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MS): 조기 진단과 치료 가이드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은 도파민 차단제(항정신병제) 사용 후 발생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입니다. 빠른 진단과 즉각적인 치료가 필수적이며, 치료가 지연될 경우 다발성 장기 부전 및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NMS의 조기 진단과 치료 가이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1.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MS)이란?
📌 정의:
- 도파민 수용체 차단제(항정신병제, 신경이완제) 사용 후 발생하는 급성 증후군
- 고열, 근강직, 자율신경계 이상, 정신상태 변화가 특징
📌 주요 원인:
✅ 항정신병제(도파민 D2 차단제)
- 1세대: 할로페리돌, 클로르프로마진
- 2세대: 리스페리돈, 올란자핀, 쿠에티아핀
✅ 도파민 조절제 - 메토클로프라미드(소화제), 프로클로르페라진(항구토제)
✅ 빠른 용량 증가, 고용량 투여
✅ 탈수, 감염, 고온 환경
2. NMS의 주요 증상 및 조기 진단
📌 임상 증상 (T-R-A-P)
증상 | 설명 |
T (Temperature, 고열) | 38~41°C 이상 (중증 열성 반응) |
R (Rigidity, 근강직) | "납관강직(lead-pipe rigidity)", 극심한 근육 경직 |
A (Autonomic instability, 자율신경 이상) | 빈맥, 고혈압, 발한, 불규칙한 호흡 |
P (Psychological changes, 정신 변화) | 혼돈, 섬망, 무반응성 |
📌 실험실 검사 소견
검사 | 결과 | 의미 |
CK (크레아틴 키나제) | 상승 (>1000 U/L) | 근육 손상 (횡문근융해증) |
백혈구(WBC) | 증가 | 염증 반응 |
간효소(AST/ALT) | 상승 | 간손상 가능 |
혈중 미오글로빈 | 증가 | 근육 괴사 |
📌 감별해야 할 질환
🚨 세로토닌 증후군(Serotonin Syndrome)
- 차이점: 근강직보다 근간대경련(myoclonus), 빠른 진행
- 주요 원인: SSRI, MAOI, TCA, 트라마돌
🚨 악성 고체온증(Malignant Hyperthermia)
- 차이점: 흡입 마취제, 석시닐콜린 노출 후 발생
- 주요 치료: 단트롤렌(Dantrolene)
3. NMS 치료 가이드
🏥 1단계: 원인 약물 중단
✔ 모든 항정신병제 중단 (도파민 차단 약물 포함)
✔ 체온 상승 지속 시 해열제(아세트아미노펜) + 냉각 요법 시행
🏥 2단계: 전신 관리 및 지지 치료
✔ 수액 공급: 탈수 및 횡문근융해 예방
✔ 산소 공급 및 혈압 조절
✔ 전해질 불균형 교정(K⁺, Ca²⁺, Mg²⁺ 관리)
🏥 3단계: 약물 치료 (필요 시 사용)
약물 | 용량 | 기전 | 적응증 |
단트롤렌 (Dantrolene) | 1-2.5mg/kg IV | 근육 이완 | 중증 근강직, 고열 |
브로모크립틴 (Bromocriptine) | 2.5-10mg PO | 도파민 효능제 | 도파민 활성 회복 |
아만타딘 (Amantadine) | 100-200mg PO | 도파민 활성 증가 | 도파민 부족 증상 완화 |
벤조디아제핀(로라제팜, 디아제팜) | 1-2mg IV | 진정, 근이완 | 불안, 경련 예방 |
4. 회복 및 재발 예방
✔ 회복까지 1~2주 소요 가능
✔ 재발 위험 → 최소 2주간 항정신병제 재투여 금지
✔ 재투여 시 저용량부터 서서히 증량
✔ 고위험 환자(고열, 근강직 병력)에서는 클로자핀, 쿠에티아핀 사용 고려
5. 자주 묻는 질문 (Q&A)
Q1.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은 얼마나 치명적인가요?
👉 치료하지 않으면 **치사율 10~20%**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Q2. NMS 치료에 단트롤렌을 꼭 사용해야 하나요?
👉 근강직이 심할 경우 단트롤렌이 유용하지만, 경증 환자는 브로모크립틴 또는 벤조디아제핀 단독 사용도 가능합니다.
Q3. NMS가 발생한 환자는 다시 항정신병제를 사용할 수 있나요?
👉 최소 2주 후 저용량으로 시작, 클로자핀 또는 쿠에티아핀 같은 D2 차단력이 낮은 약물을 고려합니다.
Q4. 세로토닌 증후군과 어떻게 구별하나요?
👉 세로토닌 증후군은 근간대경련(myoclonus), 빠른 진행, SSRI 등 세로토닌 조절 약물과 관련됩니다.
Q5. 가장 먼저 해야 할 치료는 무엇인가요?
👉 즉시 원인 약물을 중단하고, 고열 및 근강직 조절이 가장 중요합니다.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MS)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수적인 응급상황입니다.
✅ 조기 진단(고열 + 근강직 + 자율신경 이상)
✅ 원인 약물 중단
✅ 냉각 요법 및 전신 관리
✅ 단트롤렌, 브로모크립틴 등 약물 치료 고려
빠른 대응이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므로 신속한 인식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