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성 산증에서 Anion Gap이 의미하는 것은?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은 혈액 내 pH 감소(pH < 7.35)와 함께 중탄산(HCO₃⁻) 감소가 특징인 상태입니다. 이를 감별하는 중요한 지표가 바로 Anion Gap(AG, 음이온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nion Gap이 의미하는 것과 대사성 산증 감별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
1. Anion Gap(AG)이란?
📌 정의: 혈액 내 측정된 양이온(양전하, cations)과 음이온(음전하, anions)의 차이
📌 공식:
AG=Na+−(Cl−+HCO3−)AG = Na^+ - (Cl^- + HCO₃^-)
- 정상 AG: 8~12 mEq/L (알부민 보정 시 12~16 mEq/L)
- 높은 AG: >12~16 mEq/L (고음이온차 대사성 산증)
- 정상 AG: 8~12 mEq/L (정상 음이온차 대사성 산증)
📌 의미:
- AG는 측정되지 않는 음이온(유기산, 유독 물질 등)의 증가 여부를 반영
- 높은 AG → 신체 내 추가적인 산(acid)이 축적됨을 의미
- 정상 AG → 중탄산(HCO₃⁻)이 감소했지만 Cl⁻이 보상적으로 증가하여 AG 변화 없음
2. AG를 이용한 대사성 산증 감별
🔹 고음이온차(High AG) 대사성 산증
📌 원인:
✅ M: 메탄올 중독
✅ U: 요독증(신부전)
✅ D: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 P: 프로필렌 글리콜 중독
✅ I: 아이소니아지드(INH) & 철 중독
✅ L: 젖산산증(Lactic acidosis)
✅ E: 에틸렌글리콜 중독
✅ S: 살리실레이트(아스피린) 중독
📌 의미:
- 신체 내 HCO₃⁻가 감소하는 동시에 새로운 산(젖산, 케톤산, 독성물질)이 축적됨
- 신부전,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젖산산증 등이 대표적인 원인
🔹 정상 음이온차(Normal AG) 대사성 산증
📌 원인:
✅ 설사(중탄산 손실)
✅ 신세뇨관 산증(RTA)
✅ 아세타졸아미드(탄산탈수효소 억제제)
✅ 정맥 수액(고염화 수액 과다투여)
✅ 일부 신부전 환자
📌 의미:
- HCO₃⁻가 감소했지만, Cl⁻이 보상적으로 증가하여 AG가 정상
- 위장관 손실(설사), 신장 문제(RTA)가 원인
3. AG 보정 (알부민 보정 AG)
📌 알부민이 낮을 경우 AG 과소평가 가능
📌 보정 공식:
AG보정=AG측정값+2.5×(4.0−혈청 알부민)AG_{\text{보정}} = AG_{\text{측정값}} + 2.5 \times (4.0 - \text{혈청 알부민})
- 저알부민혈증이 있는 경우 보정 후 AG가 증가할 수 있음
4. Delta Gap(ΔAG) 활용
📌 Delta Gap 공식:
ΔAG=(AG측정값−AG정상)\Delta AG = (AG_{\text{측정값}} - AG_{\text{정상}})
📌 의미:
- ΔAG와 HCO₃⁻의 감소량을 비교하여 혼합 산염기 장애 평가 가능
- ΔAG > HCO₃⁻ 감소량 → 대사성 산증 + 대사성 알칼리증 동반 가능
- ΔAG < HCO₃⁻ 감소량 → 고음이온차 대사성 산증 + 정상 AG 대사성 산증 동반 가능
5. 자주 묻는 질문 (Q&A)
Q1. AG가 정상인데도 대사성 산증이 있을 수 있나요?
👉 네, 정상 AG 대사성 산증(설사, 신세뇨관 산증 등)에서는 Cl⁻가 보상적으로 증가하여 AG 변화가 없습니다.
Q2. 신부전 환자는 왜 AG가 증가하나요?
👉 신부전에서는 요독산, 황산, 인산 등의 축적으로 인해 AG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Q3. AG가 높은 환자에서 젖산산증과 케톤산증을 감별하는 방법은?
👉 젖산(Lactate) 수치 측정 → 증가 시 젖산산증 가능성 높음
👉 케톤(BHB, β-Hydroxybutyrate) 수치 측정 → 증가 시 케톤산증 가능성 높음
Q4. Delta Gap(ΔAG)은 언제 사용하나요?
👉 혼합 산염기 장애를 감별할 때 사용하며, 단순 대사성 산증인지, 다른 산염기 장애가 동반되었는지 평가할 때 유용합니다.
Q5. AG가 높은 경우 무조건 중탄산나트륨을 투여해야 하나요?
👉 아닙니다! 젖산산증, DKA에서는 원인 치료가 우선이며, 무분별한 중탄산나트륨 투여는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Anion Gap은 대사성 산증 감별에 필수적인 지표로, 원인에 따라 치료 접근이 달라집니다. 정확한 해석과 함께 적절한 치료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