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F 검사에서 단백질(Protein)만 상승하는 경우는 어떤 것이 있을까?
뇌척수액(CSF) 검사는 뇌와 척수의 질환을 진단하는 중요한 검사로, 주로 감염(수막염, 뇌염), 자가면역질환, 신경계 종양, 혈관 질환 등을 감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CSF 검사에서 단백질(Protein) 수치가 상승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감염(세균성, 결핵성, 바이러스성 수막염 등)이 가장 흔한 원인이지만, 감염이 아닌 다른 질환에서도 단백질 상승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감염이 아닌데 CSF 단백질이 증가하는 경우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1️⃣ 정상 CSF 단백질 수치
💡 정상적인 CSF 단백질 수치
- 일반적으로 15~45 mg/dL (성인 기준)
- 신생아 및 노인은 상대적으로 단백질 수치가 높을 수 있음
CSF 단백질이 상승(>45 mg/dL)하는 경우, 감염 외에도 여러 질환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 2️⃣ 감염이 아닌 CSF 단백질 상승 원인
🧠 1. 자가면역 및 탈수초 질환
자가면역질환이나 탈수초(myelin 손상) 관련 질환에서는 CSF 단백질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질환 | 특징 | CSF 단백질 | CSF WBC (백혈구) |
다발성 경화증 (MS, Multiple Sclerosis) | 중추신경계 탈수초 질환 | 경미한 증가 | 정상 또는 경미한 증가 |
길랭-바레 증후군 (GBS, Guillain-Barré Syndrome) | 말초신경계 탈수초 질환 | 크게 증가 (>100 mg/dL) | 정상 |
신경 베체트병 (Neuro-Behcet's Disease) | 베체트병의 신경계 침범 | 경미한 증가 | 증가 가능 |
SLE 신경 증후군 (Neuropsychiatric SLE) | 전신홍반루푸스(SLE)로 인한 신경 침범 | 경미한 증가 | 증가 가능 |
사르코이드증 (Neurosarcoidosis) | 중추신경계를 침범하는 사르코이드증 | 증가 가능 | 경미한 증가 |
💡 특히, 길랭-바레 증후군(GBS)에서는 CSF 단백질만 현저히 증가하고 WBC는 정상(Albino-cytologic Dissociation)
🏥 2. 신경계 종양 및 암 전이 (Neoplastic Causes)
뇌나 척수에 종양이 존재하면, 혈뇌장벽(BBB)이 손상되면서 CSF 단백질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질환 | 특징 | CSF 단백질 | 세포수(WBC) |
뇌종양 (Glioblastoma, Astrocytoma 등) | 종양에 의한 BBB 손상 | 증가 가능 | 정상 또는 증가 |
수막암증 (Leptomeningeal Carcinomatosis) | 암의 뇌척수막 전이 | 크게 증가 | 증가 (암세포 존재 가능) |
림프종 및 백혈병의 중추신경계 침범 | 림프종, 백혈병의 CSF 침범 | 증가 가능 | 증가 (비정형세포 관찰 가능) |
💡 수막암증(Leptomeningeal Carcinomatosis)에서는 CSF 단백질이 크게 상승하며, 암세포가 발견될 수도 있음
🔄 3. 신경계 혈관 질환 (Vascular Causes)
뇌혈관 이상이나 허혈성 질환에서도 CSF 단백질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질환 | 특징 | CSF 단백질 | CSF WBC |
지주막하출혈 (SAH, Subarachnoid Hemorrhage) | 뇌출혈 후 혈액-뇌척수액 장벽 손상 | 증가 | 적혈구 증가 |
뇌경색 후 뇌척수액 변화 | 급성 뇌경색 후 염증 반응 | 증가 가능 | 정상 또는 증가 |
중추신경계 혈관염 (CNS Vasculitis) | 자가면역성 혈관염 | 경미한 증가 | 증가 가능 |
💡 지주막하출혈(SAH)에서는 적혈구(RBC)도 증가할 수 있으며, 혈성 CSF가 관찰됨
💊 4. 약물, 대사성 질환 및 기타 원인
일부 대사성 질환이나 약물도 CSF 단백질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질환 / 원인 | 특징 | CSF 단백질 |
갑상선기능저하증 (Hypothyroidism) | 대사 저하로 인해 단백질 증가 | 증가 가능 |
고단백혈증 (Hyperproteinemia) | 혈중 단백질 증가가 CSF 단백질에도 영향 | 증가 가능 |
척수손상 (Spinal Cord Injury) | 손상 부위에서 단백질 유출 | 증가 가능 |
약물 (Methotrexate, Intrathecal Chemotherapy 등) | 직접적인 중추신경계 독성 | 증가 가능 |
💡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심한 경우에도 CSF 단백질이 증가할 수 있음
🏥 3️⃣ CSF 단백질만 상승한 경우, 어떻게 감별할까?
CSF에서 단백질만 상승한 경우, 추가적인 검사와 임상적 맥락이 중요합니다.
📌 진단을 위한 추가 검사
🔹 MRI 뇌/척수 검사 – 신경계 종양, 다발성 경화증, 신경 베체트병 감별
🔹 전기생리검사(EMG/NCS) – 길랭-바레 증후군 감별
🔹 자가항체 검사 (ANA, dsDNA, ANCA 등) – SLE, 혈관염 감별
🔹 종양 표지자 검사 (CSF Cytology, Flow Cytometry) – 암 전이 감별
🔹 혈액검사 (TSH, Free T4, Total Protein) – 갑상선 기능 및 대사 질환 감별
💡 CSF에서 단백질만 상승하는 경우, 임상 증상과 추가 검사를 함께 고려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 결론
✅ CSF 단백질만 상승하는 원인은 다양하며, 감염 외에도 자가면역질환, 신경계 종양, 혈관 질환, 대사성 질환 등이 원인일 수 있음
✅ 길랭-바레 증후군(GBS)에서는 CSF 단백질만 현저히 증가하는 특징적인 소견(Albino-cytologic Dissociation) 관찰됨
✅ 수막암증(Leptomeningeal Carcinomatosis)에서는 CSF 단백질이 크게 상승하며, 암세포가 발견될 수 있음
✅ MRI, 전기생리검사, 자가항체 검사 등을 통해 감별 진단이 필요
💡 CSF 단백질 상승이 단순한 현상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신중한 해석과 추가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1️⃣ CSF 단백질이 상승했는데 감염이 아니면 괜찮은가요?
아닙니다. 자가면역질환, 종양, 혈관 질환 등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2️⃣ CSF 단백질 상승이 가장 두드러지는 질환은 무엇인가요?
길랭-바레 증후군(GBS)에서는 단백질만 매우 높고 WBC는 정상입니다.
3️⃣ CSF 단백질만 증가한 경우 추가 검사는 무엇을 하나요?
MRI, 자가항체 검사, 신경전도검사(EMG/NCS), 종양 표지자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