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란? 언제 사용할까?

Avenue 2025. 2. 22. 11:11
반응형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Pentobarbital Coma Therapy)는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Status Epilepticus)이나 심각한 두개내압 상승(ICP 증가) 치료를 위해 의도적으로 깊은 진정을 유도하는 치료법입니다.

일반적인 진정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강력한 뇌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이지만, 고위험 치료법이므로 신중한 적용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는 언제, 어떻게 사용될까요? 🧐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란? 언제 사용할까?


1.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란? 📌

펜토바비탈(Pentobarbital)은 강력한 바르비투레이트(Barbiturate) 계열 진정제
GABA 수용체 작용 → 중추신경계 억제 → 깊은 진정 및 신경 보호 효과
약물로 유도된 코마 상태(Induced Coma)를 만들어 뇌의 대사율을 낮추고, 뇌 손상을 최소화

💡 핵심 포인트:

  • 난치성 간질 지속 상태(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RSE)에서 강력한 항경련 효과
  • 두개내압(ICP)이 조절되지 않는 중증 신경질환에서 뇌 보호 효과

2. 언제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를 사용할까? 🏥

📌 1) 난치성 간질 지속 상태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RSE) ⚡

RSE 정의:

  • 1차 치료(벤조디아제핀, 항경련제) 및 2차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뇌전증 지속 상태
  • EEG에서 발작 활동이 지속되는 경우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가 필요한 경우:

  • 미다졸람(Midazolam), 프로포폴(Propofol)에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
  • EEG 모니터링에서 비가역적 발작 활동이 지속되는 경우

⚠️ 주의:

  • 장기간 코마 상태 유지 시 저혈압, 면역억제, 감염 위험 증가
  • EEG 모니터링 필수 → 발작 억제가 확인되면 용량 감량 고려

📌 2) 심각한 두개내압 상승 (Intracranial Hypertension, ICP > 25mmHg) 🧠

펜토바비탈은 뇌 대사율(Cerebral Metabolic Rate, CMR)을 낮춰 두개내압을 감소시킴
일반적인 치료(고장성 식염수, 만니톨, 저체온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고려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가 필요한 경우:

  •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 후 심한 뇌부종
  •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에서 ICP 상승 조절 실패
  • 뇌압 조절을 위해 이미 다른 모든 치료(수액 제한, 뇌압 감압술 등)가 시행되었으나 반응이 없는 경우

⚠️ 주의:

  • 심혈관 억제 효과 → 저혈압 및 심박수 감소 가능
  • EEG 모니터링 필수 → 뇌기능 저하 확인 필요

3.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 기전 🔬

작용 기전 효과
GABA 수용체 활성화 중추신경 억제 → 강력한 항경련 효과
글루탐산(Glutamate) 차단 신경 흥분 감소 → 뇌 보호
뇌 대사율(CMR) 감소 산소 요구량 감소 → 뇌손상 예방
뇌 혈류 감소 → ICP 감소 두개내압 낮추는 효과

💡 핵심 포인트:
GABA 작용 증가 → 강력한 신경 억제 효과
ICP 감소 효과가 우수하여, 일반적인 치료가 듣지 않을 때 고려


4.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 프로토콜 💉

✅ 1) 투여 방법

1️⃣ Loading dose (초기 부하 용량)

  • 5~15 mg/kg IV slow push (15~30분에 걸쳐 투여)

2️⃣ Maintenance dose (유지 용량)

  • 1~3 mg/kg/hr IV 연속 주입
  • EEG에서 발작 활동이 완전히 억제될 때까지 용량 조절

✅ 2) 치료 목표

🔹 EEG에서 "burst suppression" 패턴 확인
🔹 ICP 목표: < 20mmHg 유지
🔹 MAP(평균동맥압) 유지 → 저혈압 발생 시 혈관수축제(Norepinephrine) 사용 고려

✅ 3) 치료 중단 방법 (Weaning Protocol)

  • 증상이 호전되면 서서히 감량 → EEG에서 발작이 재발하지 않는지 확인 후 중단
  • 급격한 감량은 발작 재발 위험이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줄여야 함

5.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의 부작용 및 관리 🚨

부작용 설명 관리 방법
저혈압 (Hypotension) 혈관 확장으로 인해 혈압 감소 혈관수축제 (노르에피네프린) 사용
면역억제 (Immunosuppression) 장기간 사용 시 감염 위험 증가 감염 예방(항생제, 무균 관리)
신경학적 평가 어려움 깊은 진정 상태로 신경학적 검사가 제한됨 EEG 모니터링 필수
간 대사 지연 장기간 사용 시 약물 축적 가능 간 기능 평가 필요
금단 증상 (Withdrawal Syndrome) 장기간 사용 후 갑작스러운 중단 시 발작 위험 점진적 감량 필요

💡 결론:
저혈압, 면역억제, 감염 위험 증가 → 집중 모니터링 필수
EEG 모니터링을 통해 용량 조절 및 치료 종료 시점 결정


📌 결론: 펜토바비탈 코마 치료는 언제 사용할까?

난치성 간질 지속 상태(RSE)에서 벤조디아제핀, 프로포폴 치료에 실패한 경우
두개내압(ICP)이 조절되지 않는 중증 신경질환에서 최후의 치료 옵션
강력한 신경 억제 및 항경련 효과가 있지만, 부작용(저혈압, 감염 위험)이 크므로 신중한 모니터링 필수

⚠️ 고위험 치료법이므로 중환자실(ICU)에서 EEG 모니터링과 함께 시행해야 함!

 

반응형