉각적인 200J DC 전기 충격(Defibrillation, 제세동) 시행

💉 2️⃣ 안정적인 TdP → 황산마그네슘(MgSO₄) 투여

MgSO₄ 2g IV slow push (10~15분)
✔ 필요 시 추가 투여 가능

💊 3️⃣ 서맥(Bradycardia) 동반 시 → 심박수 증가 유도

이소프로테레놀(Isoproterenol) IV 투여
일시적 심박동기(Temporary Pacing) 적용 가능


✅ 2) 원인 교정이 최우선!

QT 연장 유발 약물 즉시 중단
전해질 불균형 교정(K+, Mg2+, Ca2+ 보충)
저칼륨혈증 → KCl(염화칼륨) 투여
저마그네슘혈증 → MgSO₄ IV 투여

📌 전해질 목표 범위

  • K+ ≥ 4.0~4.5 mEq/L 유지
  • Mg2+ ≥ 2.0 mg/dL 유지

5. TdP 예방 방법 ✅

🏥 QT 연장 위험군에서 필수 체크리스트

ECG 모니터링(QTc ≥ 500ms 시 주의)
QT 연장 약물 사용 시 정기적 ECG 확인
전해질 균형 유지 (특히 K+, Mg2+)
유전성 LQTS 환자는 격렬한 운동(수영, 달리기) 피하기

💊 QT 연장 약물 처방 시 주의 사항

가능한 한 단일 약물만 사용, 병용 금지
고위험군(고령자, 신장질환자)에서는 저용량 시작
항부정맥제 사용 시 주기적 ECG 확인


6. TdP 관련 Q&A

Q1. TdP는 자연스럽게 멈출 수도 있나요?
➡️ 일부 TdP는 자발적으로 종료될 수 있지만,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지속될 경우 즉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Q2. TdP 환자는 심박동기(Pacemaker)를 삽입해야 하나요?
➡️ 서맥이 TdP를 유발하는 경우, 일시적 또는 영구적 심박동기 삽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Q3. 유전성 LQTS 환자는 어떤 운동을 피해야 하나요?
➡️ 수영, 마라톤, 격렬한 스포츠 등 갑작스러운 심박수 증가가 발생하는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Q4. MgSO₄는 모든 TdP 환자에게 효과적인가요?
➡️ 네, 대부분의 TdP 환자에서 MgSO₄가 효과적이며, 저마그네슘혈증이 없어도 사용 가능합니다.

Q5. QT 연장 약물을 장기간 복용해야 한다면?
➡️ ECG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dP는 빠른 치료가 필수적인 치명적 부정맥이지만, 원인 교정과 예방을 통해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
👉 QT 연장 약물 복용 중이라면 ECG 모니터링과 전해질 균형 유지가 필수입니다! 😊

댓글수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