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지식

니모디핀: 뇌출혈 후 혈관연축을 예방하는 약물

Avenue 2025. 2. 26. 07:07
반응형

뇌출혈 후 혈관연축(cerebral vasospasm)은 심각한 신경학적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이 니모디핀(Nimodipin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니모디핀의 작용 기전, 용법, 부작용 등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니모디핀: 뇌출혈 후 혈관연축을 예방하는 약물


1. 니모디핀(Nimodipine)이란?

니모디핀은 칼슘채널 차단제(CCB, Calcium Channel Blocker)의 일종으로, 특히 뇌혈관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혈관 수축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주로 지주막하출혈(SAH, Subarachnoid Hemorrhage) 후 혈관연축 예방에 사용됩니다.


2. 뇌출혈 후 혈관연축이란?

📌 발생 시기: 출혈 후 3~5일 내 시작 → 7~10일째 가장 심함 → 2~3주 후 자연 소실
📌 주요 원인: 지주막하 출혈 후 혈액이 혈관 주위에 쌓이며 혈관 수축을 유발
📌 위험성: 혈관이 좁아져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 → 뇌경색, 신경학적 손상 유발 가능


3. 니모디핀의 작용 기전

✔️ 칼슘 유입 차단 → 뇌혈관 평활근의 과도한 수축 억제
✔️ 뇌혈류 증가 → 허혈성 손상 예방
✔️ 신경 보호 효과 → 신경세포 보호 및 기능 유지


4. 니모디핀의 적응증과 용법

🔹 주요 적응증

지주막하 출혈(SAH) 후 혈관연축 예방
뇌경색 예방(일부 연구에서 신경 보호 효과 보고)
일부 신경과적 질환(연구 단계에서 평가 중)

🔹 용법 및 용량

투여 경로 용량  투여 기간
경구(PO) 60mg 6시간마다 출혈 후 21일간
정맥주사(IV) 0.5~2mg/h(희석 후 지속적 투여) 신속한 효과 필요 시

📌 경구 투여가 원칙, 하지만 환자가 경구 복용이 어려운 경우 비위관(NG tube) 투여 가능


5. 니모디핀 사용 시 주의사항

🚨 부작용

✔️ 저혈압(가장 흔함) → 수축기 혈압이 90mmHg 이하로 떨어질 경우 감량 고려
✔️ 어지러움, 두통 → 혈관 확장 효과 때문
✔️ 위장관 장애(구역, 설사) → 음식과 함께 복용 시 완화 가능
✔️ 간 기능 장애(드물지만 보고됨)

🚨 금기 사항

중증 저혈압 환자(90/60 mmHg 이하)
급성 심근경색 환자
니모디핀에 과민반응 있는 경우
CYP3A4 저해제 병용(예: 리토나비르, 클라리스로마이신)


6. 니모디핀과 다른 혈관확장제 비교

약물 주요 용도 작용 기전 특징
니모디핀 뇌출혈 후 혈관연축 예방 칼슘채널 차단제(CCB) 뇌혈관 선택적 작용
니트로글리세린 협심증, 심부전 NO 유리 → 혈관 확장 전신 혈관 확장 효과
니카르디핀 고혈압, 뇌혈관질환 칼슘채널 차단제 강한 혈압 강하 효과

📌 니모디핀은 뇌혈관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전신 혈압 저하가 비교적 적음


7. 자주 묻는 질문 (Q&A)

Q1. 니모디핀은 언제부터 복용해야 하나요?

👉 지주막하출혈 진단 후 96시간(4일) 이내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Q2. 혈압이 낮은 환자도 니모디핀을 복용할 수 있나요?

👉 수축기 혈압이 90mmHg 이하이면 투여를 중단하거나 감량해야 합니다.

Q3. 니모디핀과 다른 혈압약을 함께 복용해도 되나요?

👉 일부 베타차단제, ACEi, ARB와 병용 시 저혈압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Q4. 경구 복용이 어려운 환자는 어떻게 투여하나요?

👉 비위관(NG tube)으로 투여 가능하며, 정맥 주사(IV)는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Q5. 니모디핀 복용 중 주의해야 할 음식이 있나요?

👉 자몽 주스는 피하세요! 니모디핀의 대사를 방해하여 부작용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니모디핀은 뇌출혈 후 혈관연축을 예방하는 필수 약물로, 적절한 시기에 투여하면 신경학적 예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혈압 부작용을 주의해야 하며,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정확한 용량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